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김종성박사의) 뇌졸중 119

(김종성박사의) 뇌졸중 119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종성
서명 / 저자사항
(김종성박사의) 뇌졸중 119 / 김종성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가림 ,   2001.  
형태사항
353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가림건강신서 ; 18
기타표제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뇌졸중 분야의 최고 권위자
ISBN
8978950957
000 00652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269925
005 20100807095741
007 ta
008 011012s2001 ulka 000a kor
020 ▼a 8978950957 ▼g 13510: ▼c \12000
035 ▼a KRIC08057239
040 ▼a 221031 ▼c 221031 ▼d 211010 ▼d 211010
082 0 4 ▼a 616.81 ▼2 21
090 ▼a 616.81 ▼b 2001a
100 1 ▼a 김종성
245 2 0 ▼a (김종성박사의) 뇌졸중 119 / ▼d 김종성 지음.
246 0 3 ▼a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뇌졸중 분야의 최고 권위자
260 ▼a 서울 : ▼b 가림 , ▼c 2001.
300 ▼a 353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가림건강신서 ; ▼v 18
940 ▼a 뇌졸중 일일구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6.81 2001a 등록번호 1410422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종성(지은이)

자(字): 진지(振之)·명지(鳴之) 호(號): 광천(光川)·향암(向岩)·목천(牧川)·요셉·와정(瓦井)·졸빈(拙彬). 충남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주임교수, 의학박사·가정의학 전문의. 알코올중독환자 치료를 위한 <Hanil Alcohol Insight Scale> 개발 하여 SSCI 학술지 발표. <한국인의 적정 음주 기준> 개발. 한국철 학의 ‘선지후행’ 및 ‘선행후지’ 이론을 의학으로 검증하여 국제학술 지 발표. <행동조절에 대한 성리학과 뇌 과학 이론의 현상학적 상 통성과 의학적 함의: 퇴계 心學을 중심으로> 철학 논문으로 대한 가정의학회 학술상. 알코올 분야 150여 편·가정의학 분야 50여 편 논문. 동양 성가 <도산십이곡> 작곡. 묵상곡 <The Way They’ve Gone>·<Dear Teacher> 작곡·연주. 저서 《의사가 알려주는 생활어보. 물고기, 자연, 그리고 나》·《의철학. 마음이 편하지 않을 때는 한 걸음 걸어라: 퇴계와 히포크라테 스의 묵상대화》·《인문의학. 의사가 만난 퇴계》·《음(音)은 사람 의 마음에서 생겨나는 것이며 악(樂)은 마음의 움직임이다》·《알코올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 등 30여 권. 대한가정의학회 공로상(2005·2014), 저술공로상(2013), 출판지원상(2014), 학술상(2011·2014·2015·2017·2022), 존경받는의사상(2015), 우수강사상(2019), 올해의가정의상(2019), 충남대학교 우수도서 출판사업 선정(2014·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뇌졸중이란?
 뇌와 뇌졸중 = 21
  뇌에도 병이 생긴다 = 22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 23
  뇌졸중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 = 24
  뇌는 어떻게 생겼을까? = 26
  뇌혈관의 모양 = 28
제2장 뇌졸중은 어떻게 생기나?
 동맥경화와 혈전 = 33
  동맥경화 = 33
  혈전 = 36
  동맥경화, 혈전은 어떻게 뇌졸중을 일으키나? = 37
  뇌졸중의 종류 = 38
  뇌경색(경색성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 39
  뇌출혈(출혈성 뇌졸중) = 41
  기타 = 42
제3장 뇌졸중, 얼마나 많이 걸리나?
 우리나라의 뇌졸중 발생률 = 45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뇌졸중에 걸려 있나? = 45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새롭게 뇌졸중에 걸리나? = 46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에 뇌졸중이 많은 이유 = 46
  뇌졸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가 = 48
 선진국에서 뇌졸중 사망자가 줄어들고 있는 이유는? = 50
 우리나라에서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이 선진국보다 높은 이유 = 52
 나라·인종·성별에 따라 뇌졸중의 종류는 차이가 있다? = 54
 우리나라에서는 뇌경색이 뇌출혈보다 더 많아졌다 = 56
  원시시대에도 뇌졸중은 있었을까? = 57
제4장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을 일으키는 요인(위험 인자) = 63
  뇌졸중을 일으키는 원인 알아내기 = 64
  나이가 많을수록 뇌졸중에 잘 걸린다 = 65
 뇌졸중과 고혈압 = 68
  고혈압이란? = 69
  고혈압의 원인 = 70
  고혈압의 증상 = 71
  고혈압은 우리나라에 많은가 = 71
  고혈압은 뇌졸중의 중요한 원인인가 = 72
  고혈압은 왜 치료해야 하나? = 73
