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역사적 고찰 = 1
제2장 갑상선 발생 및 구조 = 3
Ⅰ. 갑상선 발생 = 3
Ⅱ. 갑상선 구조 = 4
1. 육안소견 = 4
2. 혈관 = 5
3. 림프 = 5
4. 신경 = 5
5. 현미경적 구조 = 5
Ⅲ. 갑상선의 발생 이상 = 6
Ⅳ. 갑상선 발생의 분자 기전 = 7
1. 갑상선 전사인자-1 = 8
2. 갑상선 전사인자-2 = 8
3. Pax-8 = 9
제3장 갑상선호르몬 합성 및 분비 = 11
Ⅰ. 요오드 대사 = 11
1. 요오드 공급, 흡수 및 배설 = 11
2. 갑상선의 요오드 섭취 및 운반 = 12
Ⅱ.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및 분비 = 17
1. 갑상선글로불린 = 18
2. 갑상선과산화효소 = 21
3. 요오드의 산화 및 유기화 = 21
4. 요오드티로신의 연결 = 23
5. Tg의 분해 및 갑상선호르몬 방출 = 23
제4장 갑상선호르몬 운반 및 대사 = 27
Ⅰ. 갑상선호르몬 운반 :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 = 27
1.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의 물리화학적 성상 = 27
2.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의 선천적 이상 = 28
3. 갑상선호르몬 결합단백에 영향 주는 후천적 인자 = 29
Ⅱ. 갑상선호르몬 대사 = 30
1. 갑상선호르몬 교체 및 역동 = 30
2. 갑상선호르몬 대사 = 30
Ⅲ.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구조 : 기능적 영역 = 39
제5장 갑상선호르몬의 작용 = 39
Ⅰ.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구조 : 기능적 영역 = 39
1. DNA 결합 영역 = 39
2. 리간드 결합 영역 = 40
3. 겹첩 영역 = 40
4. 아미노종단(A/B) 영역 = 41
Ⅱ.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동종형 = 41
1. 베타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 41
2. 알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 42
Ⅲ.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에 의한 전사 조절 = 42
1. 갑상선호르몬반응요소 = 43
2.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보조억제물질 및 보조활성물질 = 44
Ⅳ. 갑상선호르몬의 조직에 대한 효과 = 49
1. 골 = 49
2. 심장 = 50
3. 지방 = 50
4. 간 = 51
5. 뇌하수체 = 51
6. 뇌 = 52
7. 대사에 대한 영향 = 52
Ⅴ.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유전자 변이에 의한 표현형 = 53
1. TR α knockout = 54
2. TR β knockout = 55
3. TR α 및 TR β knockout = 55
제6장 갑상선기능의 조절 = 61
Ⅰ. 갑상선자극호르몬 = 61
1. TSH의 화학 및 생합성 = 61
2. TSH의 작용 기전 = 63
Ⅱ. TSH의 합성과 분비 조절 = 63
1. 갑상선호르몬 = 64
2. 갑상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 65
3. 소마토스타틴(성장억제호르몬, Somatostatin)의 역할 = 66
4. 도파민 = 67
5. 알파-아드레날린성 작용물질 = 67
6. 세로토닌 및 다른 신경전달물질 = 67
7. 종양괴사인자와 시토카인 = 68
8. 스테로이드호르몬 = 68
Ⅲ. TSH 분비 양상의 변화 = 68
1. TSH의 일중변동 = 68
2. 온도, 나이 및 칼로리 제한의 영향 = 69
3. 스트레스, 비갑상선질환 및 정신질환의 영향 = 69
4. 시상하부-뇌하수체 질환의 영향 = 71
Ⅳ. 갑상선기능의 자가조절 = 72
