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행정개혁 정책 추진 개요 = 9
1. 행정개혁 추진 배경 = 10
2. 행정개혁의 비전과 목표 = 12
3. 행정개혁의 추진전략 = 14
4. 행정개혁전문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 18
5. 행정개혁 추진과제 = 22
6. 행정개혁과제별 TF 구성 및 운영 = 25
제2장 행정개혁 과제 추진 내역 = 29
제1절 효율적인 행정 = 30
1. 국가평가인프라 구축 = 31
1-1. 정부업무평가인프라 관련 법률·제도 마련 = 31
1-2. 공공기관의 감사에 관한 법률 마련 = 48
2. 업무절차 재설계(BPR)를 통한 일하는 방식 개선 = 58
3. 유연하고 탄력적인 조직문화 조성 및 권위주의 행정문화 청산 = 65
4. 정부조직 재설계 = 71
4-1. 가족/청소년 기능 개편 = 73
4-2. 소비자정책/공정거래 기능 조정 = 83
4-3. 과학기술 조직·기능 개편 = 87
4-4. 해외홍보기능 일원화 = 96
4-5. 공직자 재산등록 심사업무 소관 조정 = 103
4-6. 국립묘지 관할권 일원화 = 107
4-7. 방위사업 조직·기능 개편 = 111
4-8. 식품안전 관리 기능 개편 = 116
4-9. 하천방재 기능 조정 = 124
4-10. 물관리 기능 일원화 = 130
4-11. 고용안정 기능 강화 = 136
4-12. 통계인프라 강화 = 146
4-13. 외교통상 기능 강화 = 151
4-14. 부처 자율기능 조정 = 156
5. 수평적 정책 조정체계 강화 = 162
6. 위기관리시스템 제도화 = 175
7. 분권형 조직설계 = 179
8. 정책연구용역 개선방안 마련 = 188
9. 산업안전관리 기능 강화 = 194
제2절 봉사하는 행정 = 202
1. 서비스 스탠다드 추진 = 204
2. 사회적 약자에 대한 서비스 형평성 제고 = 211
3. 일선기관 서비스 공급역량 제고 = 217
4. 행정서비스 민간위탁 제도 개선 = 222
5. 소외민원 처리제도 개선 = 227
6. 전국적 민원 연계시스템 구축 = 235
제3절 투명한 행정 = 241
1. 행정정보 공개 확대 및 접근성 제고 = 242
2. 정책실명제 및 주요사안 기록의무화 = 247
3. 인터넷 민원서비스 확대 = 250
4. 행정절차의 투명성 강화 = 253
5. 재량행위의 투명화 = 259
제4절 함께하는 행정 = 265
1. 정책공동체 활성화 = 266
2. 전문옴부즈맨 제도 도입 = 271
3. 시민평가제도 활성화 = 277
4. 자원활동 인프라구축 = 288
5. 시민단체 활동여건 개선 = 291
제5절 깨끗한 행정 = 293
1. 부조리 유발제도·규제 개선 및 분야별 반부패 대책 마련 = 294
2. 감찰기관간 견제와 균형 = 301
3. 행동강령 내실화 = 303
4. 공직자 윤리제도 개선 = 307
제3장 성과와 전망 = 313
1. 분야별 주요 성과 = 314
2. 향후 과제와 전망 =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