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이학적 검사와 과거력 청취의 개략 / 이용찬 = 1
임상적 평가 : 앞의 길 = 1
건강력 : 구조와 목적 = 2
포괄적인 성인 건강력 = 4
과거력의 일자와 시간 = 4
자료의 확인 = 4
신뢰도 = 4
주 증상 = 4
현 병력 = 4
과거력 = 5
가족력 = 5
개인과 사회력 = 6
문진 검사 = 6
이학적 검사 : 접근과 개요 = 8
포괄적인 이학적 검사 = 9
일반적 관찰 = 9
활력징후 = 10
피부 = 10
머리, 눈, 귀, 코, 인후부(HEENT) = 10
경부 = 10
배부 = 10
후부 흉곽과 폐 = 10
유방, 액와부와 상연골륜(epitrochlear) 림프절 = 10
전부 흉곽과 폐 = 11
심혈관계 = 11
복부 = 11
하지 = 11
신경계 = 12
추가적인 이학적 검사 = 12
검사소견을 기록하기 = 13
N부인의 증례 = 14
과거력과 이학적 검사 배우기 = 19
제2장 면담과 병력 / 홍성표 = 21
준비 : 면담에 의한 접근 = 23
자기 성찰을 위한 시간투자 = 23
입원 기록 검토 = 23
면담의 목적 설정 = 23
의사의 행동과 외모에 대한 검토 = 24
환경 개선 = 24
기록 작성 = 24
환자에 대한 이해 : 면담의 과정 = 24
환자와의 인사 및 관계 형성 = 25
환자의 이야기를 이끌어낸다 = 26
면담을 위한 목록 작성 = 27
병력의 확장과 명시(환자의 시각) = 27
진단 가설의 성립과 검정(의사의 시각) = 28
문제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창출 = 29
계획에 대한 협상 = 30
추적 관찰과 종료에 대한 계획 = 30
환자의 병력청취에 도움 : 능숙한 면담 기술 = 31
능동적 청취 = 31
적합한 질문 = 31
비언어적 전달 = 32
도움 = 32
반향 = 33
감정 응답 = 33
확인 = 33
안심 = 34
요약 = 34
중요한 전환 = 34
특별한 상황에 관한 적응적인 면담 기술 = 34
말이 없는 환자 = 34
말 많은 환자 = 35
불안한 환자 = 35
우는 환자 = 36
혼란스러운 환자 = 36
화내거나 파괴하는 환자 = 37
언어 장벽이 있는 환자 = 37
읽는데 문제가 있는 환자 = 38
청각 손상이 있는 환자 = 38
시각 장애가 있는 환자 = 39
지적 수준이 낮은 환자 = 39
병력을 기억 못하는 환자 = 40
개인적 문제를 가진 환자 = 40
면담의 특별한 관점 = 40
문화적인 적격성 = 41
알코올과 약 복용력 = 44
성적 병력 = 46
가정폭력과 육체적 폭력 = 47
정신 병력 = 48
사망과 임종 환자 = 49
의사-환자간의 성적문제 = 50
윤리적 고려 = 51
다른 연령의 환자들과 면담 = 54
어린이와의 면담 = 54
청소년과의 면담 = 56
노인과의 면담 = 57
제3장 신체검사 입문 : 일반적 조사와 활력징후 / 임세중 = 61
해부학과 생리학 = 61
체질량 지수 계산 = 62
체질량 지수 측정과 활용 = 63
건강력 = 64
체중변화 = 64
피로와 무력감 = 65
발열과 오한 = 66
건강증진과 상담 = 66
최적의 체중과 영양 = 66
운동 = 67
혈압과 다이어트 = 67
진찰기술 = 68
검사 시작 : 단계 설정 = 68
환자에의 접근 = 68
검사영역 : 얼마나 자세히 해야 하는가? = 69
검사 순서, 검사 자세 및 손놀림 = 69
조명조절과 환경 = 71
환자의 안위 증진 = 71
일반적 조사 = 72
현재의 건강 상태 = 73
의식수준 = 73
불편감 = 73
신장과 체적 = 74
체중 = 74
피부색과 분명한 병변 = 74
옷차림, 몸치장과 개인위생 = 74
얼굴 표정 = 75
신체와 호흡시의 냄새 = 75
자세, 보행, 운동 = 75
활력징후 = 75
혈압 = 76
혈압커프(혈압계)의 선택 = 76
측정법 = 76
정상 및 비정상 수치의 정의 = 79
예외적인 문제점 = 79
불안한 환자 = 79
비만하거나 너무 마른 팔 = 79
다리의 맥박과 혈압 = 80
약하거나 청진되지 않는 Korotkoff음 = 80
부정맥 = 80
심박동수와 리듬 = 80
심박동수 = 80
