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통합 교육과정

통합 교육과정 (Loan 4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Drake, Susan M. , 1944- Burns, Rebecca Crawford 박영무 朴永珷 , 역 강현석 康現碩 , 역 허영식 許榮植 , 역 김인숙 金仁淑 , 역
Title Statement
통합 교육과정 / Susan M. Drake, Rebecca C. Burns 공저 ; 박영무 [외]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원미사 ,   2006.  
Physical Medium
314 p. ; 26 cm.
Varied Title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ISBN
8955440995
General Note
공역자: 강현석, 허영식, 김인숙  
부록: 1. 중세 관련 단원에 대한 간학문적 교육과정 기본틀. 2. 연결짓기 기본틀과 채점기준. 3. 알파 프로그램 관련 계획서, 채점기준, 개별화 자기평가 기준.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98-302)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Education --Curricula --United States.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education --United States. Education --Standards --United States.
000 01353camccc200373 k 4500
001 000045274353
005 20100807105044
007 ta
008 060422s2006 ulk b 001c kor
020 ▼a 8955440995 ▼g 93370
035 ▼a (KERIS)BIB000010402434
040 ▼a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5/.000973 ▼2 22
090 ▼a 375 ▼b 2006a
100 1 ▼a Drake, Susan M. , ▼d 1944- ▼0 AUTH(211009)83570
245 1 0 ▼a 통합 교육과정 / ▼d Susan M. Drake, ▼e Rebecca C. Burns 공저 ; ▼e 박영무 [외]역.
246 1 1 ▼a Integrated curriculum
246 1 9 ▼a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260 ▼a 서울 : ▼b 원미사 , ▼c 2006.
300 ▼a 314 p. ; ▼c 26 cm.
500 ▼a 공역자: 강현석, 허영식, 김인숙
500 ▼a 부록: 1. 중세 관련 단원에 대한 간학문적 교육과정 기본틀. 2. 연결짓기 기본틀과 채점기준. 3. 알파 프로그램 관련 계획서, 채점기준, 개별화 자기평가 기준. 외
504 ▼a 참고문헌(p. 298-302)과 색인수록
650 0 ▼a Education ▼x Curricula ▼z United States.
650 0 ▼a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education ▼z United States.
650 0 ▼a Education ▼x Standards ▼z United States.
700 1 ▼a Burns, Rebecca Crawford ▼0 AUTH(211009)47525
700 1 ▼a 박영무 ▼g 朴永珷 , ▼e
700 1 ▼a 강현석 ▼g 康現碩 , ▼e▼0 AUTH(211009)94962
700 1 ▼a 허영식 ▼g 許榮植 , ▼e▼0 AUTH(211009)51187
700 1 ▼a 김인숙 ▼g 金仁淑 , ▼e▼0 AUTH(211009)57164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06a Accession No. 1113654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06a Accession No. 1113654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드레이크 번즈(지은이)

<통합교육 과정>

박영무(옮긴이)

