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278207 | |
005 | 20211111163311 | |
007 | ta | |
008 | 060619s2006 ggka b 001c kor | |
020 | ▼a 8959660442 ▼g 93370 | |
020 | ▼a 9788959660445 ▼g 93370 | |
035 | ▼a KRIC09746601 | |
040 | ▼a 211059 ▼d 211028 ▼d 211048 ▼d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495.707 ▼2 23 |
085 | ▼a 497.07 ▼2 DDCK | |
090 | ▼a 497.07 ▼b 2001i ▼c 3 | |
245 | 0 0 | ▼a 한국어 교육 총서. ▼n 3, ▼p 한국어 평가론 = ▼x Korean languange assessment / ▼d 강승혜 [외] |
260 | ▼a 파주 : ▼b 태학사, ▼c 2006 ▼g (2012 2쇄) | |
300 | ▼a 384 p. : ▼b 삽화 ; ▼c 27 cm | |
500 | ▼a 총서편자: 국립국어원, 한국어세계화재단 | |
500 | ▼a 공저자: 강명순, 이영식, 이원경, 장은아 | |
500 | ▼a 감수자: 강상진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승혜, ▼d 1961-, ▼e 저 ▼0 AUTH(211009)73122 |
700 | 1 | ▼a 강명순, ▼e 저 |
700 | 1 | ▼a 이영식, ▼e 저 |
700 | 1 | ▼a 이원경, ▼e 저 |
700 | 1 | ▼a 장은아, ▼g 張銀娥, ▼e 저 ▼0 AUTH(211009)80278 |
710 | ▼a 국립국어원, ▼e 편 ▼0 AUTH(211009)38485 | |
710 | ▼a 한국어세계화재단, ▼e 편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 2001i 3 | 등록번호 11136828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5-31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 2001i 3 | 등록번호 1113682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 2001i 3 | 등록번호 11185471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08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497.07 2001i 3 | 등록번호 192050893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승혜(지은이)
연세대학교 한국어교육학 박사 연세대학교 교육학 석사 연세대학교 교육학 학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수 전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교수 <저서> 한국문화 교육론, 2010, 형설출판사 (공저) Fast & Fun Korean for Short-Term Learners 1, 2009, 다락원 Fast & Fun Korean for Short-Term Learners 2, 2009, 다락원 Passport to Korean Culture, 2009, 박이정 (공저) ‘한국어평가론’ 한국어교육 총서3, 국립국어원ㆍ한국어세계화재단, 2006, 태학사 (공저)

목차
목차 제1장 언어 평가의 기초 1. 언어 평가의 개념 = 13 2. 언어 평가의 목적 = 15 3. 언어 평가의 유형 = 17 4. 언어 평가의 요건 = 26 5. 언어능력 평가의 역사 = 35 제2장 언어 평가 도구의 개발과 활용 1. 언어 평가 도구의 개념 = 43 2. 언어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 = 45 3. 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 = 62 제3장 한국어 평가의 기초 1. 한국어 능력의 개념 = 77 2. 등급별 평가 목표 = 80 3. 등급별 평가 영역 및 내용 = 88 4. 등급별 평가 기준 = 93 제4장 한국어 듣기 평가 1. 듣기의 개념 및 특성 = 99 2. 한국어 듣기 평가의 목적 및 기능 = 101 3. 한국어 듣기 평가의 범주 = 103 4. 한국어 듣기 평가의 내용 = 108 5. 한국어 듣기 평가의 유형 = 112 6. 한국어 듣기 평가의 문항 유형 = 113 7. 한국어 듣기 평가의 실제 = 139 제5장 한국어 말하기 평가 1. 말하기의 개념 및 특성 = 161 2.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목적 및 기능 = 163 3.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범주 = 165 4.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내용 = 168 5.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유형 = 171 6.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문항 유형 = 172 7.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실제 = 193 제6장 한국어 읽기 평가 1. 읽기의 개념 및 특성 = 215 2. 한국어 읽기 평가의 목적 및 기능 = 218 3. 한국어 읽기 평가의 범주 = 219 4. 한국어 읽기 평가의 내용 = 224 5. 한국어 읽기 평가의 유형 = 228 6. 한국어 읽기 평가의 문항 유형 = 229 7. 한국어 읽기 평가의 실제 = 255 제7장 한국어 쓰기 평가 1. 쓰기의 개념 및 특성 = 275 2. 한국어 쓰기 평가의 목적 및 기능 = 277 3. 한국어 쓰기 평가의 범주 = 279 4. 과정 중심 쓰기 평가 = 283 5. 한국어 쓰기 평가의 내용 = 287 6. 한국어 쓰기 평가의 문항 유형 = 291 제8장 언어능력 평가의 사례 1. 외국의 언어능력 평가 = 335 2. 한국어 능력 평가 = 346 참고문헌 = 371 찾아보기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