리듬 = 81
호흡수와 리듬 = 81
체온 = 81
제4장 피부 / 안성구 = 95
해부학과 생리학 = 95
연령에 따른 변화 = 97
건강력 = 98
건강증진과 상담 = 98
진찰기술 = 100
피부 = 100
색조 = 100
습도 = 101
온도 = 101
피부 감촉 = 101
운동성과 긴장도 = 101
병변 = 101
침상생활을 하는 환자들에 대한 평가 = 101
손·발톱 = 102
모발 = 102
임상에서의 피부 병변 = 102
제5장 머리와 목 / 김형진 = 115
해부학과 생리학 = 115
머리 = 115
눈 = 115
육안해부학 = 115
시야 = 119
시각경로 = 119
동공반사 = 120
눈의 자율신경공급 = 120
외안근 운동 = 122
귀 = 123
해부학 = 123
청각경로 = 124
평형 = 125
코와 부비강 = 125
구강과 인두 = 128
목 = 131
연령에 따른 변화 = 134
건강력 = 136
머리 = 136
눈 = 137
귀 = 138
비강과 부비동 = 139
구강, 인두, 목 = 140
건강증진과 상담 = 141
진찰기술 = 143
머리 = 143
두발 = 143
두피 = 144
두개골 = 144
안면 = 144
피부 = 144
눈 = 144
시력 = 144
대면 시야 검사 = 145
눈의 위치와 정렬 = 146
눈썹 = 146
눈꺼풀 = 147
눈물기관 = 147
결막과 공막 = 147
각막과 수정체 = 148
홍채 = 148
동공 = 148
외안근 = 149
검안경검사 = 151
귀 = 156
이개(귓바퀴) = 156
외이도와 고막 = 156
청력 = 157
공기전도와 골전도 = 158
비강과 부비동 = 159
구강과 인두 = 160
입술 = 160
구강점막 = 161
잇몸과 치아 = 161
입천장 = 161
혀와 구강저 = 161
인두 = 162
목 = 163
림프절 = 163
기관과 갑상선 = 165
경동맥과 경정맥 = 167
특별한 수기 = 167
돌출된 눈에 대한 평가 = 167
비루관폐쇄 = 167
상안검결막(위 눈꺼풀결막) 관찰 = 168
교대불빛검사 = 169
부비동 철조법(투과조명법) = 169
제6장 흉곽과 폐 / 김세규 = 209
해부학과 생리학 = 209
흉부 소견들의 위치 확인 = 210
폐, 열(Fissures), 엽(Lobes) = 212
흉부에서의 위치들 = 214
기관(Trachea)과 주기관지(Major bronchi) = 214
흉막(Pleurae) = 214
호흡(Breathing) = 215
연령에 따른 변화 = 216
건강력 = 216
건강증진과 상담 = 218
진찰기술 = 220
호흡과 흉곽의 초기 조사 = 220
후흉부의 검진 = 221
시진 = 221
촉진 = 221
타진 = 223
타진 특성들(Percussion Notes) = 224
청진 = 226
호흡음(Breath Sounds ; 폐음 : Lung Sounds) = 226
호흡부가음(adventitious(added) Sound) = 228
전도되는 성음(Transmitted Voice Sound) = 229
흉부 전면의 검진 = 229
시진 = 229
촉진 = 230
타진 = 231
청진 = 233
특별한 수기 = 233
폐기능의 임상적 측정 = 233
노력성호기시간(Forced Expiratory Time) = 233
늑골의 골절 확인 = 233
제7장 순환기계 / 최재웅 = 245
해부학과 생리학 = 245
심장과 대혈관의 표면 도해 = 245
심방실, 판막 및 순환 = 247
심주기 과정 = 248
심음의 분열 = 250
심잡음 = 251
흉벽과 청진 소견과의 관계 = 252
전도계 = 252
펌프로서의 심장 = 254
맥압과 혈압 = 255
경정맥압과 맥박 = 256
경정맥압(Jugular Venous Pressure(JVP)) = 256
경정맥 박동 = 257
연령에 따른 변화 = 258
심첨부 박동과 심음 = 258
심잡음 = 259
동맥과 혈압 = 260
건강력 = 260
건강증진과 상담 = 262
진찰기술 = 265
경정맥압과 박동 = 265
경정맥압(Jugular Venous Pressure(JVP)) = 265
경정맥 박동 = 267
경동맥 박동 = 268