제7장 갑상선의 성장, 분화 및 apoptosis = 75
Ⅰ. 갑상선의 성장과 분화 조절 = 75
1. 갑상선 세포막 수용체 발현 = 75
2. TSH 수용체의 연결 = 75
3. 갑상선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인자 = 75
4. 갑상선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 = 77
5. 갑상선세포의 세포주기 조절 = 84
6. 요약 = 85
Ⅱ. 갑상선질환에서의 apoptosis = 85
1. Apoptosis 경로 = 86
2. Apoptosis의 조절 = 90
3. 갑상선질환에서의 apoptosis = 91
4. 갑상선질환에서 apoptosis의 병인론적 역할 = 93
제8장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환경 인자 및 약제의 영향 = 105
Ⅰ. 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한 갑상선의 반응 = 105
1. 온도 = 105
2. 고도 및 광선 = 105
3. 영양상태 = 106
4. 무기물 = 107
Ⅱ. 물리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갑상선 반응 = 109
1. 수술 = 109
2. 급성 정신적 스트레스 = 109
Ⅲ. 약제 및 화학물 = 110
1. 갑상선종유발물질 = 110
2. 갑상선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약제 및 화학물 = 111
Ⅳ. 시토카인과 갑상선기능 = 113
1. 요오드섭취에 대한 시토카인의 영향 = 114
2. 요오드 유기화 및 갑상선글로불린 합성에 대한 시토카인의 영향 = 114
3. 갑상선호르몬 분비에 대한 시토카인의 영향 = 114
4. 갑상선세포 성장에 미치는 시토카인의 영향 = 114
5. TSH 합성 및 분비에 미치는 시토카인의 영향 = 114
제9장 비갑상선질환의 갑상선기능 = 117
Ⅰ. 비갑상선질환에서 갑상선기능의 변화 = 117
1. 저T₃ 상태 = 117
2. 저T₃-T₄ 상태 = 118
3. 갑상선호르몬 역동의 변화 = 120
Ⅱ. 비갑상선질환에서 갑상선호르몬 변화의 기전 = 122
1. 요오드티로닌 탈요오드효소 활성 억제 = 122
2. 요오드티로닌의 세포막 통과 억제 = 122
3. T₄의 결합단백과의 결합 억제 = 123
4. 시토카인의 억제 효과 = 123
Ⅲ. 특정 비갑상선질환에서의 갑상선기능 변화 = 124
1. 간질환 = 124
2. 신질환 = 124
3. 정신질환 = 124
4. 후천성면역결핍증 = 125
Ⅳ. 비갑상선질환 환자에서 갑상선질환의 진단 = 125
Ⅴ. 예후 및 치료 = 126
제10장 갑상선기능검사
Ⅰ. 갑상선호르몬 및 관련 물질의 측정 = 129
1. 측정 원리 및 방법 = 129
2. 혈청 총 T₄ 및 총 T₃ 측정 = 130
3. 유리 갑상선호르몬(FT4 및 FT3) 측정 = 133
4. 혈청 TSH 측정 = 137
5. 갑상선 자가항체 측정 = 139
6. 혈청 갑상선글로불린 측정 = 144
Ⅱ. 갑상선기능검사의 임상적 응용 전략 = 147
1. 갑상선기능검사를 필요로 하는 대상 = 147
2. 갑상선호르몬 측정 결과의 해석에서 유의할 사항 = 147
3. 갑상선호르몬 측정 결과의 해석 및 임상 응용 = 150
Ⅲ. 체내 검사 = 156
1. 방사성요오드섭취율 = 156
2. 과염소산염방출시험 = 157
3. T₃ 억제검사 = 158
4. TRH 자극검사 = 158
Ⅳ. 갑상선기능의 대사, 생리 및 임상적 지표 = 161
1. 기초대사율 = 161
2. 아킬레스건반사 시간 = 161
3. 혈청 콜레스테롤 = 161
4. 수축기시간간격 = 161
5. 근효소 = 163
6. 혈청 단백 및 효소 = 163
Ⅴ. 갑상선 영상 = 163
1. 갑상선스캔 = 163
2. 갑상선 초음파 = 170
Ⅵ. 미세침흡인 세포검사 = 173
1. 미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적응증 = 173
2. 방법 = 175
3. 세포검사의 판독 = 177
4. 미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정확도 = 183
