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방송구조 변화에 따른 방송광고 환경에 관한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방송구조 변화에 따른 방송광고 환경에 관한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흥래
단체저자명
한국방송광고공사
서명 / 저자사항
방송구조 변화에 따른 방송광고 환경에 관한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 조흥래.
발행사항
서울 :   한국방송광고공사 ,   2005.  
형태사항
149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05년 제42권
ISBN
8991803083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40-149.
000 00751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274634
005 20100807105351
007 ta
008 060627s2005 ulk b 000a kor
020 ▼a 8991803083 ▼g 9332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59.14 ▼a 384.550944 ▼2 22
090 ▼a 659.14 ▼b 2004 ▼c 2005-42
100 1 ▼a 조흥래
245 1 0 ▼a 방송구조 변화에 따른 방송광고 환경에 관한 연구 : ▼b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 ▼d 조흥래.
260 ▼a 서울 : ▼b 한국방송광고공사 , ▼c 2005.
300 ▼a 149 p. : ▼b 삽도 ; ▼c 24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05년 제42권
504 ▼a 참고문헌: p. 140-149.
710 ▼a 한국방송광고공사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방송광고공사) ; ▼v 2005년 제42권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4 2004 2005-42 등록번호 1113643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연구의 요약
제1장 서론 = 15
  1. 문제 제기 = 15
  2. 연구의 범위 = 17
  3. 내용 구성 = 18
제2장 기존연구 및 관련문헌 고찰 = 20
  1. 인지주의 전통의 광고효과 이론 개관 = 20
    1) 수용자 반응 중심의 광고효과 이론 = 20
    2) 시청률 중심의 TV광고 효과 평가 = 23
    3) 매체와 수용자 통합적 관점의 광고효과 연구 = 26
  2. 암묵적 기억 및 태도에 관한 심리학 연구 개관 = 30
    1) 암묵적 기억에 관한 선행연구들 = 30
    2) 역하지각 및 단순노출효과 = 32
    3) 암묵적 태도 형성: 감정점화(affective priming) = 34
  3. 암묵이론(implicit theory)에 입각한 광고효과연구 고찰 = 36
    1) 암묵적 지표를 이용한 광고효과 측정 = 36
    2) 암묵적 기억 및 태도 측정방법 = 41
    3) 암묵적 지표를 이용한 광고효과 평가의 효용성 = 43
  4. 광고반복과 상표친숙도에 따른 광고효과 = 46
    1) 광고반복과 광고효과의 관계 = 46
    2) 상표친숙도와 광고효과의 관계 = 48
제3장 실증 연구 = 53
  1. 연구문제 설정 = 53
  2. 연구 방법 = 56
    1) 연구 설계 = 56
    2) 연구 변인 = 56
  3. 실험과정 및 절차 = 59
    1) 예비 연구 = 59
    2) 본 연구 = 61
  4. 자료 분석 방법 = 64
제4장 결과 분석 = 65
  1. 기초분석 = 65
    1) 실험 참가자 특성 = 65
    2) 독립변인에 대한 조작 점검 = 66
  2.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 분석 = 69
    1) TV광고의 우연노출효과 검증 = 69
    2) TV광고의 반복노출효과 검증 = 75
    3) 상표 친숙도의 조절효과 검증 = 84
    4) 추가분석 : 광고위치에 따른 기억효과 검증 = 111
제5장 결론 = 125
  1. 결과 요약 및 시사점 = 125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133
참고문헌 = 138
〈부록 1〉 실험질문지 = 145
〈부록 2〉 실험광고 자극물 = 16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