이상 진동과 잡음 = 269
상완 동맥 = 269
심장 = 270
시진과 촉진 = 271
심첨부 박동 혹은 최대 박동 지점(PMI) = 272
제3과 제4심음 = 274
좌 흉골 연 3, 4, 5번째 늑간 우심실 지역 = 274
좌측 2번째 늑간 폐동맥 지역 = 276
우측 2번째 늑간 대동맥 지역 = 276
타진 = 276
청진 = 276
청진의 개요 = 276
심음 청진 = 278
심잡음의 특성 = 279
심혈관 평가 방법 = 282
특별한 수기 = 282
수축기 잡음을 청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 = 282
교대맥(pulsus altemans) = 283
기이맥(paradoxical pulse) = 283
제8장 유방과 액와부 / 박용검 ; 장인택 = 295
해부학과 생리학 = 295
연령에 따른 변화 = 297
성인 = 297
노화 = 298
림프선 = 298
건강력 = 299
건강증진과 상담 = 299
유방암의 위험인자 = 299
유방암의 선별검사 = 301
진찰기술 = 302
여성 유방 = 302
시진 = 303
측면으로 팔을 둔 자세 = 303
머리 쪽으로 팔을 올린 자세, 엉덩이를 손으로 누르는 자세, 앞으로 기대는 자세 = 304
촉진 = 305
유방 = 305
유두 = 307
남성유방 = 307
액와부(겨드랑이) = 308
시진 = 308
촉진 = 308
특별한 수기 = 309
자발성 유두분비의 평가 = 309
유방절제 환자의 검사 = 310
유방 자가 검진 지도 = 310
제9장 복부 / 김병익 = 315
해부학과 생리학 = 315
연령에 따른 변화 = 318
건강력 = 318
소화기계 = 319
요로계 = 325
건강증진과 상담 = 327
진찰기술 = 329
복부 = 329
시진 = 329
청진 = 331
타진 = 332
촉진 = 332
가벼운 촉진 = 332
심부 촉진 = 333
복막염에 대한 접근 = 333
간(Liver) = 334
타진 = 334
촉진 = 335
간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에 압통의 평가 = 337
비장(Spleen) = 337
타진 = 337
촉진 = 338
콩팥(신장) = 340
촉진 = 340
좌측신장의 촉진 = 340
우측 신장의 촉진 = 340
신장 압통의 검토 = 341
방광 = 341
대동맥 = 341
특별한 수기 = 342
복수의 평가 = 342
복수가 있는 복부에서 장기나 종괴의 평가 = 344
충수염의 평가 = 344
급성 담낭염의 평가 = 345
복측 탈장(ventral hernia)의 평가 = 345
복벽 종괴 = 345
복강내 종괴와 복벽 종괴의 구별 = 345
제10장 남성 생식기와 탈장 / 박용검 ; 장인택 = 363
해부학과 생리학 = 363
림프계 = 364
서혜부(Groin)의 해부학 = 365
연령에 따른 변화 = 365
건강력 = 366
건강증진과 상담 = 367
진찰기술 = 368
음경 = 368
시진 = 368
촉진 = 369
음낭과 그 내용물 = 369
시진 = 369
촉진 = 370
탈장 = 371
시진 = 371
촉진 = 371
음낭 탈장 검사하기 = 372
특별한 수기 = 372
고환의 자가 검진 = 372
제11장 여성 생식기 / 황윤영 = 379
해부학과 생리학 = 379
림프계 = 381
연령에 따른 변화 = 381
건강력 = 382
초경, 생리, 폐경 = 382
임신 = 383
외음부 및 질 증상 = 383
성적 활동 = 383
건강증진과 상담 = 385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Pap smear) = 385
가족계획에 대한 선택 = 385
성매개 질병과 HIV = 386
폐경의 변화 = 386
진찰기술 = 387
장비 선택 = 388
환자 자세 잡기 = 389
외진 = 389
청소년기 환자의 성성숙도 평가 = 389
외생식기 시진 = 389
내진 = 390
질벽 지지대의 평가 = 390
질경 넣기 = 390
자궁경부 시진 = 391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를 위한 검사물 채취 = 392
