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497namccc200193 k 4500 | |
001 | 000045263206 | |
005 | 20100807083728 | |
007 | ta | |
008 | 010927s2001 ulk a kor | |
020 | ▼a 8977358019 | |
040 | ▼a 211010 ▼c 211010 ▼d 211010 ▼d 211010 ▼d 211009 | |
041 | ▼a kor | |
082 | 0 4 | ▼a 410 |
090 | ▼a 410 ▼b 2001j | |
100 | 1 | ▼a 김진자 |
245 | 1 | ▼a 言語習得의 理論과 實相 / ▼d 金鎭字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1. | |
300 | ▼a 453p. ; ▼c 23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410 2001j | 등록번호 1410098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진우(지은이)
陸軍士官學校 卒業 서울大學校 文理大 英文學科 卒業 하와이大學校 大學院 碩士課程 卒業 陸軍士官學校 英語科 敎授歷任 전 中央大學校 文科大 英文學科 敎授(英語學) 주요 저서 英語敎育의 原理와 方法(裕豊出版社, 1983) 英語敎授法(共著, 新雅社, 1984) 現代言語學의 理解(翰信文化社, 1986) 言語와 心理(翰信文化社, 1988) 言語敎育과 心理學(中央大 出版部, 1990) 人間과 言語(集文堂, 1992) 言語와 意思疏通(翰信文化社, 1994) 言語와 文化(中央大 出版部, 1996) 詩와 言語(한국문화사, 1998) 認知言語學의 理解(한국문화사, 1999) 言語習得의 理論과 實相(한국문화사, 2001) 第二語 習得硏究(한국문화사, 2002) 言語와 認知(한국문화사, 2004) 隱喩의 理解(나라말, 2005) 言語의 起源(한국문화사, 2006) 言語와 思考(한국문화사, 2008) 言語와 修辭(한국문화사, 2010) 言語와 腦(한국문화사, 2011) 言語와 精神(한국문화사, 2012) 言語와 言語理論(한국문화사, 2014) 言語와 意味(한국문화사, 2016) 言語와 談話(한국문화사, 2017) 言語와 言語學(한국문화사, 2020)

목차
목차 제1장 언어의 습득과정을 연구해 온 역사와 목적 = 13 1.0 길고도 짧은 역사 = 15 1.1 다양한 목적 = 29 1.1.1 어린이의 이해 = 30 1.1.2 언어의 이해 = 31 1.1.3 인간의 정신구조의 이해 = 33 1.1.4 사회화과정의 이해 = 35 1.1.5 외국어 학습절차의 이해 = 35 1.2 언어학적 내재설과 심리학적 인지이론의 대결 = 37 1.2.1 Skinner의 언어습득이론 = 38 1.2.2 Chomsky의 언어습득이론 = 49 1.2.3 Piaget의 언어습득이론 = 59 1.2.4 Slobin의 언어습득이론 = 62 1.3 자료수집작업의 加速化 = 70 1.3.1 변형문법의 심리적 실재성 = 71 1.3.2 독자적 언어습득이론 = 72 1.3.3 앞으로의 발전방향 = 83 제2장 언어습득의 기본 6단계 = 87 2.0 세 가지 특징 = 89 2.1 언어습득의 제1단계 : 옹알대는 시기 = 95 2.1.1 반사적 소리 = 96 2.1.2 생장적 소리 = 96 2.1.3 옹알거림의 소리 = 97 2.2 언어습득의 제2단계 : 종알대는 시기 = 101 2.2.1 단편적인 종알거림 = 101 2.2.2 반복적인 종알거림 = 102 2.2.3 다양화된 종알거림 = 103 2.3 언어습득의 제3단계 一語文의 시기(만 1세 경) = 104 2.3.1 음운체계의 발달 = 105 (1) 종알거림과의 관계 = 106 (2) 음운습득의 책략 = 108 2.3.2 어희조직의 발달 = 110 2.4. 언어습득의 제4단계 : 二語文의 시기(만 2세 경) = 115 2.4.1 조정기 = 117 2.4.2 2어문의 시기 = 118 (1) 2어문의 기능 = 119 (2) 2어문의 형식 = 120 2.5 언어습득의 제5단계 : 多語文의 시기(만 3세경) = 126 2.5.1 어휘의 수 = 126 2.5.2 문장의 길이 = 127 2.5.3 문법적 복잡성 = 127 2.5.4 어형소와 기능어 = 130 2.5.5 다어문의 특징 = 132 2.5.6 엄마와의 협동작업 = 135 2.6 언어습득의 제7단계 : 完習의 시기(만 4∼5세 경) = 139 2.6.1 어휘의 수 = 140 2.6.2 발음의 능력 = 141 2.6.3 문법적 능력 = 141 2.6.4 대화의 능력 = 143 2.7 5세 이후 = 143 2.7.1 어희력 = 144 2.7.2 문법적 능력 = 145 2.7.3 대화의 능력 = 147 2.8 개인차 = 151 2.8.1 속도와 양태 = 152 2.8.2 영향을 주는 요소 = 153 (1) 성과의 관계 = 155 (2) 지능과의 관계 = 156 (3) 인성과의 관계 = 156 (4) 사회적 