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글 - 좋아하다, 아름답다, 싶다 = 9
Ⅰ. 음악미학의 주요 문제들
1. 미학·음악학·음악미학 - 음악미학의 개념 = 21
2. 음악미학의 연구대상 = 31
3. 음악은 외부 대상의 모방인가? - 모방미학 = 38
4. 음악은 감정의 표현인가? - 낭만주의 감정미학 = 48
5. 음악 자체를 위한 음악은 존재하는가? - 절대음악의 미학 = 54
6. 음악미학적 논쟁 - 성악음악과 기악음악 = 61
7. 창작자의 음악미학 - 음악시학 = 70
8. 연주자의 음악미학 - 해석이론 = 80
9. 청취자의 음악미학 - 수용미학 = 98
10. 음악과 현실 - 음악적 리얼리즘 미학 = 105
11. 좋은 음악과 나쁜 음악 - 음악에 대한 가치판단 = 105
12. 음악미학과 분석 = 113
13. 20세기 음악도 아름다운가? - 현대음악의 미학Ⅰ = 123
14. 모더니즘, 중간음악, 신고전주의 - 현대음악의 미학Ⅱ = 129
15. 아방가르드와 포스트 모더니즘 - 현대음악의 미학Ⅲ = 139
Ⅱ. 음악미학의 역사
1. 20세기 = 151
2. 18-19세기 = 156
가. 자연의 모방 = 161
영(David E. Yong : 1683-1765) = 163
뒤보(Jean Baptiste Dubos : 1670-1742) = 164
바퇴(Charles Batteux : 1713-1780) = 167
애비슨(Charles Avison : 1709-1770) = 170
그레트리(Andr´e Ernest Modeste Gr´etry : 1741-1813) = 171
나. 이태리 오페라와 프랑스 오페라에 대한 논쟁 = 173
Monsieur L. T. = 175
마르텔로(Pier Jacopo Martello : 1665-1727) = 177
알가로티(Francesco Algarotti : 1712-1764) = 178
루소(Jean-Jacques Rousseau : 1712-1778) = 179
샤스텔뤼(Francois-Jean de Chastellux : 1734-1788) = 182
다. 음악과 수사학(修辭學) = 184
마테존(Johann Mattheson : 1681-1764) = 186
라모(Jean-Philippe Rameau : 1683-1764) = 188
샤바농(Michel-Paul Guy de Chabanon : 1730-1792) = 189
포르켈(Johann Nikolaus Forkel : 1749-1818) = 192
라. 철학적 미학 = 195
바움가르텐(Alexander Gottlieb Baumgarten : 1714-1762) = 196
칸트(Immanuel Kant : 1724-1804) = 199
헤겔(Georg Friedrich Wilhelm Hegel : 1770-1831) = 204
쉘링(Friedrich Wilhelm Joseph Schelling : 1775-1854) = 208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 1788-1860) = 210
마. 노래를 위한 미학 = 214
크라우제(Christian Gottfried Krause : 1719-1770) = 215
베를린 노래악파(베를린 악파, 또는 북부 독일악파) = 216
크반츠(Johann Joachim Quantz : 1697-1773) = 217
술쳐(Johann Georg Sulzer : 1720-1779), 슐츠(Johannes Abraham Peter Schulz : 1747-1800) = 219
슈바르트(Christian Friedrich Daniel Schubart : 1739-1791) = 219
바. 음악의 형이상학 = 222
장 폴(Jean Paul : 1763-1825) = 223
박켄로더(Wilhelm Heinrich Wackenroder : 1773-1798) = 226
루드비히 티크(Ludwig Tieck : 1773-1853) = 227
호프만(Ernst Theodor Amadeus Hoffmann : 1776-1822) = 229
사. 오페라와 드라마 = 233
스탕달(M. de Stendhal : 1783-1842) = 234
마찌니(Giuseppe Mazzini : 1805-1872) = 236
하이네(Heinrich Heine : 1797-1856) = 238
쇼(George Bernard Shaw : 1856-1950) = 241
아. 절대음악과 표제음악 = 243
헤르더(Johann Gottfried Herder : 1744-1803) = 245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 1749-1832) = 248
쉴러(Friedrich Schiller : 1759-1805) = 250
네겔리(Hans Georg N¨ageli : 1773-1836) = 251
슈만(Robert Schumann : 1810-1856) = 252
한슬릭(Eduard Hanslick : 1825-1904) = 255
바그너(Richard Wagner : 1813-1883) = 257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 1803-1867) = 262
리스트(Franz Liszt : 1811-1886) = 264
니체(Friedrich Nietzsche : 1844-1900) = 265
말러(Gustav Mahler : 1860-1911) = 267
자. 음악학자들의 음악미학 = 269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 : 1821-1894) = 271
리만(Hugo Riemann : 1849-1919) = 271
크렛츠마르(Hermann Kretzschmar : 1848-1924) = 274
할름(August Halm : 1869-1929) = 276
쿠르트(Ernst Kurth : 1886-1946) = 277
달하우스(Carl Dahlhaus : 1928-1989) = 280
3. 17세기 = 286
감정이론(Affektenlehre) = 286
음형이론(Figurenlehre) = 287
몬테베르디(Claudio Monteverdi : 1567-1643) = 288
데카르트(Ren´e Descartes : 1596-1659) = 289
메르센느(Marin Mersenne : 1588-1648) = 289
키르셔(Athanasius Kircher : 1601-1680) = 290
4. 15-16세기(르네상스) = 291
팅토리스(Johannes Tinctoris : 1435-1511) = 292
코크리코(Adrianus Petit Coclico : 1499-1562) = 293
그라레안(Heinrich Glarean : 1488-1563) = 294
짜를리노(Gioseffo Zarlino : 1517-1590) = 294
갈릴레이(Vincenzo Galilei : 1520-1591) = 295
루터(Martin Luther : 1483-1546) = 296
5. 4-7세기, 그리고 8-14세기(중세) = 298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 354-430) = 299
보에시우스(Boethius : 484-524) = 300
카씨도루스(Cassidorus : 485년경-580년경) = 301
이시도루스(Isidorus Hispalensis : 560년경-636) = 302
귀도 다렛쪼(Guido d' Arezzo : 992년경-1050) = 302
그로케오(Johannes de Grocheo : 1300년경) = 303
6. 고대 = 304
신화와 음악 = 305
수와 음악/에토스론/음악교육론 = 307
천체음악(천공하모니) = 309
형이상학 = 309
모방이론 = 311
다몬(Damon : 기원전 5세기 중엽) = 313
플라톤(Platon : 기원전 427-347) = 313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 기원전 384-322) = 315
아리스토크세네스(Aristoxenes : 기원전 354-300) = 316
참고문헌 = 317
색인 =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