제11장 갑상선 자가면역 = 191
Ⅰ. 면역 반응 개관 = 191
1. 면역계 발달 = 191
2. 선천 면역 반응 = 192
3. 후천 면역 반응 = 194
Ⅱ. 갑상선 자가면역 반응 = 212
1.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의 항원 = 213
2.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의 면역 반응 = 220
4. 갑상선세포와 면역 반응: 조직 손상의 기전 = 236
5. 자가면역에 대한 가설적 설명 = 239
Ⅲ.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하시모토 갑상선염, 일차성 점액부종 및 그레이브스병 = 257
1. 하시모토 갑상선염 = 257
2. 일차성 점액부종 = 257
3. 그레이브스병 = 257
제12장 갑상선질환의 임상 진단 = 271
Ⅰ. 병력 청취 = 271
Ⅱ. 갑상선 진찰 = 273
1. 갑상선의 해부학적 위치 = 273
2. 시진 = 273
3. 촉진 = 274
4. 청진 = 275
5. 위양성 및 위음성 갑상선종 = 275
제13장 갑상선기능항진증: 그레이브스병 = 277
Ⅰ. 정의 및 분류 = 277
Ⅱ. 그레이브스병 = 279
1. 원인 및 병인 = 279
2. 빈도 = 280
3. 임상소견 = 280
4. 진단 = 305
5. 치료 = 313
Ⅲ. 갑상선중독발증 = 333
1. 병태생리 = 333
2. 임상소견 = 333
3. 치료 = 334
제14장 그레이브스병의 갑상선 이외의 임상 소견: 안병증, 피부병증 및 선단부병증 = 343
Ⅰ. 그레이브스 안병증 = 343
1. 분류 = 343
2. 빈도 = 344
3. 소인 및 위험인자 = 346
4. 병리소견 및 병인 = 351
5. 임상소견 = 360
6. 치료 및 경과 = 364
Ⅱ. 그레이브스병의 피부병증 = 380
1. 임상상 = 381
2. 병리 소견 = 382
3. 병인 = 383
4. 치료 = 383
Ⅲ. 갑상선 선단부병증 = 385
1. 빈도 = 385
2. 임상상 = 385
3. 치료 및 경과 = 387
제15장 갑상선기능항진증: 다른 원인에 의한 갑상선중독증 = 389
Ⅰ. 중독성 선종 및 중독성 다결절성 갑상선종 = 389
1. 중독성 선종 = 389
2. 중독성 다결절성 갑상선종 = 396
Ⅱ. 가족성 및 선천성 비자가면역성 갑상선기능항진증 = 397
Ⅲ. TSH-분비 뇌하수체 종양 = 399
1. 빈도 및 분류 = 399
2. 임상소견 = 399
3. 검사소견 = 400
4. 진단 및 감별진단 = 401
5. 치료 = 403
Ⅳ. 영양막종양 = 405
1.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과 갑상선자극 작용 = 405
2. 임상상 = 406
3. 진단 = 406
4. 치료 = 407
제16장 갑상선기능저하증 = 409
Ⅰ. 원인별 분류 및 빈도 = 409
1. 정의 및 분류 = 409
2. 역학 및 빈도 = 410
Ⅱ. 임상소견 = 412
1. 얼굴, 피부 및 그 부속물 = 412
2. 심맥관계 = 414
3. 호흡기계 = 418
4. 신장 및 전해질 대사 = 418
5. 위장관 및 간 = 419
6. 혈액 = 420
7. 근육계 = 421
8. 신경정신계 = 421
9. 내분비 = 422
10. 에너지 및 영양 대사 = 423
Ⅲ. 진단 = 425
1. 임상 진단 및 스크리닝 = 425
2. 검사소견 = 426
3. 진단적 접근 및 감별진단 = 428
Ⅳ. 치료 = 429
1. 갑상선호르몬 제제 = 429
2. 치료 용량, 경과 = 430
3.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 중 나타나는 문제점 = 432
4.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 = 434
Ⅴ. 점액부종 혼수 = 435
1. 임상소견 및 진단 = 435
2. 치료 = 436
Ⅵ. 중추성 갑상선기능저하증 = 437
1. 원인 = 437
2. 임상소견 = 437
3. 진단 = 438
4. 치료 = 438
제17장 갑상선염 = 443
Ⅰ.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 = 443
1. 원인 및 병인 = 443
