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94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263266 | |
005 | 20100807083827 | |
007 | ta | |
008 | 060602s2006 ulk b 000a kor | |
020 | ▼a 8991862101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302.4 ▼2 22 |
090 | ▼a 302.4 ▼b 2006a | |
100 | 1 | ▼a Braun, Hans , ▼d 1941- ▼0 AUTH(211009)24913 |
245 | 1 0 | ▼a 사회연대의 이론과 실천 / ▼d 저자: Hans Braun; ▼e 번역: 정재훈, ▼e 김태희. |
246 | 1 9 | ▼a "Und wer ist mein Nachster?" : Solidaritat als Praxis und als Programm |
260 | ▼a 서울 : ▼b EM커뮤니티 , ▼c 2006. | |
300 | ▼a 190 p. ; ▼c 20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이책은 사회연대은행의 지원으로 번역·출판되었음 | |
700 | 1 | ▼a 정재훈 , ▼e 역 ▼0 AUTH(211009)142453 |
700 | 1 | ▼a 김태희 , ▼e 역 ▼0 AUTH(211009)66464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4 2006a | 등록번호 1113658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4 2006a | 등록번호 1113658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서문 1. 연대의 주제화 1.1 개념의 일상성(Allgegenwart) = 13 1.2 개념의 역사 = 15 2. 현상에 대한 접근 2.1 결속(Verbundenheit) 행위로서 연대 = 23 2.2 연대와 이타주의 = 28 2.3 연대의 차원 = 30 3. 일상적 연대(Allt a ·· gliche Solidarit a ·· t): 사회적 근방에서의 지원과 보호 3.1 일상적 연대의 범위 = 37 3.2 사회적 근방(Sozialer Nahraum)에서 부조가 갖는 특징 = 41 3.3 나타나는 상황의 모습(Verlaufsformen) = 43 3.4 문제와 부담 = 45 3.5 보상(Gratifikationen) = 51 4. 기획된 연대(Inszenierte Solidarit a ·· t): 자조 및 사회참여 4.1 자발성(Spontaneit a ·· t)과 전략적 사고 = 57 4.2 자조 = 59 4.3 자원봉사 활동 = 64 4.4 기업 자원봉사 = 81 4.5 상징적 의미로서 연대 = 87 4.6 중도적 연대와 사회적 자본(Sozialkapital) = 90 5. 조직화된 연대: 사회국가의 역할 5.1 사회국가란 무엇인가? = 97 5.2 발전 과정 = 101 5.3 별도의 테마: 사회복지서비스(Soziale Dienstleistungen) = 110 5.4 구조적 문제 = 123 5.5 연대 차원 간 경쟁? = 134 6. 국제적 연대 6.1 "세계화"에 대한 논의 = 141 6.2 연대에 대한 이해와 문화적 차이 = 152 6.3 자국 내의 문화적 다양성 = 158 6.4 문화 상호 간 이해가 연대의 실천을 위하여 갖는 의미 = 163 7. 오늘날의 연대: 결속과 선택 7. 오늘날의 연대: 결속과 선택 = 175 참고문헌 =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