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15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266819 | |
005 | 20100807092214 | |
007 | ta | |
008 | 040524s2004 ulkag 000a kor | |
020 | ▼a 8931671342 ▼g 93670: ▼c \15000 | |
035 | ▼a KRIC09324755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10 ▼d 211010 | |
082 | 0 4 | ▼a 780/.9519 ▼2 21 |
085 | ▼a 780.953 ▼2 DDCK | |
090 | ▼a 780.953 ▼b 2004e | |
100 | 1 | ▼a 김성경 , ▼d 1959- ▼0 AUTH(211009)11332 |
245 | 2 0 | ▼a (일반인을 위한) 한국음악입문 / ▼d 김성경 저. |
250 | ▼a 초판 | |
260 | ▼a 서울 : ▼b 은하출판사 , ▼c 2004. | |
300 | ▼a 262 p. : ▼b 삽도,악보 ; ▼c 23 cm. | |
504 | ▼a 서지적 각주 수록 | |
650 | 4 | ▼a Music ▼z Korea |
700 | 1 | ▼a 김성경 ▼g 金性卿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780.953 2004e | Accession No. 1410353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음악의 역사 속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유입과 변동, 한국음악의 기초이론, 악기, 다양한 범주에 따른 역사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 등을 쉽게 설명하고 그 음악의 감상을 돕는 음반과 영상제작물 등을 간단히 소개한다. 이 책의 근본 목적은 일반인들로 하여금 우리 음악의 근본을 제대로 알고 감상할 수 있는 보편적인 안목은 높이기 위한 지침서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책은 한국음악의 역사 속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유입과 변동, 한국음악의 기초이론, 악기, 다양한 범주에 따른 역사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 등을 쉽게 설명하고 그 음악의 감상을 돕는 음반과 영상제작물 등을 간단히 소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근본 목적은 일반인들로 하여금 우리 음악의 근본을 제대로 알고 감상할 수 있는 보편적인 안목은 높이기 위한 지침서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曲. 문화의 유입과 한국음악의 흐름 1 樂章. 20세기 외래문화의 유입과 충돌 = 9 2 樂章. 한국음악사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수용 = 12 1 節. 상고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 = 12 2 節. 고려시대 = 17 3 節. 조선 전기부터 조선 중기 = 22 4 節. 조선 후기부터 19세기 = 32 3 樂章. 21세기를 맞이한 한국음악의 전망 = 37 Ⅱ 曲. 한국음악의 기초적 상식 1 樂章. 한국음악은 다양한 갈래가 있다 = 51 1 節. 한국음악사 속에서의 갈래 = 51 2 節. 음악의 장르에 따른 갈래 = 54 2 樂章. 한국음악에는 고유한 율명, 즉 음명이 있다 = 59 1 節. 12율명과 삼분손익 = 59 2 節. 5음음계와 선법 = 61 3 樂章. 전통적인 기보법은 고악보로 전해온다 = 68 1 節. 세종대왕의 정간보 = 68 2 節. 그 밖의 기보법 = 74 4 樂章. 한국악기는 몇 종류나 될까? = 77 1 節. 전통적인 악기분류법 = 77 2 節. 서양악기 분류법에 의한 한국악기의 소개 = 80 5 樂章. 쌍ㆍ편ㆍ고ㆍ요로 이루어지는 장단의 재미 = 122 1 節. 장단의 기보법 = 122 2 節. 장단의 유형 = 125 6 樂章. 시김새가 이끌어가는 한국음악의 미 = 136 1 節. 음의 변화와 시김새의 연관성 = 136 2 節. 음의 곡선을 그리는 시김새의 종류 = 138 3 節. 시김새의 표현미 = 144 Ⅲ 曲. 한국음악의 갈래에 따른 감상 1 樂章. 예악(禮樂)사상의 의식음악 = 153 1 節. 최고(最古)의 문묘제례악 = 153 2 節. 조선시대 종묘제례악 = 155 3 節. 조선시대 궁중음악 = 159 2 樂章. 풍류방의 선비음악 = 170 1 節.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줄풍류 = 170 2 節. 가객(歌客)의 노래 = 173 3 樂章. 지역에 따라 음악적 특징이 다른 잡가와 민요 = 179 1 節. 잡가의 발생과 음악적 특징 = 179 2 節. 민요의 발생과 음악적 특징 = 185 4 樂章. 소리ㆍ아니리ㆍ발림으로 엮어가는 판소리 = 195 1 節. 판소리의 발생과 종류 = 195 2 節. 판소리에서 '이면'의 미 = 196 3 節.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 = 198 5 樂章. 시김새를 느낄 수 있는 산조 = 208 1 節. 산조의 발생 = 208 2 節. 산조의 특징 = 209 3 節. 산조의 종류 = 212 6 樂章. 화불화(和不和)의 시나위 = 216 1 節. 시나위의 유래 = 216 2 節. 시나위의 음악적 특징 = 216 7 樂章. 신명(神明)의 타악놀이 = 218 1 節. 풍물놀이와 농악 = 218 2 節. 사물놀이 = 226 8 樂章. 인간의 무사안녕을 비는 음악 = 228 1 節. 무악(巫樂) = 228 2 節. 불교음악 범패 = 230 Ⅳ 曲. 악기 편성에 따른 연주 형태로의 감상 1 樂章. 전통적인 연주형태는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가 = 233 1 節. 합주 = 233 2 節. 세악합주 = 236 3 節. 삼현육각 = 238 4 節. 병주 = 240 5 節. 병창 = 242 6 節. 독주 = 243 2 樂章. 현대적인 한국음악의 다양한 모습들의 감상 = 245 1 節. 한국음악 창작의 시작과 전개 = 245 2 節. 여러 형태로 창작된 한국음악의 감상 =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