2. 임상소견 및 진단 = 444
3. 치료 및 경과 = 445
Ⅱ. 아급성 갑상선염 = 446
1. 빈도 = 446
2. 원인 = 446
3. 병리 및 병인 = 446
4. 임상소견 = 448
5. 검사소견 = 449
6. 진단 및 감별진단 = 450
7. 치료 및 경과 = 450
Ⅲ. 무통성 갑상선염(아급성 림프구성 갑상선염) = 451
1. 빈도 = 451
2. 원인 = 451
3. 병리 = 452
4. 임상소견 = 452
5. 검사소견 = 453
6. 진단 및 치료 = 454
Ⅳ. 산후 갑상선염 = 455
1. 유병률 = 455
2. 원인 및 위험인자 = 456
3. 임상소견 및 경과 = 461
4. 진단 = 463
5. 추적 관찰 및 예후 = 464
6. 치료 = 465
7. 스크리닝, 예방 = 466
Ⅴ. 만성 림프구성(하시모토) 갑상선염 = 467
1. 빈도 = 467
2. 병리 및 병인 = 467
3. 임상소견 = 469
4. 검사소견 = 470
5.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임상 변형 = 471
6. 진단 및 치료 = 472
7. 경과 = 472
Ⅵ. 약제-유발 갑상선염 = 473
1. 아미오다론-유발 갑상선염 = 473
2. 리치움 = 474
3. Interferon α 및 IL-2 = 474
Ⅶ. 리델 갑상선염 = 474
제8장 비중독성 미만성 및 결절성 갑상선종 = 481
Ⅰ. 정의 = 481
Ⅱ. 원인 = 481
Ⅲ. 병리 및 병인 = 482
1. 병리 = 482
2. 병인 = 482
Ⅳ. 임상소견 = 484
1. 빈도 = 484
2. 임상상 = 484
Ⅴ. 진단 = 485
Ⅵ. 치료 = 486
1. 수술 = 486
2. 방사성요오드 = 486
3. T₄ 억제요법 = 487
4. 치료법 선택 = 487
Ⅶ. 경과 및 예후 = 488
Ⅷ. 흉골하 갑상선종 = 488
1. 원인 = 488
2. 빈도 = 488
3. 분류 = 489
4. 임상소견 = 489
5. 진단 및 치료 = 490
제19장 갑상선결절 = 493
Ⅰ. 빈도 = 493
Ⅱ. 병리학적 분류 및 병인 = 494
1. 갑상선 결절의 조직학적 분류 = 494
2. 병리학적 감별진단 = 497
Ⅲ. 자연 경과 = 497
Ⅳ. 임상소견과 진단 = 498
1. 병력 = 498
2. 증상 및 징후 = 499
3. 악성과 양성의 감별 = 500
4. 검사소견 = 500
5. 진단적 접근과 치료법 선택 = 506
Ⅴ. 치료 = 509
1. 비기능성 단일결절 = 509
2. 비중독성 다결절성 갑상선종 = 515
3. 자율기능성 갑상선결절 = 516
Ⅵ. 우연히 발견되는 갑상선결절(우연종; Incidentaloma) = 517
1. 빈도 = 517
2. 임상적 의의 및 치료 = 517
제20장 갑상선암 = 527
Ⅰ. 갑상선종양의 분류 = 527
1. 양성종양 = 527
2. 악성종양 = 529
Ⅱ. 갑상선암의 역학 = 529
1. 빈도 = 529
2. 위험인자 및 유발인자 = 533
Ⅲ. 갑상선암의 분자 병인론 = 538
1. 갑상선 여포세포 증식의 조절 = 538
2. 갑상선 자극인자들의 신호전달경로 = 538
3. 갑상선 종양에서 나타나는 분자 수준의 이상 = 541
4. 갑상선종양 발생의 단계적 기전 = 549
Ⅳ. 갑상선 분화암(유두암 및 여포암) = 550
1. 병리 소견 = 550
2. 임상소견 및 감별진단 = 558
3. 예후 및 병기 분류 = 559
4. 일차 치료 = 568
5. 경과 관찰 = 577
6. 재발 및 전이의 치료 = 588
Ⅴ. 갑상선 수질암 및 제2형 다발성내분비선종 = 589
1. 분류 및 역학 = 589
2. 병리 = 590
3. 유전 = 592
4. 임상소견 = 596
5. 진단 = 597
6. 치료, 경과 관찰 및 예후 = 599
Ⅵ. 역형성 갑상선암 = 601
1. 빈도 및 역학 = 601
2. 원인 = 601
3. 병리 = 602
4. 임상소견 = 603
5. 자연 경과 및 예후 = 605
6. 치료 = 605
Ⅶ. 갑상선 림프종 = 606
1. 빈도 = 606
2. 원인 = 606
3. 병리 = 606
4. 임상소견 = 607
5. 진단 = 608
6. 예후 = 609
7. 치료 = 609
제21장 선천성 갑상선질환 = 621
Ⅰ.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 621