질시진 = 393
양손검사 시행 = 393
골반 근육의 세기 평가 = 395
직장-질 검사 = 395
탈장 = 396
특별한 수기 = 396
제12장 임신 여성 / 황윤영 = 405
해부학과 생리학 = 405
건강력 = 409
건강증진과 상담 = 410
진찰기술 = 412
자세 = 412
장비 = 413
기본적인 시진 = 413
생체징후와 몸무게 = 414
머리와 목 = 414
흉곽과 폐 = 414
심장 = 415
유방 = 415
복부 = 415
생식기, 항문, 직장 = 417
질경진찰 = 417
양손촉지법 = 417
사지 = 418
특별한 수기 = 419
변형화된 레오폴드 수기 = 419
제1수기〈맨 위극〉 = 419
제2수기〈산모복부의 양 옆〉 = 420
제3수기〈맨 아래극〉 = 420
제4수기〈선진부의 확진〉 = 421
결론적인 방문 = 421
제13장 항문, 직장과 전립선 / 박용검 ; 장인택 = 423
해부학과 생리학 = 423
연령에 따른 변화 = 424
건강력 = 425
건강증진과 상담 = 426
진찰기술 = 428
남자 = 428
여자 = 432
제14장 말초 순환계 / 김도균 = 437
해부학과 생리학 = 437
동맥 = 437
정맥 = 438
림프계와 림프절 = 440
체액의 교환과 모세혈관 = 441
연령에 따른 변화 = 442
건강력 = 442
건강증진과 상담 = 443
진찰기술 = 445
상지(arms) = 445
하지 = 446
특별한 수기 = 452
손에 분포한 동맥순환 평가 = 452
만성동맥부전증시 체위에 따른 피부색깔의 변화 = 453
정맥류의 위치 확인 = 454
정맥의 판막 기능 평가 = 454
제15장 근골격계 / 이경태 = 461
해부학과 생리학 = 461
관절의 구조와 기능 = 461
관절의 종류 = 462
점액낭 = 463
측두 하악 관절 = 464
개요, 뼈의 구조, 관절 = 464
근육군과 부속 구조물 = 464
어깨관절(견갑관절) = 465
개요 = 465
골 구조 = 465
관절 = 466
근육그룹 = 466
기타 구조물들 = 467
주관절 = 468
개요, 골 구조물들, 그리고 관절들 = 468
근육 그룹과 부가적인 구조물들 = 468
수근 관절과 수부 = 469
개요 = 469
골 구조 = 469
관절 = 469
근육 = 470
그 외의 구조물들 = 470
척추 = 471
개요 = 471
골 구조 = 472
관절 = 472
척추의 근육들 = 473
고관절 = 474
개요 = 474
뼈 구조와 관절들 = 474
근육군 = 475
부속 기관 = 475
무릎 = 475
개요 = 475
뼈 구조 = 476
관절 = 477
근육 = 477
추가 구조물 = 478
발목과 발 = 478
개요 = 478
골구조와 관절 = 479
근육과 추가구조물 = 479
연령에 따른 변화 = 480
건강력 = 480
건강증진과 상담 = 483
진찰기술 = 485
측두하악골 관절 = 487
시진과 촉진 = 487
운동범위와 조작 = 487
견관절 = 488
시진 = 488
촉진 = 488
운동범위와 조작 = 489
주관절 = 492
시진과 촉진 = 492
운동범위와 조작 = 492
손목과 손 = 493
시진 = 493
촉진 = 494
운동 범위와 조작 = 495
척추 = 497
시진 = 497
촉진 = 499
운동범위와 조작 = 500
고관절 = 502
시진 = 502
촉진 = 504
운동범위와 조작 = 505
슬관절과 하부 하지 = 507
시진 = 507
촉진 = 507
운동범위와 측정 및 방법 = 511
발목과 발 = 513
시진 = 513
촉진 = 513
운동 범위와 조작 = 514
특별한 수기 = 515
손목 굴 증후군 = 515
다리로 방사되는 아랫 등 동통 = 516
다리의 길이 재기 = 516
관절운동 한계를 기술하기 = 517
제16장 신경계 / 이광수 = 531
해부학과 생리학 = 531
중추 신경계 = 532
뇌 = 532
척수 = 533
말초 신경계 = 534
뇌신경 = 534
말초 신경 = 534
척수 반사 : 심부근 건반사 = 536
운동 경로 = 537
감각 경로 = 538
연령에 따른 변화들 = 544
건강력 = 545
건강증진과 상담 = 548
진찰기술 = 551
정신 상태 = 552
