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세계외교사

세계외교사 (Loan 44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용구 金容九
Title Statement
세계외교사 / 김용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6   (2014 14쇄)  
Physical Medium
xii, 935 p. : 삽화 ; 26 cm
ISBN
8952106091 9788952106094 9788952113832
General Note
부록: 1. 국제조약, 2. 외교문서, 3. 열강의 미간 문서와 한반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276812
005 20160421163738
007 ta
008 060601s2006 ulka b AK 001c kor
020 ▼a 8952106091 ▼g 93340
020 ▼a 9788952106094 ▼g 93340
020 ▼a 9788952113832 ▼g 93340
035 ▼a (KERIS)BIB000010422021
040 ▼d 211039 ▼d 211009 ▼a 211009 ▼c 211009
082 0 4 ▼a 327.09 ▼2 23
085 ▼a 327.09 ▼2 DDCK
090 ▼a 327.09 ▼b 2006
100 1 ▼a 김용구 ▼g 金容九 ▼0 AUTH(211009)86922
245 1 0 ▼a 세계외교사 / ▼d 김용구
246 1 1 ▼a Diplomatic history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06 ▼g (2014 14쇄)
300 ▼a xii, 935 p. : ▼b 삽화 ; ▼c 26 cm
500 ▼a 부록: 1. 국제조약, 2. 외교문서, 3. 열강의 미간 문서와 한반도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00 1 0 ▼a Kim, Yong-koo, ▼e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3675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3675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6910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7034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7554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212028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212028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8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512101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3675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3675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6910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7034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117554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212028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212028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09 2006 Accession No. 1512101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유럽중심주의의 서술을 극복하는 비교문명권의 시각에 따라 기존 <세계외교사>를 재구성한 책이다. 유럽문명권의 세계 팽창, 유럽과 이슬람의 대립, 그리고 유럽과 사대질서의 충돌을 새로운 장절로 삼았다. 다만 유럽과 슬라브 문명권의 투쟁은 19세기 이후 세계외교사의 핵심 문제이어서 유럽문명권의 통시적인 서술에 포함시켰다.

이 책은 필자의 기존 『세계외교사』를 완전히 재구성하고 다시 집필한 것이다. 새로이 세계외교사를 쓴 것은 몇 가지 절실한 이유 때문이었다.
첫째 기존 『세계외교사』의 서술체계를 더 이상 그대로 방치할 수 없었다. 이 서술체계는 유럽중심주의에 입각한 외교사 저술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랐기 때문이다.
둘째 유럽중심주의의 서술을 극복하는 비교문명권의 시각에 따라 기존 『세계외교사』를 재구성하였다. 유럽문명권의 세계 팽창, 유럽과 이슬람의 대립, 그리고 유럽과 사대질서의 충돌을 새로운 장절로 삼았다. 다만 유럽과 슬라브 문명권의 투쟁은 19세기 이후 세계외교사의 핵심 문제이어서 유럽문명권의 통시적인 서술에 포함시켰다.