배경과의 관계 = 157 (5) 엄마의 영향 = 159 제3장 언어습득의 책략 = 165 3.0 이성주의자와 경험주의자의 논쟁 = 167 3.0.1 Chomsky의 모형 = 170 3.0.2 Pinker의 모형 = 171 3.0.3 Foster의 모형 = 172 3.1 모방과 창조 = 173 3.1.1 모방과 조건의 특징 = 174 3.1.2 창조적 문법규칙의 습득 = 178 3.1.3 두 가지 설명방법 = 181 3.2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 184 3.2.1 자기표현의 용도 = 185 3.2.2 의사소통의 용도 = 188 3.3 통합된 능력의 단계적 발달 = 190 3.3.1 통합적 습득방법 = 191 3.3.2 단계적 습득방법 = 194 3.4 의미외 문법 = 196 3.4.1 통합주의적 입장 = 197 3.4.2 의미주의적 입장 = 199 3.5 부분적인 습득과 오류의 수반 = 209 3.5.1 어넝적 조건과 생리적 조건 = 210 3.5.2 오류가 많은 이유 = 215 3.6 통합의 절차와 분석의 절차 = 218 3.6.1 자연스러운 방법 = 219 3.6.2 자질론과 전형론 = 221 제4장 음운의 습득 = 227 4.0 세 가지 쟁점 = 229 4.0.1 내재설과 경험설의 대립 = 229 4.0.2 연속적 과정 대 비 연속적 과정 = 232 4.0.3 독자적 과정 대 종합적인 과정 = 235 4.1 생리적 성숙의 조건 = 237 4.1.1 발성기관의 발달과정 = 238 4.1.2 두뇌의 발달과정 = 241 4.2 운율의 발달 = 245 4.2.1 세 가지 증거 = 245 4.2.2 첫 번째 특징 : 긴 시일의 소요 = 247 4.2.3 두 번째 특징 : 체계적 발달 = 249 4.2.4 세 번째 특징 : 통합적 발달 = 253 4.3 분절음 습득의 순서 = 258 4.3.1 내재주의적 습득순서 = 258 4.3.2 경험주의적 습득순서 = 259 4.4 단순화 절차 = 262 4.4.1 보편성 = 262 4.4.2 세 가지 절차 = 263 (1) 대치절차 = 263 (2) 동화절차 = 264 (3) 음절구조 절차 = 264 4.5 독자적 음운 습득방법 = 265 4.5.1 용이성의 원리 = 266 4.5.2 현저성의 원리 = 268 4.5.3 변이성의 원리 = 270 4.5.4 특이성의 원리 = 271 4.5.5 유희성의 원리 = 272 제5장 어휘의 습득 = 275 5.0 어휘 습득 연구의 중요성 = 277 5.0.1 정신구조의 구명 = 278 5.0.2 기능 문법학적 입장 = 281 5.0.3 비교심리학적 입장 = 282 5.1 어휘습득의 절차 = 283 5.1.1 입력의 원칙 = 286 5.1.2 구체어 우선의 원칙 = 288 5.1.3 문맥 의존의 원칙 = 290 5.1.4 능동적 습득의 원칙 = 292 5.1.5 의미 중심의 원칙 = 296 5.1.6 부분적 습득의 원칙 = 301 5.2 어휘의미의 발달 = 305 5.2.1 명사의 의미 = 308 5.2.2 상관어와 대립어의 의미 = 318 5.3 5세 이후의 어휘습득 = 323 5.3.1 어휘수의 급증 = 324 5.3.2 의미의 확대 = 325 5.3.3 개인차의 문제 = 329 제6장 문법의 습득 = 333 6.0 변형문법적 문법습득모형 = 335 6.0.1 표준이론 = 336 6.0.2 학습가능성의 이론 = 338 6.0.3 최소주의 이론 = 342 6.1 기능 및 의미적 접근법 = 343 6.1.1 격문법적 모형 = 343 6.1.2 관찰과 실험 = 345 6.1.3 보편문법과 매개변수 = 350 6.2 지력의존적 접근법 = 356 6.2.1 심리적 근거 = 357 6.2.2 언어적 근거 = 358 6.2.3 수동문 습득에 관한 실험 = 359 6.3 기능어의 습득 = 364 6.3.1 기능어 습득 연구의 중요성 = 365 6.3.2 부정어의 습득절차 = 366 6.3.3 관사의 습득절차 = 368 6.3.4 대명사의 습득절차 = 371 6.4 어형의 습득 = 376 6.4.1 굴절언어와 비굴절언어간의 차이 = 376 6.4.2 영어어형의 습득절차 = 379 제7장 화법의 습득 = 391 7.0 화법습득의 연구의 중요성 = 393 7.0.1 두 가지 근거 = 394 7.0.2 네 가지 연구실적 = 395 7.1 5세 이전의 어린이들의 대화문의 특징 = 402 7.1.1 학습용 대화문 = 402 7.1.2 말놀이용 대화문 = 405 7.1.3 주제상의 차이점 = 406 7.1.4 형식상의 차이점 = 409 7.2 엄마의 역할 = 412 7.2.1 교육의 역할 = 413 7.2.2 교육적 언어 = 416 7.3 5세 이후의 대화능력 = 420 7.3.1 협조형 대화와 지배형 대화 = 421 7.3.2 도움의 말의 유형 = 424 7.3.3 참말과 거짓말을 식별하는 능력 = 427 7.3.4 정중성 유지의 능력 = 431 참고문헌 = 437 찾아보기 =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