외모와 행동 = 553
의식 수준 = 553
자세와 운동 = 554
옷차림, 개인 위생 = 554
안면 표정 = 554
매너, 감정, 사람과 사물과의 관계 = 554
어투와 언어 = 554
양 = 554
말의 속도 = 554
음량 = 555
말씨 = 555
유창함 = 555
기분 = 555
사고와 지각 = 556
사고 과정 = 556
사고 내용 = 557
지각 = 558
병식과 판단력 = 559
인지 기능 = 559
지남력 = 559
집중력 = 559
원격 기억(Remote Memory) = 560
최근 기억(Recent Memory) = 560
학습 능력 = 560
고위 인지 기능들 = 560
정보와 어휘력 = 560
계산력 = 561
추상적 사고 = 561
구성력 = 561
뇌신경 = 562
개요 = 562
뇌신경 Ⅰ - 후각신경 = 562
뇌신경 Ⅱ - 시각신경 = 562
뇌신경 Ⅱ, Ⅲ - 시신경과 눈돌림 신경 = 563
뇌신경 Ⅲ, Ⅳ, Ⅵ - 눈돌림신경, 도르래신경, 가돌림신경 = 563
뇌신경 Ⅴ - 삼차신경 = 563
뇌신경 Ⅶ - 얼굴신경 = 564
뇌신경 Ⅷ - 청각신경 = 565
뇌신경 Ⅸ, Ⅹ - 혀인두신경과 미주신경 = 565
뇌신경 XI - 척수 부신경(spinal accessory nerve) = 565
뇌신경 XII - 혀밑신경 = 566
운동신경계 = 566
자세 = 566
불수의 운동 = 566
근육 볼륨 = 566
근육 톤(tone) = 568
근육의 강도(strength) = 568
협조(조화, Coordination) = 573
감각신경계 = 578
테스트 유형 = 578
통각 = 579
온각 = 579
가벼운 촉각 = 579
진동감각 = 580
위치감각 = 580
감각 식별력 = 580
심부근건반사(Deep tendon reflex, DTR) = 582
이두박근 반사(C5, C6) = 583
삼두박근 반사(C6, C7) = 584
Supinator 혹은 Brachioradialis 반사(C5, C6) = 584
복부 반사 = 585
무릎 반사(L2, L3, l4) = 585
발목반사(주로 S1) = 586
발 바닥 반사(L5, S1) = 586
간대경련(Clonus) = 587
특별한 수기 =588
인지기능 검사(MMSE) = 588
고정자세 불능(Asterixis) = 588
날개모양의 견갑골 = 588
뇌수막 징후 = 588
항문 반사 = 589
혼미 혹은 혼수 환자 = 589
제17장 영아에서 청소년기까지의 소아 신체검진 / 배기수 ; 유재은 ; 정조원 = 617
소아의 발달(Child development) = 619
중요원칙 = 619
영아기 : 일생의 첫해 = 620
신체 발달 = 620
인지, 언어 발달 = 621
사회, 정서 발달 = 621
아동초기 : 1-4세 = 622
신체 발달 = 622
인지, 언어 발달 = 623
사회, 정서 발달 = 623
아동중기 : 5-10세 = 624
신체 발달 = 624
인지, 언어 발달 = 624
사회, 정서 발달 = 625
청소년기 : 11-20세 = 625
신체 발달 = 626
인지 발달 = 626
사회, 정서 발달 = 626
건강증진과 상담 = 627
소아의 연령별(신체) 검진 접근 = 630
검진순서 = 632
신생아 평가 = 632
출생 후 즉각적인 검진 = 634
출생 후 수 시간내의 신생아 진찰 = 637
영아(Infant)의 평가 = 639
평가척도를 이용한 발달검사 = 641
초기 아동기(Early Childhood)의 평가 = 643
중기 아동기(Middle Childhood)의 평가 = 646
청소년(Adolescent)의 평가 = 647
진찰기술 = 649
일반 검진(General Survey) = 649
신체 성장 : 키, 몸무게, 머리둘레 = 649
키(height) = 650
몸무게(weight) = 650
머리둘레(head circumference) = 651
연령별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for-Age) = 652
활력징후(Vital Signs) = 652
혈압 = 652
맥박(심박동수) = 655
호흡수 = 656
체온 = 656