셋째 조선과 세계외교사의 접목에 관하여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였다. 한국에서 외교사를 연구하는 근본 목적이 우리의 역사적 대외인식 경험을 추적하는 데에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세계외교사의 서술에는 여러 국제적인 사건들이 등장한다. 따라서 독자들은 사전 설명의 늪에 빠져 외교사 흐름의 전체적인 의미를 놓치게 되는 위험이 있다. 이에 29개에 달하는 절(節)앞에 ‘이끄는 글’을 마련하여 그 절의 외교사적인 의의를 설명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용구(지은이)

1937년 인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같은 대학원을 나왔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거쳐 같은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2년 정년퇴임했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학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저서로는 『소련국제법이론연구』(1979), 『세계관 충돌과 국제정치학』(1997), 『장 자크 루소와 국제정치학』(2001), 『세계관 충돌과 한국외교사, 1866~1882』(2001), The Five Years Crisis: Korea in the Maelstrom of Western Imperialism(2001), 『외교사란 무엇인가』(2002),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사대질서의 변형과 한국 외교사』(2004), Korea and Japan: The Clash of Worldviews, 1868~1876(2006), 『세계외교사』(1988, 2006), 『만국공법』(2008), 『거문도와 블라디보스토크-19세기 한반도의 파행적 세계화 과정』(2009), 『근대한국외교문서』 1~5(공편, 2009~2012), 『약탈제국주의와 한반도』(2013), 『러시아의 만주·한반도 정책사, 17~19세기』(2018)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ⅲ
범례 = ⅴ
제1장 중세와 근대 질서의 충돌
 제1절 나폴레옹 전쟁 = 5
  1. 혁명 프랑스와 유럽 = 6
  2. 나폴레옹 전쟁(1) = 9
  3. 나폴레옹 전쟁(2) = 17
 제2절 빈 회의 = 25
  1. 빈 회의의 구성과 기본원칙 = 26
  2. 빈 회의의 결정들 = 36
  3. 제2차 파리 평화조약 = 43
  4. 빈 회의 결정의 의의 = 48
 제3절 신성동맹 = 51
  1. 신성동맹의 형성 = 52
  2. 신성동맹의 내용 = 58
  3. 신성동맹의 발표와 평가 = 61
 제4절 유럽협조체제 = 65
  1. 전후처리 - 엑스-라-샤펠 회의 = 66
  2. 회의외교 = 73
  3. 유럽 협조체제와 미국 - 먼로주의 = 81
 주요문헌 = 84
제2장 유럽 열강의 세계팽창
 제1절 근대국가 = 99
  1. 벨기에 독립 = 100
  2. 2월 혁명과 유럽 = 103
  3. 이탈리아의 통일(Ⅰ) = 106
  4. 이탈리아의 통일(Ⅱ) = 113
  5. 독일의 통일(Ⅰ) = 117
  6. 독일의 통일(Ⅱ) - 오스트리아ㆍ프로이센 전쟁과 북부 독일연방의 성립 = 122
  7. 독일의 통일(Ⅲ) - 프랑스ㆍ프로이센 전쟁의 배경 = 129
  8. 독일의 통일(Ⅳ) - 프랑스ㆍ프로이센 전쟁과 독일 제국의 성립 = 136
 제2절 비스마르크의 동맹체제 = 143
  1. 1873년 3제 협상(3帝 協商) = 144
  2. 양국 동맹과 3제 협상 = 147
  3. 3국 동맹 = 153
  4. 비스마르크 동맹체제의 재정비 = 161
  5. 비스마르크 동맹체제의 내재적 모순과 붕괴 = 165
 제3절 새로운 동맹들의 형성 = 169
  1. 프랑스ㆍ러시아 동맹 = 170
  2. 유럽 열강의 새로운 외교 = 176
  3. 영ㆍ일 동맹과 영ㆍ불 협상 = 182
 제4절 세계분할의 완료 = 191
  1.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분할 = 192
  2. 제1차 모로코 위기와 알헤시라스 회의 = 200
  3. 영국ㆍ러시아 협상 = 204
  4. 보스니아-헤르제고비나 합병 = 206
  5. 제2차 모로코 위기 = 211
  6. 영ㆍ독 해군교섭 = 214
  7. 발칸 전쟁 = 219
  8. 제국주의 세력 미국의 등장 = 222
 주요문헌 = 227
제3장 이슬람과 세계외교사
 제1절 동방과 유럽 = 235
  1. 동방 문제 = 236
  2. 그리스 독립 = 238
  3. 동방의 위기 = 241
 제2절 크림 전쟁 = 245
  1. 전쟁 원인론 = 246
  2. 전쟁으로 가는 외교 = 252
  3. 전쟁과 외교 = 258
  4. 파리 강화회의 = 263
 제3절 러시아ㆍ터키 전쟁 = 269
  1. 전쟁으로 가는 외교 = 270
  2. 러시아ㆍ터키 전쟁 = 273
 주요문헌 = 280