  고혈압의 치료 시기와 방법 = 74
  수축기 혈압만 높은 사람도 치료해야 하는가 = 75
  어느 정도까지 혈압을 낮춰야 하는가 = 75
  약을 안 쓰고 고혈압을 치료하는 방법(비약물 치료) = 76
  혈압강하제의 종류 = 77
  고혈압 치료의 문제점 = 81
 뇌졸중과 심장병 = 90
  심장병은 뇌졸중의 원인 = 90
  뇌졸중과 동반된 심장병 = 91
 뇌졸중과 당뇨병 = 93
  당뇨병이란? = 93
  당뇨병의 원인 = 94
  당뇨병의 증상 = 94
  당뇨병의 합병증 = 95
  당뇨병과 뇌졸중 = 95
  당뇨병의 치료 = 96
 뇌졸중과 흡연·술·고지혈증 = 97
  흡연 = 97
  음주 = 98
  뇌졸중과 고지혈증 = 99
 기타 원인들 = 105
 뇌졸중과 여성 = 113
  뇌졸중에서 남녀의 차이 = 113
  에스트로젠(여성 호르몬)과 뇌졸중 = 114
 젊은 사람의 뇌졸중 = 117
 뇌졸중을 촉발시키는 요인 = 121
제5장 뇌졸중의 증상
 언제 뇌졸중을 의심해야 할까? = 121
  팔다리에 힘이 빠진다(반신 마비 또는 편마비) = 121
 뇌졸중의 증세와 뇌졸중이 생긴 위치와의 관계 = 136
  중뇌동맥이 막힌 경우 = 137
  전뇌동맥이 막힌 경우 = 139
  경동맥이 막힌 경우 = 141
  후뇌동맥이 막힌 경우 = 143
  척추-기저 동맥이 막힌 경우 = 144
  작은 혈관이 막힌 경우(소경색 또는 라쿤) = 149
  뇌출혈에 의한 증상 = 151
  지주막하 출혈의 증상 = 152
  동정맥 기형에 의한 증상 = 154
제6장 뇌졸중과 비슷한 병
 뇌졸중과 비슷한 병에 대한 Q&A = 157
제7장 뇌졸중의 진단
 진단방법 = 175
  가정에서 본인이나 가족이 뇌졸중에 걸렸는지를 판단하는 법 = 175
  병원에서의 뇌졸중 진단과 검사 = 176
 증상만으로 뇌경색과 뇌출혈을 구분할 수 있는가 = 181
 뇌를 검사하는 방법 = 183
  뇌의 구조를 볼 수 있는 검사 = 183
  뇌혈관(혈류)을 검사하는 방법 = 186
  기타 검사 = 189
 어떤 검사를 어떤 환자에게 하는가 = 191
  뇌경색 = 191
  뇌출혈 = 192
  기타 = 193
제8장 뇌졸중의 치료
 병원에 도착하기 직전의 처치 = 197
  가족이 뇌졸중에 걸린 것 같을 때 처치 = 197
  뇌졸중 환자가 병원에 빨리 오지 않는 이유 = 198
  뇌졸중의 중심부와 주변부란 무엇인가 = 199
  뇌졸중에 걸리면 병원에 빨리 가야 하는 이유 = 200
 병원에서 하는 응급 치료 = 202
  응급 처치 = 202
  혈압 치료 = 203
  뇌압(뇌 안의 압력) 조절 = 204
 뇌경색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물들 = 205
  항응고제 = 205
  항혈소판제 = 208
  혈전 용해제(혈관을 뚫는 약) = 211
 뇌출혈·지주막하 출혈·동정맥 기형의 치료 = 217
  뇌출혈의 치료 = 217
  지주막하 출혈의 치료 = 217
  동정맥 기형의 치료 = 218
 뇌졸중은 어떤 경우에 수술하는가 = 220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수술 = 220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수술 = 221
 수술을 안 하고도 혈관을 치료하는 방법 = 224
  수술을 안 하고 혈관을 넓힐 수 있는가 = 224
  지주막하 출혈도 수술을 안 하고 치료한다 = 225
  기타 뇌졸중 치료에 관한 Q&A = 226
 급성기를 지난 환자의 치료 = 237
  합병증 치료 = 237
  재활 치료 = 238
제9장 뇌졸중의 합병증과 후유증
 일반적인 합병증 = 243
  감염 = 243
  욕창 = 243
  요실금(소변 실금 : 소변을 못 가림) = 247
  변비와 설사(또는 대변 실금) = 249
  뇌졸중 환자가 열이 나는 경우 = 250
  정맥 혈전증 = 250
  심장병 = 251
  영양 실조 = 252
 뇌졸중의 증세에 따른 신체적 후유증 = 253
  팔다리 마비 = 253
  근육의 강직 = 254
  뇌졸중 환자의 올바른 자세 = 255
  발음 장애 = 262
  삼킴 장애(또는 연하 장애) = 263
  감각 장애 = 266
  운동 실조 = 267
  시야 장애 = 268
  보행 장애 = 268
 뇌졸중 환자의 정신적 후유증 = 271
  성격, 판단력, 행동 장애 = 271
  뇌졸중 환자의 간질 = 290
제10장 뇌졸중 환자의 경과·재발·일상생활
 뇌졸중 환자의 경과 = 293
  뇌졸중 환자의 예후 = 293
 뇌졸중의 재발 = 298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 302
  직업 = 302
  식사 = 303
  담배와 술 = 305
  여행 = 306
  치과 치료를 할 수 있는지 여부 = 306
  운동 = 307
  성생활 = 308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 = 312
  뇌졸중 환자를 간호하는 사람들의 문제점 = 313
제11장 뇌졸중의 예방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 = 317
 혈압이 오르지 않도록 생활하라 = 317
 싱겁게 먹어라(염분 섭취를 줄이기) = 319
 비만을 방지하라 = 322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라 = 325
 스트레스를 풀어라 = 335
 성격을 부드럽게 하라 = 336
 담배를 끊어라 = 338
 술을 자제하라 = 342
 뇌졸중을 예방하는 식사 습관 = 345
 뇌졸중 노이로제 = 349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들 = 351


관련분야 신착자료

대한수면학회 (2022)
대한비과학회 (2022)
Spinelli, Ernesto (2023)
Greenberg, Leslie S. (2023)
Razzaque, Russell (2023)
대한전립선학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