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 요약
제1장. 서론 = 1
1. 연구 목적 = 3
2. 연구 내용 = 6
3. 연구 방법과 과정 = 8
제2장. 현행 교육과정의 실태와 쟁점 = 13
1.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 15
2.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평가 = 26
3. 현행 교육과정의 쟁점 = 52
4. 소결 = 56
제3장.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와 동향 = 59
1. 교육과정 국제 비교의 준거 = 61
2.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 67
3. 소결 = 144
제4장.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 149
1.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방향 = 151
2. 사회과 교육과정의 쟁점별 개선 방안 = 161
3. 소결 = 176
제5장.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및 내용 체계 = 179
1. 현행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문제점 = 181
2.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방향과 영역별 제안 = 189
3. 초둥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의 과정 및 내용 체계 = 201
4. 소결 = 211
제6장. 중등학교 역사 교육의 개선 방향 및 내용 체계 = 213
1. 역사과 교육의 목표 및 성격과 우리나라 역사 교육 현황 = 215
2. 중등 역사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정 과정 = 222
3. 중등 역사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및 내용 체계 = 232
4. 소결 = 238
제7장. 중등학교 지리 교육의 개선 방향 및 내용 체계 = 239
1. 현행 사회과 중등 지리영역 교육과정의 문제점 = 241
2. 중등 지리과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방향 = 247
3. 중등 지리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 및 내용 체계 = 261
4. 소결 = 269
제8장. 중등학교 일반사회 교육의 개선 방향 및 내용 체계 = 273
1. 현행 중등 일반사회 교육과정의 문제점 = 275
2. 중등 일반사회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 방향 = 279
3. 중등 일반사회 교육과정의 구성 과정 및 개선 내용 체계 = 284
4. 중등 일반사회 내용 체계 = 306
5. 소결 = 309
제9장.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 313
1. 조사 개요 = 315
2. 조사내용 및 조사 대상자 특성 = 319
3. 사회과 성격ㆍ내용 및 실행 조건에 대한 조사결과 및 제언 = 320
4. 시안에 대한 의견 조사결과 및 제언 = 355
제10장. 결론 : 요약과 제언 = 385
1.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연구의 결과 = 387
2.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정책 제언 = 391
참고 문헌 = 395
abstract =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