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 ⅲ
머리말 = ⅵ
역자 서문 = ⅷ
약호 = ⅹ
0. 서론 = 1
0.1 상의 정의 = 1
0.2 의미와 형식 = 9
0.3 용어법 = 16
0.4 본서의 구성 = 19
0.5 개설적 문헌 = 21
제1장 완료상과 미완료상 = 23
1.1 완료상 = 23
1.1.1 완료상의 정의 23
1.1.2 완료상과 그 외의 상적 가치 = 31
1.2 미완료상 = 36
1.2.1 습관상 = 39
1.2.1.1 습관상과 그 외의 상적 가치 = 44
1.2.1 진행상 = 48
제2장 상과 고유 의미 = 61
2.1 점성과 지속성 = 61
2.2 제한성과 비제한성 = 65
2.3 상태와 동적 장면 = 72
제3장 완료 = 77
3.1 완료의 유형 = 84
3.1.1 결과의 완료 = 84
3.1.2 경험의 완료 = 89
3.1.3 존속상황의 완료 = 91
3.1.4 근접과거의 완료 = 92
3.2 완료와 그 외의 상 = 94
3.2 전망상 = 98
제4장 상과 시제 = 101
4.1 완료상, 현재, 미래 = 101
4.2 시제를 제약시키는 상적 구별 = 110
4.3 설화적 현재 = 112
4.4 결합된 시제와 상의 대립 = 121
4.5 무시제 언어에서 상과 시간의 관계 = 129
4.6 상과 태 = 131
제5장 상적 대립의 형식적 표현 = 135
5.1 상의 형태론 = 135
5.1.1 발토슬라브어, 그루지야어, 헝가리어에서 접두사 만들기 = 136
5.1.2 시제와 상이 결합된 형태론적 현상 = 145
5.2 상적 대립의 통사론적 표현 = 151
5.2.1 상적 대립의 처격 표현 = 151
5.2.1.1 진행상과 미완료상 = 151
5.2.1.2 우발적 상태 = 158
5.2.1.3 방향과 상 = 162
5.2.2 현재+과거로서의 완료 = 162
5.2.2.1 완료와 추측 = 165
제6장 유표성 = 170
6.1 유표성과 의미론 = 171
6.2 유표성과 형태론 = 175
6.3 중화 = 177
6.4 유표성과 빈도 = 178
6.5 유표성과 문맥 = 180
6.6 유표성과 정도 = 187
부록A 언어 소개 = 188
A.1 인용된 언어들의 기원별 분류 = 188
A.2 개별적인 언어들의 상 체계 = 190
A.2.1 영어 = 190
A.2.2 슬라브어(러시아어, 불가리아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 = 191
A.2.3 로망스어(불어, 스페인어) = 193
A.2.4 그리스어(고대그리스어, 현대그리스어) = 194
A.2.5 중국어(표준어) = 195
A.2.6 기타 언어들(터키어, 치벰바어) = 196
부록B 상에 관한 최근 연구방법 = 197
B.1 상의 처격주의자 이론 = 198
B.2 자질 분석 = 199
B.3 모형론적 의미론 = 201
참고문헌 = 203
색인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