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3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262978 | |
005 | 20100807083420 | |
007 | ta | |
008 | 040718s2004 ulka b 000a kor | |
020 | ▼a 894990277X ▼g 03300: ▼c \18000 | |
035 | ▼a KRIC09424016 | |
040 | ▼a KYOBO ▼c KYOBO ▼d HYUC ▼d 211062 ▼d 211010 ▼d 211010 | |
082 | 0 4 | ▼a 700.68 ▼2 21 |
090 | ▼a 700.68 ▼b 2004 | |
100 | 1 | ▼a 김성규 . ▼0 AUTH(211009)83204 |
245 | 1 0 | ▼a 예술단체의 재원조성과 투자유치 = ▼x Fundraising & funding for the arts / ▼d 김성규 지음. |
260 | ▼a 서울 : ▼b 景仁文化社 , ▼c 2004. | |
300 | ▼a xi, 456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부록으로 "개인투자조합등록 및 투자확인서발급규정 및 외국메세나 단체 현황" 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 455-456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700.68 2004 | 등록번호 1410362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제1장 문화예술단체 재원조달의 개요 = 3 제1절 문화예술단체 재원조달의 구분 = 5 제2절 문화예술단체에서 Fundraising의 필요성 = 8 1. 문화예술의 비영리성 = 8 2. 공공지원 타당성에 대한 소고(小考) = 11 3. 예술지원의 역사 = 17 4. 예술에 대한 공공지원의 경제학적 설명 = 20 5. 공공지원의 한계 = 32 6. 기업에서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이유 = 34 제3절 문화예술단체에서 Funding의 필요성 = 36 1. 문화산업은 고부가가치 창조 = 36 2. 우리나라의 문화산업 정책 = 37 3. 문화산업에 대한 공공지원의 어려움 = 39 4. 왜 투자가 필요한가 = 42 5. 문화산업에 투자 시 장점 = 44 제4절 재원을 조성하는 조직 = 45 1. 이사 = 45 2. 회원 = 46 3. 일반 직원 = 47 4. 재원조성 전문가(Fundraising director) = 48 5. 재원조성 전문 회사 = 49 6. 자원활동가 = 51 제5절 한국의 기부문화 및 기부현황 = 52 1. 한국의 기부문화 = 53 2. 문화예술과 관련한 기부금 모집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 = 60 제6절 한국의 기업메세나 = 62 1. 기업메세나 개관 = 62 2. 기업메세나 커뮤니케이션 = 68 3. 한국의 기업메세나 현황 = 78 4. 한국기업메세나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 82 제2장 문화예술단체의 지원 = 89 제1절 지원의 종류 = 91 1. 정부자금 = 91 2. 지방자치단체 = 93 3. 공공기금 = 94 4. 민간기금 = 100 제2절 지원의 방식 = 105 1. 문예진흥기금 = 105 2. 무대공연작품 제작지원사업 = 119 3. 한국국제교류기금 = 128 4. 서울시 문예진흥기금 = 131 제3절 지원금 신청 요령 = 146 제4절 지원금의 정산과 회계의 투명성 = 149 제3장 문화예술단체의 후원 = 153 제1절 후원의 개념 = 156 1. 문화예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의미 = 156 2.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사례 = 157 3. 용어에 대한 사전적 의미 = 166 4. 기부금품모집규제법상의 기부금에 대한 정의 = 168 5. 세법에서의 기부금에 대한 관점 = 169 6. 용어에 대한 고찰 = 171 제2절 후원의 방식 = 174 1. 기부 = 174 2. 협찬 = 178 3. 기타의 후원 = 182 제3절 후원회 운영 = 186 1. 후원회의 필요성 = 186 2. 후원회 운영 형태 = 187 3. 후원회 특성 = 189 4. 바람직한 후원회운영의 방향 = 190 5.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산하단체의 경우 = 192 6. 후원회 운영 사례 = 193 제4절 기부금 모집 과정 = 196 1. 전통적인 접근방법 = 196 2. 기부금 모집에 마케팅을 도입하면 = 199 제5절 성공적인 협찬 수행과정 = 211 1. 예술분야 협찬의 결정기준 = 211 2. 기업에 제공할 수 있는 것들 = 213 3. 협찬 기획 = 216 4. 협찬제안서 작성 = 218 5. 협찬제안서 사례 = 220 6. 협찬 대행 = 229 7. 협찬에 대한 소고(小考) = 234 제6절 기부에 대한 세무 = 236 1. 세금에 대한 이해 = 236 2. 기부금의 개요 = 240 3. 기부금을 지출한 경우의 세무 = 243 4. 기부금을 수령한 경우의 세무 = 265 5. 공익법인 등에 대한 출연 = 266 제7절 협찬과 관련한 세무 = 268 제8절 기타 후원에 관련된 참고사항 = 273 1. 기부금 영수증 = 273 2. 간접 기부금납입 또는 영수 확인 = 277 3. 기부금이나 협찬금을 어음으로 수령한 경우 = 277 제4장 문화예술단체의 투자유치 = 281 제1절 우리나라 문화예술에 대한 투자 현황 = 285 1. 영화에 대한 투자 = 285 2. 애니메이션에 대한 투자 = 301 3. 공연산업에 대한 투자 = 303 4. 기타의 분야 = 305 5. 네티즌펀드 = 305 6. 투자의 발전 방향 = 306 제2절 투자의 방식 = 308 1. 보통주의 유상증자 = 308 2. 우선주에 의한 유상증자 = 320 3. 무상증자 = 324 4. 전환사채(CB) = 327 5. 신주인수권부사채(BW) = 335 6. 약정투자 = 338 7. 프로젝트 파이낸싱 = 346 8. 제3섹터 방식 = 367 9. 후원과 투자의 결합 = 370 제3절 투자의 유치 = 372 1.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 372 2. 현금흐름표의 작성 = 379 3. 투자유치의 대상 = 390 4. 투자액의 회수 = 394 제4절 투자와 관련한 세무 = 398 1. 주식을 양도 시에 발생하는 세금 = 398 2. 대여금에 대한 이자소득 = 405 3. 보유주식에 대한 배당소득 = 407 4. 법인의 청산소득 = 408 제5절 투자사례 분석 = 411 1. 투자자의 다양성 = 411 2. 투자기간 = 412 3. 연대보증 = 412 4. 이익의 배분 = 412 5. 상환방법 = 413 6. 제작비용 = 414 7. 계약서에 대하여 = 414 부록 = 417 1. 개인투자조합등록및투자확인서발급규정 = 419 2. 외국 메세나 단체 현황 = 438 참고문헌 =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