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30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264613 | |
005 | 20100807085506 | |
007 | ta | |
008 | 011016s2000 ulk SG a kor | |
020 | 1 | ▼a 8975811220(세트) |
020 | ▼a 8975811336 | |
040 | ▼a 211010 ▼d 211009 ▼d 211010 | |
041 | ▼a kor | |
082 | 0 4 | ▼a 089.957 |
090 | ▼a 089.97 ▼b 2000e ▼c 2 | |
245 | 0 0 | ▼a 한국 문화사상대계 . ▼n 2 / ▼d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 |
260 | ▼a 경산 : ▼b 영남대학교 , ▼c 2000. | |
300 | ▼a 490 p.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3 | ▼a 한국 ▼a 문화사상 | |
710 | ▼a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e 편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089.97 2000e 2 | 등록번호 1410101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Volume. 2]---------- 목차 국사학 분야 : 한국 역사 발전과정에 있어서의 영남문화 영남 지역의 고대신화 / 김정숙 = 3 고대 영남문화의 형성과 성격 / 이형우 = 31 고려시대 영남지역의 불교문화 / 김윤곤 = 63 조선중기 영남학파의 내부구조와 학문세계 / 이수건 = 101 16세기의 정국과 영남사림파의 동향 / 이병휴 = 147 다산 정약용의 강진유배기 스님과의 교환 / 정석종 = 189 최시형의 지도노선과 동학교단의 분열 / 배영순 = 203 한국철학 분야 : 한국사상 발전의 역사적 과정 삼국(시대)의 불교 및 통일신라의 불교와 그 특성 / 채수한 = 227 삼국 및 나말려초 유학의 전개와 특징 / 정병석 = 269 고려불교의 전개와 그 특징 / 방인 = 297 여말 주자학의 도입과 조선초기 성리학의 특징 / 이동희 = 323 조선조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 이완재 = 351 한국 양명학의 전개와 그 특질 / 최재목 = 377 한국 실학 자생론 / 이을호 = 411 서양 철학의 전래와 수용 / 신귀현 =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