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57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264424 | |
005 | 20100807085208 | |
007 | ta | |
008 | 060607s2006 ulka b 001a kor | |
020 | ▼a 8991508189 ▼g 03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a 953.059 ▼2 DDCK | |
090 | ▼a 953.059 ▼b 2006f | |
100 | 1 | ▼a 정범준 ▼g 鄭範俊 , ▼d 1970- ▼0 AUTH(211009)76503 |
245 | 1 0 | ▼a 제국의 후예들 / ▼d 정범준 지음. |
260 | ▼a 서울 : ▼b 황소자리 , ▼c 2006. | |
300 | ▼a 559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528-532),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f | 등록번호 1113660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f | 등록번호 1113660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f | 등록번호 1512115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953.059 2006f | 등록번호 1512115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f | 등록번호 1113660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f | 등록번호 1113660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f | 등록번호 1512115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953.059 2006f | 등록번호 1512115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근대와 일제강점기를 지나오며 조선의 왕조는 무너졌고 그 후손들은 지금까지도 불우한 삶을 이어오고 있다. 만화와 드라마에서 상상된 황실은 화려한 외양을 자랑하고 로맨스가 난무하는 공간으로 그려지지만, 실제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일본을 떠돌다 2005년 시신이 되어서야 고국으로 돌아오게 된 영친왕의 아들 이구가 그 대표적인 경우.
이 책은 기존 언론의 선정적인 태도와 대중의 동정 섞인 시각을 배제하고 지난 100년간 펼쳐진 이들 황손들의 역사를 실증적으로 복원하고자 한다.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 이은과 그의 일본인 왕비 이방자(본명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 의친왕 이강과 덕혜옹주, 이구와 그의 전 부인 줄리아 뮬록과 민갑완 등의 일생을 각 장마다 담아냈다.
마치 영화 같은 느낌마저 전해주는 이들의 비극적이고 애절한 역사가 먼저 눈에 띈다. 고종의 고명딸인 덕혜옹주는 망국의 공주라는 심리적 압박으로 인해 정신분열증에 시달렸고, 일본인 황후 이방자는 한·일 간의 불협화음을 감내해야 했다. 한편 MIT를 나온 청년 건축가로 성장한 이구는 푸른 눈의 여성 줄리아와 사랑에 빠지지만 황실을 복원해야 한다는 주변의 압박에 그녀를 매몰차게 버리기도 한다.
그동안 황손들에 대해 잘못 알려졌던 사실들을 르포라이터 경력을 지닌 지은이의 치밀한 자료 조사로 바로잡은 것도 주목할 부분. 이방자의 석녀(石女)설, 덕혜옹주가 남편에게 구타당해 유산을 했다는 설 등의 오류를 공개한다. 또한 독립운동가로 알려진 이강에 대한 또다른 평가, 해방 후 주저없이 일본인으로 귀화한 황족의 이야기 등에서 "민족의식의 구심점", "거지가 된 왕자" 등 기존 황실에 대한 비뚤어진 인식을 지적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범준(지은이)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1학년 때인 1977년, 부산으로 이주했다. 부산에서 초?중?고를 다 졸업했다. 추첨으로 1986년 금성(錦城)고등학교에 입학했는데 결과적으로 내 인생에 제일 큰 영향을 끼친 사건이 됐다. 그곳에서 나는 평생의 지기(知己)를 만났다. 금성고 졸업(1989년)은 롯데 자이언츠 창단 어린이회원 활동(1982년)과 함께 내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경력이다. 