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3일만에 읽는) 클래식 음악

(3일만에 읽는) 클래식 음악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森元眞由美 , 1960-. 고황진 , 1971-. 고선윤 , 1965-.
Title Statement
(3일만에 읽는) 클래식 음악 = Classical music / 모리모토 마유미 지음 ; 고황진, 고선윤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서울문화사 ,   2004.  
Physical Medium
255 p. : 삽도. ; 23 cm.
Varied Title
3日でわかるクラシック音樂
ISBN
8953296218
General Note
원저자명: 森元眞由美, 196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54-255
000 00934namccc200289 k 4500
001 000045266621
005 20100807091850
007 ta
008 040609s2004 ulka 000a kor
020 ▼a 8953296218 ▼g 03670: ▼c \8000
035 ▼a KRIC09340036
040 ▼a 244007 ▼c 244007 ▼d 211048 ▼d 211010 ▼d 211010
082 0 4 ▼a 780.15 ▼2 21
090 ▼a 780.15 ▼b 2004c
100 1 ▼a 森元眞由美 , ▼d 1960-.
245 2 0 ▼a (3일만에 읽는) 클래식 음악 = ▼x Classical music / ▼d 모리모토 마유미 지음 ; ▼e 고황진, ▼e 고선윤 옮김.
246 1 9 ▼a 3日でわかるクラシック音樂
260 ▼a 서울 : ▼b 서울문화사 , ▼c 2004.
300 ▼a 255 p. : ▼b 삽도. ; ▼c 23 cm.
500 ▼a 원저자명: 森元眞由美, 1960-.
504 ▼a 참고문헌: p. 254-255
700 1 ▼a 고황진 , ▼d 1971-. ▼0 AUTH(211009)11340
700 1 ▼a 고선윤 , ▼d 1965-. ▼0 AUTH(211009)7393
900 1 1 ▼a Morimoto, Mayumi
940 ▼a 삼일만에 읽는 클래식 음악
940 ▼a Mikka de wakaru classic ongaku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780.15 2004c Accession No. 1410361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바흐, 모짜르트에서 스트라빈스키에 이르기까지, 당대를 풍미했던 클래식 음악 대가들의 삶과 클래식 음악의 역사, 장르 및 악기에 관한 이야기를 쉽고 간결하게 풀어낸다.

클래식 음악사를 개괄하고 있는 1장에서는 고전파부터 현대음악까지 시대적인 맥락을, 이후 2장과 3장에서는 작곡가들의 삶과 음악에 대해 기술한다. 클래식을 처음으로 접하는 독자들을 위해, 음악의 장르와 악기에 대한 정보도 요약해놓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모리모토 마유미(지은이)

1960년에 태어나, 도쿄예술대학 음악학부 악리과(樂理科)를 졸업했따. 츠쿠바 만국박람회 외국관 근무를 거치고, <주>리크루트에 입사하여 기업, 학교 광고 디렉터로 근무했다. 지은 책으로 <3일만에 읽는 고전문학>이 있다.

고선윤(옮긴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백석예술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매일신문, 전주제일신문 등에 ‘일본 이야기’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저서로는 『나만의 도쿄』, 『허세의 힘』 등이 있고, 역서로는 『오늘도 법정에 있습니다』, 『몬스터 식품의 숨겨진 비밀』 등 70여 권이 있다.

고황진(옮긴이)

