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디지털 시대 한·일 양국의 저작권 법제와 처리관행에 관한 비교 연구

디지털 시대 한·일 양국의 저작권 법제와 처리관행에 관한 비교 연구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정기. 이호영 , 연구 정성호 , 연구
단체저자명
한국방송광고공사.
서명 / 저자사항
디지털 시대 한·일 양국의 저작권 법제와 처리관행에 관한 비교 연구 / 책임연구: 김정기 ; 연구원: 이호영, 정성호.
발행사항
서울 :   한국방송광고공사 ,   2005.  
형태사항
410 p.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05년 제19권
일반주기
부록: 일본 저작권관계 전문가 설문조사 자료.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87-390
000 00933camccc200289 k 4500
001 000045263247
005 20100807083808
007 ta
008 060308s2005 ulk b 000c kor
035 ▼a (KERIS)BIB000010291917
040 ▼a 248003 ▼d 211009
082 0 4 ▼a 659.14 ▼2 22
090 ▼a 659.14 ▼b 2004 ▼c 2005-19
100 1 ▼a 김정기.
245 1 0 ▼a 디지털 시대 한·일 양국의 저작권 법제와 처리관행에 관한 비교 연구 / ▼d 책임연구: 김정기 ; ▼e 연구원: 이호영, ▼e 정성호.
260 ▼a 서울 : ▼b 한국방송광고공사 , ▼c 2005.
300 ▼a 410 p. ; ▼c 24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05년 제19권
500 ▼a 부록: 일본 저작권관계 전문가 설문조사 자료.
504 ▼a 참고문헌: p. 387-390
700 1 ▼a 이호영 , ▼e 연구
700 1 ▼a 정성호 , ▼e 연구
710 ▼a 한국방송광고공사.
830 0 ▼a 연구보고서(한국방송광고공사) ; ▼v 2005년 제19권
910 0 ▼a Korea broacasting advertising corp.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4 2004 2005-19 등록번호 1113660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제1장 서론 = 25
  1. 연구목적과 의의 = 25
  2.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27
    2.1. 연구문제 = 27
    2.2. 연구방법 = 29
제2장 한ㆍ일 양국의 저작권 법재 개관 = 30
  1. 저작권제도의 목적 = 31
  2. 저작권의 분류체계 = 32
  3. 저작물이란? = 34
  4. 저작자 = 36
  5. 저작자의 권리와 저작인접권 = 37
    5.1. 저작자의 권리 = 37
    5.2. 저작인접권 = 38
  6. 저작권 등의 효력 = 40
  7. 저작권 등의 제한 = 41
  8. 소결 = 42
제3장 디지털 네트윅크 환경과 한일 양국의 법적 대응에 관한 비교연구 = 44
  1. 인터넷 송신에 대한 일본의 법적대응: 자동공중송신과 송신가능화 = 45
    1.1. 유선송신에서 송신가능화까지 = 45
    1.2. 송신가능화 = 48
  2. 한국 저작권법 상 대응 : 전송 = 50
    2.1. 전송의 개념 = 51
    2.2. 한국의 전송과 일본의 자동공중송신 = 52
    2.3. 전송의 분리: 이용제공과 접속전송 = 54
    2.4. 방송사업자의 경우 = 57
  3. 브로드밴드 방송과 저작권문제 = 58
    3.1. 전기통신역무이용방송법 = 59
  4. 일본의 사적녹음녹화보상금제도의 신설 = 65
    4.1. 사적녹음녹화보상금제도의 채택경위 = 66
    4.2. 사적녹음 녹화보상금제도의 내용 = 67
  5. 그 밖의 신설된 법제 = 69
    5.1. 한국의 신설된 법제 = 69
    5.2. 일본의 신설된 법제 = 71
  6. 소결 = 73
제4장 한일 양국의 저작권 집중관리제도와 관행에 관한 비교 연구 = 76
  1. 한일 양국의 저작권집중관리제도에 관한 법제 = 77
    1.1. 한국의 저작권 집중관리제도 = 77
    1.2. 일본의 저작권집중관리제도 = 80
  2. 한일 양국의 저작권 집중관리단체의 편모 = 81
    2.1. 한국의 권리집중관리 단체 = 81
    2.2. 일본의 권리처리 단체의 현황 = 87
  3. 일본의 권리처리 현황 개관: 방송영상물의 사례 = 95
    3.1. 방송영상물의 권리처리 현황 = 96
    3.2. 유선역무이용 브로드밴드방송의 권리처리 = 105
  4.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와 (사)일본음악저작권협회의 사례연구 = 110
    4.1. KOMCA의 사례 = 111
    4.2. IASRAC의 사례 = 125
    4.3. KOMCA와 JASRAC와의 비교 = 146
  5. 소결 = 149
제5장 한ㆍ일 양국의 디지털저작권관리(DRM)시스템 기술연구와 응용 = 153
  1. DRM시스템의 구성과 운영 모델 = 153
    1.1. DRM시스템의 기능 = 154
    1.2. DRM 플랫폼 사업자 = 155