피부(Skin) = 657
신생아 및 초기 영아기(Newborn and early infancy) = 657
피부결 및 외형(Texture and appearance) = 657
색소침착(Pigmentation) = 658
출생시 특징(Feature at birth) = 658
생리적 황달(Physiologic jaundice) = 659
혈관증식(Vascular marking) = 659
초기 아동기와 후기 아동기(Early and late childhood) = 660
머리(Head) = 660
영아기(Infancy) = 661
봉합과 천문(Sutures and fontanelles) = 661
두개골과 얼굴의 대칭(Symmetry of the skull and face) = 662
두개골 투영법(Transillumination) = 663
신생아 얼굴 대칭성(The face of infants for symmetry) = 663
아동전기 및 아동후기(Early and late childhood) = 664
목(Neck) = 664
목 운동성(neck mobility) 검진 = 665
눈(Eye) = 666
영아기 = 666
초기 아동기(Early Childhood) = 669
후기 아동기와 청소년기(Late Childhood and Adolescent) = 670
귀(Ear) = 670
영아기(Infancy) = 670
초기 아동기(Early Childhood) = 671
후기 아동기(Late Childhood) = 674
코 및 부비동(Nose and Paranasal Sinuses) = 675
영아기(Infancy) = 675
초기 아동기 및 후기 아동기(Early and late Childhood) = 675
구강 및 인두(Mouth and Pharynx) = 676
영아기(Infancy) = 676
초기 아동기 및 후기 아동기(Early and late Childhood) = 677
흉곽 및 유방 = 680
영아기(Infancy) = 680
초기 아동기 및 후기 아동기(Early and late Childhood) = 683
심장(Heart) = 685
시진(Inspection) = 685
촉진(Palpation) = 686
청진(Auscultation) = 688
유방 = 694
유아기 = 694
연장 소아와 청소년기 = 694
복부(Abdomen) = 696
신생아 및 영아기 = 696
시진 = 696
청진 = 696
타진 = 696
촉진 = 696
초기 아동기 및 후기 아동기, 청소년기 = 697
촉진 = 698
남자 생식기(Male Genitalia) = 699
신생아 및 영아기 = 699
초기 및 후기 아동기 = 700
청소년기 = 701
여자 생식기(Female Genitalia) = 704
신생아 및 영아 = 704
초기 및 후기 아동기 = 705
사춘기(Adolescense) = 709
직장검진(rectal examination) = 711
근 골격계(Musculoskeltal System) = 711
신생아 및 영아기(Infancy) = 711
초기 및 후기 아동기(Early and Late Childhood) = 716
신경계(Nervous System) = 723
신생아 및 영아기(Newborn Period and Infancy) = 723
초기 및 후기 아동기(Early And Late Childhood) = 731
청소년기 = 733
제18장 임상적 추론, 평가, 계획 / 정재복 = 781
평가 및 계획 : 임상적 추론 과정 = 781
평가의 생성 = 781
N부인의 경우 : 평가와 계획 = 785
임상자료를 요구하기 위한 접근 = 788
하나 혹은 다수의 문제에 관한 자료의 종합 = 788
자료의 광범위한 정렬을 통한 세밀한 조사 = 788
자료에 질적인 접근 = 789
임상자료의 전시 = 790
증례의 확립 : 임상 추론과 임상 자료 평가의 상호작용 = 792
환자 기록의 조직(정리) = 794
문제 목록 만들기 = 797
진행기록 작성 = 798
임상평가 = 798
부록 = 799
참고문헌 = 801
찾아보기 = 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