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예술에 대한 사색

예술에 대한 사색 (Loan 1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광명 金光明
Title Statement
예술에 대한 사색 / 김광명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연문화사 ,   2006.  
Physical Medium
302 p. : 색채삽도 ; 23 cm.
ISBN
895508087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88-294)과 색인수록
000 00600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73749
005 20100807104415
007 ta
008 060504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55080875 ▼g 93600
035 ▼a (KERIS)BIB000010408469
040 ▼a 241008 ▼c 241008 ▼d 241008 ▼d 211009
082 0 4 ▼a 700.1 ▼2 22
090 ▼a 700.1 ▼b 2006a
100 1 ▼a 김광명 ▼g 金光明 ▼0 AUTH(211009)113486
245 1 0 ▼a 예술에 대한 사색 / ▼d 김광명 지음.
260 ▼a 서울 : ▼b 학연문화사 , ▼c 2006.
300 ▼a 302 p. : ▼b 색채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88-294)과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2006a Accession No. 1113653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 2006a Accession No. 11136533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예술이란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그 답을 찾기 위한 사색의 과정을 보여주는 책.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로부터 시작하여 우리의 미 개념과 미 의식을 다룬다. 아울러 서구에서의 미 개념을 살펴보고 미의 표현 범주를 고찰하고, 그리고 미에 대한 학적인 접근과 탐구가 어떠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지은이의 기본입장은 미를 통해 우리의 인식영역이 끊임없이 넓어져왔다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한국현대미술의 흐름을 조망하고 그 미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미디어 시대의 예술의 내용은 어떠하며, 특히 가상현실과 현실적 삶이 어떻게 만나며, 그 이중성이 어떻게 변증법적으로 해소되는가를 고찰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광명(지은이)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미학을 전공했으며,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 철학부에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을 연구한 후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술로는 『칸트 판단력비판 연구』, 『칸트미학의 이해』, 『칸트의 삶과 그의 미학』, 『칸트평전』, 『칸트 판단력 비판 읽기』 등이 있다. 한국 칸트학회 회장 및 고문, 숭실대학교 사회교육원장 및 인문대 학장을 역임하고, 미국 버지니아 대학 풀브라이트 교환교수를 지냈으며 제18회 서우학술상을 수상했고, 현재는 숭실대 철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 머리에 = 6
1장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1. 들어가는 말 = 21
 2. 우리의 미 개념과 미의식 = 23
 3. 서양에서의 미 개념 = 28
 4. 미의 표현과 범주 = 32
 5. 미에 대한 학적 탐구 = 35
 6. 인식영역의 확장으로서의 미 = 43
2장 한국 현대미술 흐름의 미학적 의의와 전망
 1. 들어가는 말 = 49
 2. 현대미술의 특징 = 50
 3. 예술작품의 근원과 해석 = 53
 4. 맺음말 = 57
3장 미디어 시대의 예술
 1. 들어가는 말 = 61
 2. 미디어 시대의 예술의 내용 = 63
 3. 가상현실과 현실적 삶의 변증법 = 68
 4. 미래에 대한 전망 = 73
4장 예술에서의 고유성과 보편성
 1. 들어가는 말 = 79
 2. 예술의 고유한 특성 = 80
 3. 개별자와 유형 = 86
 4. 구체적 삶과 작품의 해석학적 연결 = 92
 5. 맺음말 = 97
5장 무관심성과 한국미의 특성 : 칸트미학과 연관하여
 1. 들어가는 말 = 101
 2. 무관심성의 의미 = 102
 3. 한국미의 특성으로서의 관조와 무관심성 = 110
 4. 맺음말 = 117
6장 예술의 주제로서의 달에 대한 미적 해석
 1. 들어가는 말 = 121
 2. 자연 혹은 자연환경에 대한 미적인 태도와 감상 = 123
 3. 우리의 예술 전통 속에서의 달 = 131
 4. 자연관조와 탐색의 대상으로 형상화된 달 = 136
 5. 맺음말 : 자연대상으로서의 달과 인간의 미적 조화 = 145
7장 광주미술의 역사성과 미적 문화 : 광주미술상 「걸어온 10년, 가야할 100년」
 1. 광주미술의 역사성 = 149
 2. 미적 문화와 예향(藝鄕) = 151
 3. 자유와 소통의 미학 = 152
 4. 시대정신과 예술 = 156
8장 이경 조요한의 미와 예술론
 1. 이경 조요한의 삶과 학문 = 162
 2.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 = 165
 3. 예술철학 = 168
 4. 한국미의 조명 = 180
 5. 유고집을 통해 본 미론 = 188
9장 오지호의 삶과 예술철학
 1. 삶과 예술 = 197
 2. 현대회화의 근본문제 = 200
 3. 미와 회화의 과학 = 207
 4. 맺음말 = 209
10장 전통을 통한 전통의 극복
 1. 전통을 통한 전통의 극복으로서의 현대도예 / 최학천 = 213
 2. 부작(符作)의 미적 이미지와 삶의 정서(情緖) / 노태범 = 219
 3. 꽃의 형상화에 나타난 물의 중첩 이미지 / 박선진 = 225
 4. 점(点)의 집합을 통한 자연에로의 회귀 / 이형우 = 230
11장 정체성의 탐구
 1. 개념의 국면들 / 앨리스오 = 237
 2. 불안정한 평형 / 디에고 에스포지토 = 242
 3. 원초성의 이미지로서의 동심(童心)의 세계 / 김홍태 = 246
 4. 삶의 흔적과 신체 이미지 / 임은순 = 252
 5. 변할 수 있는 것과 변할 수 없는 것의 관계 / 이명일 = 256
12장 현대성의 모색
 1. 꿈을 통한 미적 자유에로의 여정(旅程) / 진원장 = 263
 2. 구성과 해체 사이의 역동적 이미지 / 류하완 = 268
 3. 자연과의 교감 / 이병채 = 276
 4. 실상 속의 허상 / 홍성은 = 281
참고문헌 = 288
찾아보기 = 29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