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및 편집자 소개 = 4
저자 서문 = 5
시리즈 편집자 서문 = 7
제1부 : 설명
1. 글쓰기를 왜 가르칠까? = 15
1.1. 개관 = 15
1.2.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17
1.3. 서로 다른 학생들과 서로 다른 필요성 = 20
1.4. 결론 = 21
2. 글쓰기의 역할 = 22
2.1. 글쓰기와 말하기 사이의 차이점 = 22
2.2. 글쓰기와 읽기 사이의 차이점 = 26
2.3. 글쓰기 및 권위 = 27
3. 말하기와 글쓰기 = 31
3.1. 입말ㆍ글말 특징을 구별하기 = 31
3.2. 어휘 밀집도 = 34
3.3. 문체 선택 = 39
3.4. 결론 = 41
4. 글말 텍스트의 조직 = 42
4.1. 개관 = 42
4.2. 배치하기 = 43
4.3. 사회적 기능 = 45
4.4. 절들 사이의 관련성 = 50
4.5. 담화 관련성 = 58
4.6. 결론 = 61
5. 글쓰기 교육에 대한 접근: 과정 중심 = 63
5.1. 개관 = 63
5.2. 글쓰기 과정에 대한 모형 = 64
5.3. 반응 녹음 = 67
5.4. 과정 중심 접근에서의 문제점 = 68
5.5. 글쓸 사람이 알아야 할 것 = 71
5.6. 결론 = 72
6. 글쓰기 교육에 대한 접근: 갈래 중심 = 74
6.1. 개관 = 74
6.2. 의사소통 사건 및 의사소통 목적 = 76
6.3. 갈래가 어떻게 변하는가? = 80
6.4. 읽는 사람의 기대 및 스키마 구조 = 84
6.5. 더 전형적이고 덜 전형적인 사례의 정의 : 의사소통 목적 = 86
6.6. 갈래 및 사회적 구조 = 92
6.7. 과정 중심 및 갈래 중심 = 92
제2부 : 시범 보이기
7. 언어 교육에서의 글쓰기 = 101
7.1. 목적 확인하기 = 101
7.2. 글쓸 사람이 알아야 할 것 = 105
7.3. 결론 = 110
8. 실무 및 전문 직업 환경에서의 글쓰기 = 112
8.1. 상이한 맥락에서의 글쓰기 = 112
8.2. 실무 및 전문 직업 맥락 = 114
8.3. 결론 = 124
9. 학술 및 학업 환경에서의 글쓰기 = 125
9.1. 개관 = 125
9.2. 지적/수사학적 접근 = 126
9.3. 사회적/갈래적 접근 = 127
9.4. 구조 및 조직화 = 129
9.5. 논증 = 135
9.6. 문체 = 138
9.7. 결론 = 147
10. 글쓰기 기술 교육 = 148
10.1. 개관 = 148
10.2. 글쓰기 이전 활동 = 149
10.3. 글짓기 및 원고 쓰기 = 159
10.4. 고치기 및 편집하기 = 163
10.5. 결론 = 166
11. 학생의 글 내용에 대해 반응하기 = 167
11.1. 개관 = 167
11.2. 네 가지 기본적인 역할 = 169
11.3. 읽는 사람 = 175
11.4. 도우미 = 176
11.5. 평가자 = 183
11.6. 평가 감독관 = 186
11.7. 결론 = 188
제3부 : 탐구
12. 교실에서의 글쓰기 탐구 = 191
부록
용어 해설 = 215
더 읽을거리 = 221
참고 문헌 = 223
번역자 주석 = 228
찾아 보기 =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