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국어)
Ⅰ 국어 과목 = 10
1. 교육 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 10
2. 교육 과정 개정의 중점 = 10
3. 국어과의 성격 = 14
4. 국어과의 목표 = 15
5. 국어과의 내용 체계 = 16
6. 국어과의 학년별 내용 = 21
7. 국어과의 교수·학습 방법 = 23
8. 국어과의 평가 = 36
9. 국어과 교수·학습 계획과 지도 = 42
제2장 국어 생활
Ⅰ 총론 = 70
1. 성격 = 70
2. 목표 = 71
3. 내용 체계 = 74
Ⅱ 영역별 내용 = 76
1. 국어와 우리의 삶 = 76
2. 국어 생활의 실천 = 81
3. 국어 생활과 국어 정신 = 96
Ⅲ 교수·학습 방법 = 99
Ⅳ 평가 = 102
제3장 화밥(말하기·듣기)
Ⅰ 총론 = 108
1. 성격 = 108
2. 목표 = 109
3. 내용 체계 = 112
Ⅱ 영역별 내용 = 115
1. 본질 = 115
2. 원리 = 126
3. 태도 = 152
4. 화법의 실제 = 160
Ⅲ 교수·학습 방법 = 172
Ⅳ 평가 = 174
제4장 독서(읽기)
Ⅰ 총론 = 180
1. 성격 = 180
2. 목표 = 181
3. 내용 체계 = 183
Ⅱ 영역별 내용 = 185
1. 본질 = 185
2. 원리 = 197
3. 태도 = 236
4. 독서의 실제 = 243
Ⅲ 교수·학습 방법 = 247
Ⅳ 평가 = 255
제5장 작문(쓰기)
Ⅰ 총론 = 260
1. 성격 = 260
2. 목표 = 262
3. 내용 체계 = 263
Ⅱ 영역별 내용 = 264
1. 작문의 본질 = 264
2. 작문의 원리 = 278
3. 작문의 태도 = 302
4. 작문의 실제 = 305
Ⅲ 교수·학습 방법 = 307
Ⅳ 평가 = 310
제6장 국어 교재론
Ⅰ 국어 교재론 = 316
1. 국어 교재의 개념 = 316
2. 다른 교과와 구별되는 국어 교재의 조건 = 316
3. 실제 수업에서의 국어 교재의 기능 = 317
4. 국어 교재의 층위 = 318
5. 국어 교재관 = 320
6. 국어 교재의 종류 = 320
7. 국어 교과서의 구성 요소 = 321
8. 사고력 중심 교재의 방향 = 322
9. 7차 국어교과서 = 324
Ⅱ 제7차 국어 교과서의 편찬 = 325
1. 국어 교과서 편찬의 기본 방향(중학교를 중심으로) = 325
2. 국어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 구성 =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