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말 = 3
서문 = 4
제1장 통합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 19
1.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정의 = 21
1) 다학문적 통합(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 22
2) 간학문적 통합 = 28
3) 초학문적 통합 = 31
2. 세 가지 접근방법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가? = 33
제2장 책무성의 시대에 왜 교육과정을 통합시켜야 하는가? = 41
1. 책무성의 시대에 교육과정을 통합할 수 있을까? = 42
1) 책무성 보장 = 43
2) 적절성 보장 = 44
3) 엄밀성 확보 = 46
4) 학습부진 예방 = 47
5) 상급학교의 교육을 위한 준비 = 48
2. 학생과 교사들은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 49
1) 통합 접근방법에 대한 학생의 반응 = 50
2) 통합 접근방법에 대한 교사의 반응 = 52
3) 협업에 대한 교사의 반응 = 55
3. 간학문적인 작업의 역사 = 56
4. 뒷받침 연구 = 58
5. 잘못이 있다면 고쳐야 한다 = 60
제3장 '지식ㆍ기능ㆍ인성'의 다리 만들기 = 65
1. 역행 설계 = 65
2. '지식ㆍ기능ㆍ인성' 기본틀 = 67
3. 학생들이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72
1) 지식의 수준 = 75
2) 지식 피라미드의 해석 = 79
3) 개념적 초점의 추가 = 82
4) 도전의 수용 = 84
4.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85
1) 기능의 수준 = 85
2) 누가 간학문적인 기능을 가르치는 일에 책임이 있는가? = 92
5. 학생들이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가? = 93
6. 지식ㆍ기능ㆍ인성의 다리 만들기 = 96
제4장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표준안 활용 = 99
1. 줄맞추기 = 99
1) 외적 줄맞추기 = 99
2) 내적 줄맞추기 = 102
2. 책무성이냐 적절성이냐? = 103
3. 기존 표준안의 해석 및 분석 = 105
4. 교육과정 운영 기록하기 = 110
5. 통합을 위한 표준안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 = 114
1) 기능에 대한 수평적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 = 116
2) 기능에 대한 수직적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 = 117
3) 개념에 대한 수평적 스캔 = 118
4) 개념에 대한 수직적 스캔 = 118
5) 폭넓은 표준안에 대한 신속하고 용이한 '고급'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 = 118
6) 어떤 한 팀의 경험 = 119
제5장 평가와 수업을 지식ㆍ기능ㆍ인성의 다리와 줄맞추기 = 129
1. 지식ㆍ기능ㆍ인성에 대한 평가 = 129
1) 교수전략을 평가와 연결하기 = 131
2) 간학문적인 평가 창안하기 = 132
2. 교수ㆍ학습의 원리 = 139
1) 길잡이 질문 = 140
2) 최상의 교수ㆍ학습과 평가 = 142
제6장 간학문적 교육과정 계획을 위한 기본틀 = 149
1. 기본틀을 통한 작업 = 150
1) 한 걸음 한 걸음 = 151
2. 실행 이후의 성찰 = 165
제7장 성과 왕 그리고 표준안 = 169
1. 큰 그림 탐색 = 171
2. 학습의 다리 = 172
3. 중세 = 173
1) 도입활동 = 173
2) 미니단원 = 174
3) 평가 = 176
4. 기대하지 못한 사항 = 177
5. 학생의 반응 = 179
6. 성찰 = 181
제8장 연결짓기: 다학문적 모형 = 185
1. '연결짓기'의 핵심요소 = 187
1) 표준안 활용 = 187
2) 진정한 활동(참활동) 계획 수립 = 190
3) 학생들의 강점에 부응한 맞춤형 학습 = 193
2. '연결짓기' 기본틀의 적용 = 196
3. 연구 = 197
4. 그것이 잘 되어 가는 이유 = 199
제9장 교육개혁의 임무: 뉴섬 파크 초등학교 = 203
1. 뉴섬 파크(Newsome Park)에서의 변환 = 205
2. 프로젝트 개발의 단계 = 207
1) 1단계: 준비 혹은 계획숙고 = 207
2) 영감ㆍ검증 = 209
3) 의사소통ㆍ정당화 = 214
3. 교사의 성찰 = 214
4. 학생의 학습 = 215
제10장 알파 프로그램: 표준기반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학생 = 219
1. 알파의 전개과정 = 220
2. 학부모 참여 = 223
3. 교육과정 협상 = 224
4. 수업계획 협상 = 227
5. 평가의 실제 = 229
6. 학업상의 성공 = 232
7. 알파는 잘 되어가며 효과가 있는가? = 233
제11장 질문과 대답 = 239
제12장 통합 교육과정의 미래: 진자 멈추기 = 259
1. 지속가능성의 증거 = 260
2. 교육의 미래에 대한 우리의 비전 = 264
부록
부록 1 중세 관련 단원에 대한 간학문적 교육과정 기본틀 = 271
부록 2 연결짓기 기본틀과 채점기준 = 278
부록 3 알파 프로그램 관련 계획서, 채점기준, 개별화 자기평가 기준 = 282
부록 4 : 추가 자원 = 288
참고문헌 = 298
찾아보기 =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