1971년 태어나 중앙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했다. 일본 건축사(1급)자격증을 취득하고 뉴욕에서 활동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장 : 음악이란 무엇인가
 요점 : 음악의 기원과 클래식 음악의 기초 구조를 이해하자
 음악의 정의 : 생활 속에서 자연히 만들어진 음악 = 12
 세계의 클래식 음악 : 고대문명 발생지 주변에서는 독자적인 전통음악도 발전 = 14
 악보 읽는 방법 : 악보는 작곡가가 연주가에게 음악을 전달하기 위한 설계도 = 16
 음정과 음계 : 서양에는 7음, 동양에는 5음의 음계가 많다 = 18
 리듬과 박자 :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소리가 리듬을 만들어낸다 = 20
제1장 클래식 음악의 역사
 요점 : 바로크 시대가 시작되는 1600년은 클래식 음악의 터닝 포인트
 고대 그리스의 음악관과 음악생활 : 고대 그리스에는 음악 올림픽이 있었다 = 26
 학문으로서의 음악 : 대장간의 망치 소리에서 음계를 발견한 피타고라스 = 28
 성가와 음악 : 교회의 성가는 시간이 흐를수록 복잡해졌다 = 30
 기보법 탄생 : 10세기의 악보는 콩나물 대가리가 아닌 기둥 모양 = 32
 중세의 세속가곡 : 음유시인은 풍류를 아는 남자 = 34
 음악의 르네상스 : 500년 전의 IT혁명, 인쇄 기술이 음악을 퍼뜨렸다 = 37
 르네상스의 3명의 음악가 : 풍자 음악가와 살인자 음악가 = 40
 오페라와 모노디 양식 탄생 : 바로크 음악이 시작되는 1600년은 음악의 대전환기 = 44
 오페라의 보급 : 왕후나 귀족의 살롱에서 공개극장으로 넓혀진 오페라 = 46
 기악곡의 발달 : 바이올린만을 위한 곡이 만들어지다 = 48
 바로크 음악의 각국 사정 : 왕후 귀족과 일반 시민이라는 두 가지 서포터가 탄생 = 50
 빈 고전파① : 고전파의 3대 거장이 모두 빈으로 모였다 = 54
 빈 고전파② : 후원자에게 구애받지 않고 자유 음악가로 자립 = 57
 낭만주의란? : 불가사의와 환상을 추구한 낭만적 정신 = 60
 낭만파 음악① - 표제음악 : 젊은 베를리오즈의 실연이 낳은 교향곡의 새로운 장르 = 62
 낭만파 음악② - 가곡과 오페라 : 문학과 음악이 만났다 = 64
 낭만파 음악가 : 악기의 한계에 도전하는 '명언주가들의 시대' = 68
 19세기에서 20세기 - 독일과 오스트리아 : 말러가 두려워한 〈제9교향곡〉의 징크스 = 70
 19세기에서 20세기 - 러시아와 동구 : 원래는 화학자나 해군사관 등이었던 러시아 작곡가들 = 74
 19세기에서 20세기 - 프랑스 : 모네의 그림을 떠올리게 하는 인상주의가 프랑스풍 정신 = 78
 20세기 전반의 미국 : 재즈는 증기선과 라디오를 타고 전세계로 퍼졌다 = 80
 12음 음악의 탄생 : 새로운 12음 음악은 4억 가지 이상의 조합이 가능 = 82
 현대 음악① - 전자음악과 구체음악 : 전자음과 자연의 소리를 이용한 음악이 출현 = 84
 현대 음악② - 우연성과 불확정성 : 기존의 음악 질서를 파괴한 전위음악 = 86
 칼럼 : 옛날의 음표는 콩나물 대가리가 아니었다? = 88
제2장 대작곡가의 삶과 음악 1
 요점 : 바로크 후기에서 고전파 시대까지, 지금의 클래식 음악의 기초를 만들었다
 바로크의 거장① - 헨델 : 파산의 위기에서도 끊임없이 오페라에 도전한 인생 = 92
 헨델의 작품 : 국왕과의 화해를 위해서 작곡한 〈수상의 음악〉 = 96
 바로크의 거장② - J. S 바흐 : 음악가로 활약한 바흐는 50명 이상이었다? = 98
 J. S 바흐의 작품 : 바흐의 곡은 250년 이상이나 피아노 교본으로 쓰이고 있다 = 102
 고전파의 거장① - 모차르트 : 고용 인생을 버리고 자유 음악가로 살았던 신동 = 105
 모차르트의 작품 : 신동 모차르트는 어디서나, 언제라도 음악을 썼다! = 109
 고전파의 거장② - 베토벤 : 최후까지 운명에 마주선 클래식 음악사상의 거인 = 113
 베토벤의 작품① - 피아노 작품 :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은 음으로 쓴 편지와 같은 것 = 118
 베토벤의 작품② - 교향곡 : 관객의 열화와 같은 박수 소리도 듣지 못하는 베토벤 = 120
