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약속은 어겼어도 거짓말은 안했다?

약속은 어겼어도 거짓말은 안했다?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문성학.
Title Statement
약속은 어겼어도 거짓말은 안했다? / 문성학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대구 :   정림사 ,   2003.  
Physical Medium
291 p. ; 23 cm.
ISBN
898806254X
비통제주제어
한국문학 , 교육칼럼 , 칼럼 ,,
000 00555camccc200205 k 4500
001 000045264668
005 20100807085618
007 ta
008 030130s2003 tgk 000a kor
020 ▼a 898806254X ▼g 03100
035 ▼a KRIC08568429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089.97 ▼2 21
090 ▼a 089.97 ▼b 2003c
100 1 ▼a 문성학. ▼0 AUTH(211009)77228
245 1 0 ▼a 약속은 어겼어도 거짓말은 안했다? / ▼d 문성학 지음.
260 ▼a 대구 : ▼b 정림사 , ▼c 2003.
300 ▼a 291 p. ; ▼c 23 cm.
653 ▼a 한국문학 ▼a 교육칼럼 ▼a 칼럼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089.97 2003c Accession No. 1410252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문성학(지은이)

1956년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1984년에, 박사학위를 1988년에 취득하였다. 1983년에 대구의 덕원고등학교에서 1년간의 교사생활을 했으며, 그 후 경북대, 대구교대, 경일대에서 5년간 강사생활을 했다. 1989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32년간 경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경북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경북대학교 교수회 사무처장, 동서사상연구소 소장, 도서관장, 대학원장, 교학부총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칸트학회장, 한국윤리교육학회장, 대한철학회장을 지냈다. 인간을 가능적 무한자로 보는 입장에서 칸트철학의 난문제들에 대한 해결을 통해 형이상학자로서의 칸트 상을 확립하는 일에 학문적 관심을 집중시켰으며, 그런 관점의 연장선상에서 획득하게 된 개방적 상대주의의 개념으로 한국적 도덕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lt인식과 존재&gt(서광사), &lt칸트철학과 물자체&gt(울산대학교 출판부), &lt칸트철학의 인간학적 비밀&gt(경북대학교 출판부), &lt칸트 윤리학과 형식주의&gt(경북대학교 출판부), &lt도덕·윤리교육의 철학적 기초&gt(경북대학교 출판부), &lt동물해방 대 인간존중&gt(한국학술정보), &lt현대사회와 윤리&gt(새빛출판사), &lt철학과 삶의 의미&gt(새빛출판사), &lt어느 철학자의 한국사회 읽기&gt(세종출판사) 등이 있다. 번역한 책으로는 &lt데카르트와 회의주의&gt(고려원), &lt현실의 문제와 철학적 이해&gt(공역, 형설출판사)가 있다. 또한 근현대 대구·경북의 지성사와 사회운동사를 다룬 다수의 공동연구서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부러지는 교편, 무너지는 교육

 교육에 대한 김대중 정권의 공과(功過) = 11

 부정되는 교권, 붕괴되는 교육 = 15

 위 아래로 도전 받는 총장 직선제 = 21

 민주적 교육은 비권위적 교육인가? = 28

 신지식인 운동의 지식인 죽이기 = 34

 학부제와 대학교육 죽이기 = 41

 교육부의 억지에 무너지는 교육 = 45

 교육적 황사현상의 진원지, '수요자 중심' = 48

 스승의 날에 스승 죽이기 = 51

 동양적 스승관과 서양적 스승관의 사이에서 = 56

 교육은 낮아짐이다 = 64

 길 잃어버린 한 마리 양 = 69

 사제간의 대화 = 73

 인격의 깊이와 학문의 깊이 = 84

 교수가 본 교수상 = 89

 함량미달의 선생 = 95

 교수들의 책 욕심 = 100

제2부 돈과 섹스에 멍든 사회

 부산 아시안 게임과 한반도기 = 109

 노벨상 대통령과 그 아들들 = 112

 약속은 어겼어도 거짓말은 안 했다? = 115

 현대판 왕위 세습국가, 대한민국 = 120

 인간의 소유욕과 자본주의 = 126

 섹스 : 자본주의적 담론의 공통분모 = 132

 자본주의와 멸종위기의 가치들 = 140

 한국인의 '우리주의'와 내부 고발자 = 146

 위기의 한국사회와 고스톱 증후군 = 155

 가정폭력 방지법과 안방에 상륙한 개인주의 = 160

 한국 교회의 개(個)교회 중심주의 = 170

 믿음 만능주의 주술에 걸린 한국 교회 = 178

 사교(邪敎)에 빠져드는 사람들 = 186

 성교(聖敎)는 성교(性交)다 = 193

 지옥은 교육의 장인가 영원한 형벌의 장인가? = 200

제3부 쉽고도 어려운 인생살이

 인생살이가 어려운 이유 = 207

 생의 세 가지 질서와, 설득의 세 가지 유형 = 215

 마광수를 위하여 = 221

 남자들의 바람기, 여자들의 잔소리 벽 = 226

 혼전 성 관계는 더 이상 고민거리가 아니다? = 231

 어항 속의 생리, 어항 밖의 윤리 = 235

 어떤 원숭이의 갈등 = 242

 세상에서 그래도 변치 않는 것 = 251

 희망의 설교와 체념의 법문 = 255

 습관의 세 가지 원리 = 258

 인간의 편견 = 264

 죽음을 부른 자존심 = 268

 무의미한 고통은 없는가? = 278

 도덕의 ABC, 남을 배려하는 마음 = 282

 도덕교육의 핵심, 자기통제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