제4장 유교권과 세계외교사
 제1절 유교권 질서의 붕괴 = 285
  1. 아편전쟁 = 286
  2. 영국과 프랑스 침략 = 299
  3. 변경의 상실 = 306
 제2절 일본의 개국 = 315
  1. 개국의 뜻 = 316
  2. 개국조약들 = 318
  3. 북방영토와 조약 개정문제 = 326
 제3절 중일전쟁 = 329
  1. 전쟁 원인론 = 330
  2. 개전음모 = 334
  3. 열강의 태도 = 338
  4. 일본의 대륙진출 = 341
  5. 강화조약과 3국 간섭 = 344
  6. 중국의 반식민지 = 351
 제4절 러일전쟁 = 359
  1. 의화단 사건 = 360
  2. 러시아ㆍ일본의 대립 = 364
  3. 러일전쟁 = 370
  4. 러일협상 = 379
 주요문헌 = 384
제5장 조선과 세계외교사(1)
 제1절 약탈제국주의와 조선 = 395
  1. 19세기와 조선 = 397
  2. 프랑스와 미국의 조선 침략 = 401
 제2절 교린질서와 조선 = 413
  1. 위기의 교린질서 = 415
  2. 조선과 일본의 수호조약 = 432
 제3절 조선의 새로운 외교정책 = 443
  1. 교린질서 붕괴의 시련 = 444
  2. 『조선책략』 = 449
 제4절 조선과 미국의 수호조약 = 457
  1. 중국과 미국 = 458
  2. 조선과 미국 = 467
 제5절 조선과 서양 열강의 수호조약 = 473
  1. 영국 = 474
  2. 독일 = 478
  3. 영국의 비준 거부와 새로운 조-영 수호조약 = 479
  4. 러시아와 프랑스 = 483
  5. 사대교린질서 파괴의 조약들 = 485
 주요문헌 = 490
제6장 조선과 세계외교사(2)
 제1절 임오군란 = 501
  1. 임오군란의 성격 = 503
  2. 임오군란과 일본 = 506
  3. 임오군란과 중국 = 509
 제2절 갑신정변 = 513
  1. 갑신정변의 성격과 연구 = 515
  2. 갑신정변의 사후처리 = 522
  3. 갑신정변 이후 조선의 국제환경 = 526
 제3절 중일전쟁, 러일전쟁, 그리고 조선 = 537
  1. 중일전쟁과 조선 = 538
  2. 러일전쟁과 조선 = 547
 주요문헌 = 552
제7장 제1차 세계대전
 제1절 전쟁의 세계화 = 567
  1. 전쟁으로 가는 외교 = 568
  2. 열강의 전략과 전투 = 578
  3. 전쟁목적과 평화교섭 = 584
  4. 전시외교 - 중립국들의 참전 = 589
  5. 휴전에서 평화조약으로 = 601
  6. 제1차 세계대전은 왜 일어났는가 = 607
 제2절 베르사유 조약 체제 = 615
  1. 베르사유 회의의 구성과 원칙 = 617
  2. 파리 강화회의의 결정(1) - 베르사유 조약의 내용 = 624
  3. 파리 강화회의의 결정(2) - 그 밖의 평화조약들 = 627
  4. 파리 강화회의의 결정(3) - 국제연맹 = 629
  5.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제국의 붕괴 = 633
  6. 배상 문제 = 641
  7. 안보 문제 = 645
  8. 워싱턴 회의와 동북아 = 650
 주요문헌 = 653
제8장 혼돈시대의 세계외교사
 제1절 안정과 혼란의 공존 = 665
  1. 로카르노 조약 = 666
  2. 평화운동(1) - 군축 = 673
  3. 평화운동(2) -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 = 678
  4. 소련과 유럽 열강 = 681
  5. 워싱턴 회의 이후 = 687
  6.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등장 = 696
 제2절 혼란의 세계외교사 = 699
  1. 대공황과 독일ㆍ오스트리아 관세동맹 = 700
  2. 만주사변 = 702
  3. 히틀러의 등장 = 710
  4. 히틀러의 외교정책 = 713
  5. 히틀러 외교의 도전 = 720
 주요문헌 = 727
제9장 제2차 세계대전
 제1절 유화와 침략의 공존 = 735
  1. 독일의 재군비 = 736
  2.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원정 = 739
  3. 독일의 라인란트 진주 = 743
  4. 스페인 내란 = 746
  5. 1936년 후반의 독일외교 = 748
  6. 1937년의 세계 = 750
  7.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 755
  8. 체코슬로바키아 문제의 대두 = 759
  9. 뮌헨 협정과 체코슬로바키아의 붕괴 = 762
 제2절 침략의 세계외교사 = 773
  1. 체코 붕괴 이후의 유럽 = 774
  2. 독일ㆍ소련의 불가침 조약 = 779
  3. 독일의 폴란드 침공 = 785
  4. 폴란드의 붕괴 = 789
  5. 독일의 전격전 = 792
  6. 태평양전쟁 = 803
  7. 연합국의 전시외교 = 815
 주요문헌 = 830
주요 전후 문제의 처리와 냉전 = 849
부록 = 859
찾아보기
 인명 = 889
 지명 = 908
 사항 = 92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McCormick, John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