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때론 길을 잃어도 좋다

때론 길을 잃어도 좋다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세영 , 1956- 김녕만 , 사진
서명 / 저자사항
때론 길을 잃어도 좋다 / 윤세영 지음 ; 김녕만 사진.
발행사항
서울 :   사진예술사 ,   2006.  
형태사항
217 p. : 색채삽도 ; 21 cm.
기타표제
길을 잃을까 두려워 말고 떠나라. 그리고 헤매자. 만남의 기적이 있다.
ISBN
8987648176
000 00639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75272
005 20100807105826
007 ta
008 060628s2006 ulka 000a kor
020 ▼a 8987648176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a 897.87 ▼2 DDCK
090 ▼a 897.87 ▼b 윤세영 때
100 1 ▼a 윤세영 , ▼d 1956-
245 1 0 ▼a 때론 길을 잃어도 좋다 / ▼d 윤세영 지음 ; ▼e 김녕만 사진.
246 0 3 ▼a 길을 잃을까 두려워 말고 떠나라. 그리고 헤매자. 만남의 기적이 있다.
260 ▼a 서울 : ▼b 사진예술사 , ▼c 2006.
300 ▼a 217 p. : ▼b 색채삽도 ; ▼c 21 cm.
700 1 ▼a 김녕만 , ▼e 사진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897.87 윤세영 때 등록번호 1113686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897.87 윤세영 때 등록번호 1113686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87 윤세영 때 등록번호 1512100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897.87 윤세영 때 등록번호 1113686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897.87 윤세영 때 등록번호 1113686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97.87 윤세영 때 등록번호 1512100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윤세영(지은이)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월간 『사진예술』 편집주간으로 있다. 수필가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저서로 『때론 길을 잃어도 좋다』(2006), 『한국의 사진가 14』(2009)가 있다. 열화당 사진문고 『육명심』 『윤주영』의 작가론을 썼다.

김녕만(사진)

1949년 전북 고창 출생 1978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학과 졸업 1978~2001년 동아일보사 사진기자, 사진부 차장, 출판사진팀 부장, 편집국장석 편집위원직을 끝으로 사직 1980년 “노래가 하나 가득” (동시:윤석중) 사진동요집 출간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 취재 1981년 “고향” 개인전과 “고향”사진집 출간, 신문회관 전시실/서울 1983년 판문점 출입 사진기자 1985년 제8회 현대사진문화상 (창작부문) 수상 1991년 “유머가 있는 풍경” 개인전과 “유머가 있는 풍경” 사진집 출간, 파인힐 화랑/서울 1993년 “판문점” 개인전과 “판문점” 사진집 출간, 세종문화회관 전시실/서울 1994년 “광주 그날!” (황종건 공저) 사진집 출간 1994년 청와대 출입 사진기자 1996년 “마음의 고향” 개인전과 “마음의 고향” 사진집 출간, 세종문화회관 전시실/서울 1999년 “격동20년” 사진집 출간 2001~2005년 상명대 예술대학 영상학부 겸임교수 2001~2015년 월간 사진예술 발행인. 2002년 제9회 대한사진문화상 언론부문 수상 2002~2005년 동강국제사진제 운영위원 2003년 제52회 서울시문화상 언론부문 수상 2004년 “오월,우리는 보았다” 단체전, 5.18기념재단 전시실/광주 2005년 제21회 일본 히가시카와 국제사진페스티벌 해외작가상 수상 2005년 “격동20년” 개인전, 히가시카와 문화갤러리/일본 2006년 대구사진비엔날레 조직위원 2008년 “한국현대사진 60년” 단체전, 국립현대미술관/과천 2010년 “분단의 현장에서 희망을 읽다” 토포하우스와 윤당아트홀에서 개인전/서울 2011년 “사진,시대를 읽다” <분단 현장> 기획전, 전북도립미술관/완주 2012년 “침묵의 목격” 단체전, 228국가기념관/타이베이 2013년 열화당 사진문고 “김녕만” 출간 2013년 김녕만 사진집 “시대의 기억” 출간 2014년 “해학을 공유하다” 초대전, 아트스페이스제이/분당 2016년 김녕만 사진전 “생명의 땅, DMZ” 개인전/임진각 내 DMZ생태관광지원센터 2018년 김녕만 사진집 “분단의 현장 판문점과 DMZ” 출간 2019년 “그리운 시절 그리운 사람” 초대전, 천불천탑사진문화관/전남 화순 2019년 “김녕만 기억의 시작” 초대전, 스페이스22/서울 2020년 “장사익, 당신은 찔레꽃” 사진집 출간 및 전시 2021년 “제5회 평택국제사진축전” 초대전 작품소장 : 국립현대미술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동강사진박물관, 서울시립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부 삶의 프레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 11
 알면 사랑한다 = 15
 그래도 지구는 돈다 = 19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 때도 알았더라면 = 22
 행복의 조건 = 26
 거절당해도 좋은 이유 = 30
 충돌 = 34
 기꺼이 액스트라 되기 = 38
 마흔아흡 그리고 가을 = 42
 삶의 프레임 = 46
 한 그루의 나무처럼 = 50
2부 늘 떠나는 삶
 가지 않은 길 = 57
 아무리 경치가 좋다한들 = 61
 늘 떠나는 삶 = 66
 편지 = 70
 지금 이 순간 = 74
 선물 = 78
 별 볼 일 = 82
 겨울나무 = 86
 캐나다에서 보내는 긴 방학 = 90
 선택은 버린다는 것 = 94
 북한산을 바라보며 = 100
3부 시간과 겨루기
 때론 길을 잃어도 좋다 = 107
 욘사마의 저력 = 111
 스타 만들기 = 116
 그대 그런 사람을 가졌는가 = 120
 인연 = 124
 상상한 만큼 이룬다 = 128
 기억과 기록 = 134
 디지털은 좋은 친구 = 138
 일본에서 느낀 것들 = 142
 시간과 겨루기 = 146
 사진과 나이 = 150
 잘 익은 사과 = 154
4부 마지막 사진
 묵은 수첩 = 161
 단순한 아름다움 = 166
 순교의 무지개 = 170
 한옥과 대나무 = 174
 우연과 필연 = 178
 사진인의 대합창 "대~한민국" = 182
 사진 서포터 = 186
 사진의 봄 사진의 붐 = 190
 다큐멘터리의 위기 = 196
 이산가족과 사진 = 201
 마지막 사진 = 205
 화룡점정 = 209
후기 : 글과 사진의 만남 = 21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