서울대 국문학과를 졸업(1997년 8월)했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잠시 공부했다(2000년 1학기). 2000년 5월 〈넷벤처〉라는 잡지사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는데 7개월 만에 잡지가 폐간되어 실업자가 되었다. 하지만 그 후 일자리를 구할 때마다 함께 일하게 된 동료와 상사들이 한결같이 좋았다. 지금까지 《제국의 후예들》, 《이야기 관훈클럽》, 《거인의 추억》, 《작가의 탄생》, 《마흔, 마운드에 서다》, 《흑백 ‘테레비’를 추억하다》, 《돌아오라 부산으로》, 일곱 권의 책을 냈다. 이 책은 정범준이란 필명을 건 여덟 번째 책이다. 이 필명에는 나를 포함한 네 사내의 인연과 우정이 깃들어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프롤로그 = 17 1장 고난의 황태자 영친왕 이은 일본 황태자의 방한 = 21 타국의 밤 = 24 황태자의 탄생 = 28 단 한번의 만남 = 31 황태자의 유년 = 37 낙선재의 조약돌 = 41 엄 황귀비의 훙거 = 46 가례를 올리다 = 51 민갑완, 잔인한 날들의 시작 = 58 이어지는 불행 = 63 상하이로 망명을 떠나다 = 69 싹트는 민족 의식 = 75 유럽 여행 = 77 그대에게 구하는 바 없노라 = 82 차라리 죽기로 마음먹다 = 87 제왕의 풍모 = 93 전쟁의 소용돌이 = 98 사라져라 번뇌여 = 101 해방 혹은 종전 = 107 신정부에 충성을 다하겠다 = 113 영친왕저 문제 = 117 '일본인'이 되다 = 123 약해지는 황태자 = 130 다시 쓰러지다 = 132 세 번의 통곡과 영면 = 139 2장 두 조국의 사이에서 이방자 유년의 기억 = 147 엄격한 황실 교육 = 150 약혼 발표 = 153 '기막힌 법' 황실 전범 = 157 추모시와 연가(戀歌) = 161 신혼의 행복 = 165 '석녀' 이방자 = 170 첫 방한 = 176 첫 아들 진을 하늘로 보내고… = 180 새로운 신앙 = 185 국상을 치르다 = 187 이구의 탄생 = 191 휩쓸려가는 사람들 = 194 해방과 6ㆍ25 = 199 남편의 분노를 보다 = 205 막다른 곳 = 209 일본이여 안녕, 일본이여 안녕 = 214 문화재보호법 = 217 쪽발이 물러가라 = 220 고독한 이를 위해 기도해 달라 = 223 장애인 복지사업 = 229 명휘와 가혜 = 234 애끓는 모정 = 239 여로의 끝 = 243 3장 황태자 아들과 탄광부의 딸 이구와 줄리아 폭풍우 속의 출발 = 249 미국 생활 = 253 줄리아라는 여성을 만나다 = 257 처음 밟은 한국 땅 = 261 다툼과 균열 = 267 분노와 배신감에 휩싸여 한국을 떠나다 = 272 아리타 기누코 = 275 사기 사건에 휘말리다 = 279 영구 귀국 = 281 줄리아의 마지막 편지 = 284 아카사카에 지다 = 288 4장 덕수궁의 금지옥엽 덕혜옹주 황제의 여인과 자녀들 = 295 덕수궁의 꽃이 태어나다 = 301 황제의 밀약 = 305 아버지 고종 황제의 붕어 = 310 끌려가는 옹주 = 314 순종 황제의 붕어 = 320 고아가 [된 덕혜옹주 = 322 병이 시작되다 = 327 '고아들'의 결혼 = 330 아기씨에 대한 추억 = 333 병의 재발 = 338 그들은 정말 사랑했을까 = 340 언니의 기억 = 344 김을한의 충격적인 증언 = 348 이혼이 성립되다 = 353 정혜의 죽음 = 356 성대한 환대 = 360 덕수궁의 꽃이 지다 = 364 5장 극과 극의 평가를 받은 왕자 의친왕 이강 불우한 탄생 = 369 보빙대사 활동 후 귀국 = 372 유럽 순유는 없었다? = 376 역모에 연루되다 = 382 이토 히로부미의 계략 = 397 신변의 위협 = 393 엇갈리는 평가 = 398 배일과 울분의 나날 = 402 3ㆍ1운동과 그의 역할 = 406 가장 빛나는 불끝 = 411 정운복의 역할 = 424 유고에 담긴 뜻 = 428 다시 어둠 속으로 = 432 경비관계철 = 435 그의 최후 = 440 의친왕비의 부덕(婦德) = 444 6장 일본인이 된 황족 이건 출생의 비밀 = 451 일본식 교육 = 455 "나는 천황을 존경하기로 결정지었다" = 460 재빠른 적응 = 464 이혼과 소송 = 468 7장 원폭에 희생된 미남 황손 이우 운현궁의 새주인 = 475 일본 유학 = 479 '민족과 해협' = 482 박영효의 기지와 열성으로 결실을 맺은 결혼 = 486 "나는 일본 것이라면 병적으로 싫습니다" = 490 안타까운 죽음 = 496 8장 남아 있는 황실의 후예들 황실 재산 몰수 = 505 의친왕의 12남 9녀 = 510 살아 있는 황손들 = 518 에필로그 = 525 참고문헌 = 528 주석 = 533 찾아보기 = 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