 칼럼 : 여름 휴가철은 음악제의 시즌 = 122
제3장 대작곡가의 삶과 음악 2
 요점 : 음악가의 개인적인 스타일이 두드러지고 민족주의가 대두되었다
 낭만파의 거장① - 슈베르트 : 정열적으로 끊임없이 작품을 완성시킨 슈베르트 = 126
 슈베르트의 작품 : 37년 만에 친구의 책상서랍 속에서 찾은 교향곡 〈미완성〉 = 129
 낭만파의 거장② - 슈만 : 사랑하는 아내 클라라는 그의 음악의 여신이자 라이벌 = 131
 슈만의 가곡 : 가곡에서 오페라까지 직접 다룬 음시인(音詩人) = 136
 낭만파의 거장③ - 멘델스존 : 유복한 집안에 태어나 음악가로서도 명성을 얻은 행복한 일생 = 138
 멘델스존의 대표적 작품 : 17세 때 쓴 경쾌하고 우아한 〈한여름밤의 꿈〉 = 142
 낭만파의 거장④ - 쇼팽 : 파리 상류계급의 부인들을 사로잡은 피아노의 시인 = 144
 쇼팽의 피아노곡 : 피아노라는 악기만을 위해서 만든 수많은 명곡 = 148
 낭만파의 거장⑤ - 리스트 : 아버지를 한탄하게 만든 연애편력의 슈퍼스타 = 150
 리스트의 대표적 작품 : 매부리코의 리스트는 교항시의 대부 = 154
 낭만파의 거장⑥ - 브람스 : 슈만의 아내 클라라의 힘이 되어 준 음악가 = 156
 브람스의 대표적 작품 : 베토벤의 대를 잇는 교향곡의 대가 = 160
 낭만파의 거장⑦ - 베르디 : 국민적 영웅, 하원의원이 된 이탈리아 오페라의 제왕 = 162
 베르디의 오페라 : 방탕자인 프랑스 국왕이 모델이라, 압력을 받은 〈리골레토〉 = 166
 낭만파의 거장⑧ 바그너 : 혁명에 참가해서, 나라에서 쫓겨난 방랑의 음악가 = 168
 바그너의 오페라 : 플라토닉 러브의 결정(結晶)〈트리스탄과 이졸데〉 = 173
 낭만파의 거장⑨ - 차이코프스키 : 내성적이고 상처를 잘 입는 직업음악가 = 175
 차이코프스키의 대표적 작품 : 마지막까지 표제를 비밀로 하고자 했던 〈비창〉 = 179
 19세기의 거장① - 말러 : 휴가 때는 작곡을 하면서 방랑한 작곡가 = 181
 말러의 대표적 작품 : "50년 후면 갈채를 받았을 것인데"라고 한탄한 〈교향곡 제5번〉 = 185
 19세기의 거장② - 드뷔시 : 세기말의 파리를 풍미했던 드뷔시 = 187
 드뷔시의 대표적 작품 :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의 나른하고 몽환적인 느낌 = 192
 20세기의 거장, 스트라빈스키 : 30세에 세계적 유명인이 된 뒤 89세까지 산 혁명아 = 194
 스트라빈스키의 대표 작품 : 〈봄의 제전〉을 보고 폭동을 일으킨 관객들 = 198
 칼럼 : 연로한 음악가의 휴식처이자 공연장 = 200
제4장 클래식 음악의 스타일과 장르
 요점 : 음악의 구조를 알면 클래식이 재미있다
 부분형식 : 음악에도 문장과 마찬가지로 구절과 기승전결이 있다 = 204
 르프랭과 론도 형식 : 선창을 따라 노래를 부르면서 만들어진 르프랭과 론도 = 206
 소나타와 소나타 형식 : 교향곡이나 협주곡의 제1악장에 주로 쓰이는 소나타 형식 = 208
 교향곡과 교향시 : 교향곡을 최고의 자리로 올린 베토벤 = 210
 협주곡(콘체르토) : 협주곡은 독주 악기 사이의 경쟁 = 212
 모음곡과 무곡 : 바흐의 모음곡은 4개 무곡의 집합이 기본형 = 214
 종교음악 : 중세부터 시작된 종교음악은 20세기가 되어도 건재 = 216
제5장 악기의 역사와 모양
 요점 : 소리를 내는 방법에 따라서 체명, 막명, 현명, 기명, 전명으로 나뉜다
 악기 분류법 : 악기의 과학적 분류법은 고대 인도에서 탄생 = 224
 플루트와 플루트속(屬) : 여성을 바꾸는 신비한 힘을 가졌다고 여겨진 플루트 = 226
 트럼펫 : 악마의 혼을 놀라게 해서 내쫓는 도구였던 트럼펫 = 228
 바이올린과 바이올린속(屬) : 바이올린 명기의 비밀은 본체에 칠하는 니스 = 230
 오르간 : 오르간의 원형은 그리스 신화의 판의 피리 = 233
 피아노 : 큰 소리도 작은 소리도 마음대로 낼 수 있는 피아노 = 235
 타악기군 : 원시시대의 의식에 반드시 필요했던 타악기 = 238
 목소리 : 목소리는 인간의 몸을 쓴 악기 = 240
 오케스트라(관현악) : 오페라의 탄생과 악기의 개량으로 급속히 발전한 오케스트라 = 242
음악 연표 = 24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