<통합교육 과정>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감사의 말 = 3
서문 = 4
제1장 통합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 19
 1.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정의 = 21
  1) 다학문적 통합(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 22
  2) 간학문적 통합 = 28
  3) 초학문적 통합 = 31
 2. 세 가지 접근방법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가? = 33
제2장 책무성의 시대에 왜 교육과정을 통합시켜야 하는가? = 41
 1. 책무성의 시대에 교육과정을 통합할 수 있을까? = 42
  1) 책무성 보장 = 43
  2) 적절성 보장 = 44
  3) 엄밀성 확보 = 46
  4) 학습부진 예방 = 47
  5) 상급학교의 교육을 위한 준비 = 48
 2. 학생과 교사들은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 49
  1) 통합 접근방법에 대한 학생의 반응 = 50
  2) 통합 접근방법에 대한 교사의 반응 = 52
  3) 협업에 대한 교사의 반응 = 55
 3. 간학문적인 작업의 역사 = 56
 4. 뒷받침 연구 = 58
 5. 잘못이 있다면 고쳐야 한다 = 60
제3장 '지식ㆍ기능ㆍ인성'의 다리 만들기 = 65
 1. 역행 설계 = 65
 2. '지식ㆍ기능ㆍ인성' 기본틀 = 67
 3. 학생들이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72
  1) 지식의 수준 = 75
  2) 지식 피라미드의 해석 = 79
  3) 개념적 초점의 추가 = 82
  4) 도전의 수용 = 84
 4.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85
  1) 기능의 수준 = 85
  2) 누가 간학문적인 기능을 가르치는 일에 책임이 있는가? = 92
 5. 학생들이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가? = 93
 6. 지식ㆍ기능ㆍ인성의 다리 만들기 = 96
제4장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표준안 활용 = 99
 1. 줄맞추기 = 99
  1) 외적 줄맞추기 = 99
  2) 내적 줄맞추기 = 102
 2. 책무성이냐 적절성이냐? = 103
 3. 기존 표준안의 해석 및 분석 = 105
 4. 교육과정 운영 기록하기 = 110
 5. 통합을 위한 표준안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 = 114
  1) 기능에 대한 수평적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 = 116
  2) 기능에 대한 수직적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 = 117
  3) 개념에 대한 수평적 스캔 = 118
  4) 개념에 대한 수직적 스캔 = 118
  5) 폭넓은 표준안에 대한 신속하고 용이한 '고급'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 = 118
  6) 어떤 한 팀의 경험 = 119
제5장 평가와 수업을 지식ㆍ기능ㆍ인성의 다리와 줄맞추기 = 129
 1. 지식ㆍ기능ㆍ인성에 대한 평가 = 129
  1) 교수전략을 평가와 연결하기 = 131
  2) 간학문적인 평가 창안하기 = 132
 2. 교수ㆍ학습의 원리 = 139
  1) 길잡이 질문 = 140
  2) 최상의 교수ㆍ학습과 평가 = 142
제6장 간학문적 교육과정 계획을 위한 기본틀 = 149
 1. 기본틀을 통한 작업 = 150
  1) 한 걸음 한 걸음 = 151
 2. 실행 이후의 성찰 = 165
제7장 성과 왕 그리고 표준안 = 169
 1. 큰 그림 탐색 = 171
 2. 학습의 다리 = 172
 3. 중세 = 173
  1) 도입활동 = 173
  2) 미니단원 = 174
  3) 평가 = 176
 4. 기대하지 못한 사항 = 177
 5. 학생의 반응 = 179
 6. 성찰 = 181
제8장 연결짓기: 다학문적 모형 = 185
 1. '연결짓기'의 핵심요소 = 187
  1) 표준안 활용 = 187
  2) 진정한 활동(참활동) 계획 수립 = 190
  3) 학생들의 강점에 부응한 맞춤형 학습 = 193
 2. '연결짓기' 기본틀의 적용 = 196
 3. 연구 = 197
 4. 그것이 잘 되어 가는 이유 = 199
제9장 교육개혁의 임무: 뉴섬 파크 초등학교 = 203
 1. 뉴섬 파크(Newsome Park)에서의 변환 = 205
 2. 프로젝트 개발의 단계 = 207
  1) 1단계: 준비 혹은 계획숙고 = 207
  2) 영감ㆍ검증 = 209
  3) 의사소통ㆍ정당화 = 214
 3. 교사의 성찰 = 214
 4. 학생의 학습 = 215
제10장 알파 프로그램: 표준기반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학생 = 219
 1. 알파의 전개과정 = 220
 2. 학부모 참여 = 223
 3. 교육과정 협상 = 224
 4. 수업계획 협상 = 227
 5. 평가의 실제 = 229
 6. 학업상의 성공 = 232
 7. 알파는 잘 되어가며 효과가 있는가? = 233
제11장 질문과 대답 = 239
제12장 통합 교육과정의 미래: 진자 멈추기 = 259
 1. 지속가능성의 증거 = 260
 2. 교육의 미래에 대한 우리의 비전 = 264
부록
 부록 1 중세 관련 단원에 대한 간학문적 교육과정 기본틀 = 271
 부록 2 연결짓기 기본틀과 채점기준 = 278
 부록 3 알파 프로그램 관련 계획서, 채점기준, 개별화 자기평가 기준 = 282
 부록 4 : 추가 자원 = 288
참고문헌 = 298
찾아보기 = 30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