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264164 | |
005 | 20211109150902 | |
007 | ta | |
008 | 040903s2004 ulkaf 000c kor | |
020 | ▼a 8989420253 ▼g 03000 | |
035 | ▼a KRIC09392186 | |
040 | ▼d 211048 ▼d 211009 ▼a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070.5/095 ▼2 23 |
085 | ▼a 070.5095 ▼2 DDCK | |
090 | ▼a 070.5095 ▼b 2004 | |
245 | 0 0 | ▼a 동아시아에 새로운 '책의 길'을 만든다 / ▼d 류쑤리 [외]편 |
260 | ▼a 서울 : ▼b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c 2004 | |
300 | ▼a 197 p. : ▼b 삽화, 도판 ; ▼c 25 cm | |
500 | ▼a 동아시아 공동출판·한국어판 | |
500 | ▼a 하오밍이(郝明義), 가토 게이지(加藤敬事), 韓淇皓 | |
700 | 1 | ▼a 劉蘇里, ▼e 편 ▼0 AUTH(211009)99138 |
700 | 1 | ▼a 郝明义, ▼d 1956- ▼0 AUTH(211009)27164 |
700 | 1 | ▼a 加藤敬事, ▼e 편 |
700 | 1 | ▼a 한기호 ▼g 韓淇皓, ▼e 편 |
900 | 1 0 | ▼a 류쑤리, ▼e 편 |
900 | 1 0 | ▼a 하오밍이, ▼e 편 |
900 | 1 0 | ▼a 가토 게이지, ▼e 편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070.5095 2004 | Accession No. 1410373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동아시아의 출판인과 편집자, 디자이너가 공동으로 작업한, 동아시아 출판시장에서 공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책이다.
동아시아 공동출판의 목적과 의의를 논하고, 중국, 대만, 일본, 한국의 현재를 조망한다. 특히 '화보' 에서는 동아시아의 출판의 역사와 문화를 사진으로 보여주어 각국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199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의 변화를 도표와 데이터로 분석한 나라 별 출판 현황 보고서, 한, 중, 일의 북 디자이너가 나눈 좌담, 세계의 지성들이 보내는 메시지 등 다양한 읽을거리가 풍성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엮은이)
1998년 9월 설립된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는 한국출판에 관한 구호적 주장에서 벗어나 출판현장의 생생한 소리를 담아내기 위해 설립된 사설 연구기관입니다. 책과 출판에 관한 평론가들의 글을 모아 단행본으로 펴내고 있습니다. 한국출판의 현황을 살피고 출판과 책읽기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연구소에서 출간하는 단행본들은 출판 현장에서 일하는 실무자들이 피부로 느낀 현재적 쟁점과 고민이 담겨 있어, 한국출판의 흐름과 역사를 보다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격주간 출판전문지《기획회의》를 발행하고 있으며 단행본 브랜드 요다, 플로베르, 북바이북, 어른의시간, 길밖의길을 통해 인문 교양서를 출간하고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국어판 서문 : 동아시아 문화 공동체의 체계화를 위하여 / 한기호 = 5 서문 : 동아시아 공동출판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 쓰노 가이타로 = 9 왕복서간 : 변혁기의 사회는 '독서'를 원한다 / 류쑤리 ; 가토 게이지 = 15 한국 화보 - 386세대로부터 2030세대로 = 25 평론 - 한국학 이끄는 한국 출판의 삼두마차 / 이권우 = 41 이 사람과 일 - 이기웅 '출판 도시'를 편집하다 / 한미화 = 47 한국의 10년 - 아동ㆍ청소년 출판과 인문서의 성장 / 강맑실 = 52 대만 화보 - 留住手藝 전통고예를 기록한다 = 57 평론 - 순문학과 대중문학 사이에서 / 쉬수칭 = 73 이 사람과 일 - 왕룽원 언제나 시대를 앞서는 사람 / 촨웨안 = 79 대만의 10년 - 출판업계의 양극화 현상 / 쉬카이천 = 84 일본 화보 - 읽는 사람 1935-1958 일본 = 89 평론 - 독서의 힘을 갱신하기 위한 힌트 / 가토 노리히로 = 105 이 사람과 일 - 도미타 미치오와 아오조라문고 / 에다와 고이치 = 111 일본의 10년 - 변화된 책과 시장과 사람의 관계 / 나가에 아키라 = 116 중국 화보 - 走向前台 무대로 올라온 중국 민영출판업 = 121 평론 - 격동하는 사회와 맞선 지식인들 / 왕이팡 = 137 이 사람과 일 - 왕자밍 '일책지상주의'를 실천하는 편집자 / 루웨강 = 143 중국의 10년 - 계획경제의 속박에서 벗어나 / 쑨칭궈 = 148 좌담 : 전통문화를 미래에 전수한다 동아시아의 문자, 책, 디자인 / 스기우라 고헤이 ; 뤼징런 ; 안상수 = 153 에세이 한국 - 동아시아와 동북아시아, 그리고 한국 / 백낙청 = 170 대만 - 푸젠의 문화적 힘을 대만으로 / 난팡숴 = 172 일본 - 여자와 어린이, 그리고 책 / 나카자와 게이 = 174 중국 -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는 힘 / 찬쉐 = 176 외부의 시각 내가 본 동아시아 출판문화 : 세계 7개국 출판인ㆍ학자의 기대와 전망을 듣는다 = 178 동서양의 지적 대화를 위해 / 로저 사르티에 동아시아에 대한 깊은 이해를 / 앙드레 쉬플랭 동서의 장벽을 허물기 위해 / 고든 그레엄 타이의 중국어 신문 100년사 / 타네스 윙야나바 독서에 대한 불굴의 의지 / 브루스 커밍스 문화교류야말로 / 모하메드 알리 세판로우 다문화 국가인 러시아와 동아시아 / 유리 메이슈라츠 ; 보리스 에젠킨 책은 그 나라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창이다 / 도로시아 로사 힐리어니 토론 : 동아시아에 공통된 '책문화'가 존재하는가 / 하오밍이 ; 한기호 = 189 후기 =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