    1.3.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등록 = 156
  2. 한일 양국의 DRM기술연구 = 157
    2.1. 한국의 DRM연구 = 157
    2.2. 일본의 DRM연구 = 159
  3. 한일 양국간의 DRM 설치 운영에 관한 공통표준 연구 = 162
    3.1. 한국의 DRM 설치 운영에 관한 표준연구 = 162
    3.2. 일본의 DRM 설치운영에 관한 표준연구 = 164
    3.3. 일본에서의 DRM시스템의 응용: 코피마트의 사례 = 168
  4. 소결 = 174
제6장 한ㆍ일 양국의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비교서술 = 177
  1. 한국의 기술적 보호조치 = 177
    1.1. 기술적 보호조치의 보호방법에 따른 유형 = 180
    1.2. 각종 기술적 보호조치 및 저작권관리정보시스템 = 181
    1.3. 기술적 보호조치의 한계와 문제점 = 183
    1.4. 기술적 보호조치 침해의 구제 및 보완 = 186
  2. 일본의 기술적 보호조치 = 190
    2.1. 보호기술의 개요 = 190
    2.2. 저작권보호기술과 비기술적 요소 = 195
    2.3. 교육 콘텐츠와 저작권보호기술 = 196
  3. 디지털 기술에 대한 법제적 대응이 저작권 산업에 미친 영향의 비교 = 197
    3.1. 한국의 법제적 대응이 저작권 산업에 미친 영향 = 197
    3.2. 일본의 법제적 대응이 저작권 산업에 미친 영향 = 199
  4. 문제점의 비교 = 201
  5. 소결 = 202
제7장 한ㆍ일 양국의 방송프로그램 유통구조와 저작권 인정관행에 관한 연구 = 206
  1. 한국의 방송콘텐츠 유통시장 = 207
    1.1. 네트워크 방송3사와 방송프로그램 유통시장 구조 = 208
  2. 한국의 방송콘텐츠 유통의 현황 = 210
    2.1. 방송 프로그램 유통시장 현황 = 210
    2.2. 국내외 영상물 수출입 현황 = 212
    2.3. 지상파 방송의 콘텐츠 제작 및 유통시장 = 216
  3. 한일 양국의 방송프로그램 제작현황 = 217
    3.1. 한국의 방송프로그램제작 현황 = 217
    3.2. 일본의 방송프로그램제작 현황 = 220
  4. 방송사와 독립프로덕션간의 저작권 인정현황의 비교 = 220
    4.1. 한국의 저작권 인정현황 = 221
    4.2. 일본의 저작권 인정현황 = 228
  5. 방송프로그램의 다용도 시장 현황의 비교 = 270
    5.1. 한국의 방송프로그램 다용도 시장 현황 = 270
    5.2. 일본의 방송프로그램 다용도 시장 현황 = 272
  6. 소결 = 273
제8장 저작권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일본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설문조사 = 278
  1. 조사개요 = 278
  2. 디지털저작권심층인터뷰 = 281
  3. 디지털시대 저작권관련 일본전문가 의식 설문조사 = 287
    3.1. 조사목적 = 287
    3.2. 조사설계 = 287
    3.3. 조사항목 = 287
  4. 조사결과 분석 = 288
    4.1. 디지털시대에 있어 저작권이용에 관한 인식 = 288
    4.2. 일본의 저작권법의 법적대응에 대한 만족 여부 = 295
    4.3. 방송사업자의 외주제작 프로그램의 저작권에 관련된 사항에 관한 인식 = 301
    4.4. 저작권 권리처리 단체에 대한 인식 = 316
    4.5. 저작권에 관련한 문제로서 일본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문제에 대한 태도 = 321
    4.6. 한일 프로그램 교류 또는 거래에 대한 태도 = 336
    4.7. 디지털시대 저작권에 대한 인식 = 348
    4.8. 디지털시대 저작인접권자의 권리처리에 대한 인식 = 355
    4.9. 브로드밴드 방송사업자에 대한 인식 = 358
    4.10. 네티즌의 저작권 처리에 대한 인식 = 360
    4.11. 디지털 시대 영상콘텐츠 유통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태도 = 363
제9장 결론과 요약 및 제언 = 367
  1. 결론요약 = 367
    1.1. 한일 양국의 저작권법제 개관 = 367
    1.2.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과 한일 양국의 법적 대응에 관한 연구결과 = 368
    1.3. 한일 양국의 저작권 집중관리제도와 관행에 관한 비교 연구결과 = 369
    1.4. 한일 양국간의 디지털 저작권관리(DRM) 시스템 기술연구와 응용연구결과 = 371
    1.5. 한일 양국의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비교연구 결과 = 372
    1.6. 한일 양국의 방송프로그램 유통구조와 저작권 인정관행에 관한 비교연구 = 374
    1.7. 디지털시대 저작권처리에 대한 일본전문가 의식조사 결과 = 376
  2. 결론과 제언 = 384
참고 문헌 = 387
부록 = 39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