1. 원인별 분류 및 빈도 = 621
2. 임상소견 = 622
3. 진단 = 622
4. 치료 = 623
Ⅱ. 갑상선 발생의 유전적 결손 = 623
1. TITF1(갑상선 전사인자1/TTF1, NKX2)결손 = 624
2. FOXE1(갑상선 전사인자2/TTF-2)결손 = 624
3. PAX8변이 = 625
Ⅲ. 갑상선호르몬 합성의 유전적 결손 = 626
1. 시상하부-뇌하수체 결손 = 626
2. 갑상선 여포세포 수준에서 호르몬 합성 장애 = 627
3. 갑상선호르몬결합단백 이상 = 631
Ⅳ. 갑상선 발생 이상 = 631
1. 갑상설관낭 = 631
2. 이소갑상선 = 631
3. 갑상선 편측무발생 = 632
제22장 갑상선호르몬 내성증후군 = 637
Ⅰ. 임상소견 = 637
Ⅱ. 진단 및 감별진단 = 639
1. 진단 = 639
2. 감별진단 = 640
Ⅲ. 치료 = 641
Ⅳ. 원인 = 642
1.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 642
2. TR β 유전자 변이 = 643
3. TR β 유전자 돌연변이의 작용 기전 = = 643
제23장 임신과 갑상선 = 647
Ⅰ. 모체 갑상선기능 = 647
1. 정상 임신에서의 갑상선 기능 조절 = 647
2. 임신 중 갑상선호르몬 농도의 변화 = 650
3. 임신 중의 갑상선종 = 650
Ⅱ. 태아 갑상선기능 = 651
1. 개체발생 = 651
2. 양수의 갑상선호르몬 = 652
3. 모체-태반-태아의 상호작용 = 652
4. 출생 후 갑상선기능 변화 = 653
Ⅲ. 임신 중의 갑상선기능항진증 = 654
1. 모체 갑상선기능항진증 = 654
2. 임신성 일과성 갑상선기능항진증 = 658
3. 태아 및 신생아 갑상선기능항진증 = 659
Ⅳ. 임신 중의 갑상선기능저하증 = 660
1. 모체 갑상선기능저하증 = 660
2. 모체 갑상선기능저하증과 신경정신 발달 = 662
3. 태아 및 신생아 갑상선기능저하증 = 667
Ⅴ. 임신 중의 갑상선결절 = 669
1. 빈도 및 병리 = 669
2. 검사 = 669
3. 치료 및 경과 관찰 = 669
Ⅵ. 임신과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 669
1. 임신 중 면역 현상의 변화 = 670
2. 출산 후 면역 변화 = 671
3. 임신과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 672
제24장 노인에서의 갑상선질환 = 677
Ⅰ. 연령 증가에 따른 갑상선의 형태적 변화 = 677
Ⅱ. 노인에서의 갑상선 생리 = 677
1.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분비 및 대사 = 677
2.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 축 = 678
Ⅲ. 노인에서의 갑상선질환 = 678
1. 갑상선기능저하증 = 678
2. 갑상선기능항진증 = 680
3. 갑상선 결절 및 암 = 682
제25장 무증상 갑상선질환 = 685
Ⅰ. 무증상 갑상선기능항진증 = 685
1. 정의 = 685
2. 원인 = 685
3. 유병률 및 자연경과 = 686
4. 임상소견 = 687
5. 치료 = 689
Ⅱ.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 689
1. 정의 = 689
2. 원인 = 690
3. 유병률 = 690
4. 자연 경과 = 691
5. 진단 및 감별진단 = 693
6. 임상소견 및 치료 효과 = 694
7. 치료 = 698
8. 선별검사 = 700
제26장 요오드와 갑상선질환 = 705
Ⅰ. 요오드결핍질환 = 705
1. 지방병성 갑상선종 = 705
2. 지방병성 크레틴증 = 708
3. 진단 = 708
4. 치료 = 709
Ⅱ. 요오드-유발 갑상선질환 = 709
1. 요오드-유발갑상선기능항진증 = 710
2. 요오드-유발갑상선기능저하증 = 712
Ⅲ. 아미오다론-유발 갑상선질환 = 715
1. 아미오다론의 약리 = 715
2. 아미오다론이 정상 갑상선에 미치는 영향 = 716
3. 아미오다론에 의한 갑상선기능장애 = 719
4. 아미오다론 치료 중인 환자의 추적 지침 =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