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발달정신병리학 :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발달정신병리학 :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Wenar, Charles Kerig, Patricia 이춘재 성현란 송길연 윤혜경 김혜리 이명숙 박혜원 곽금주 장유경 이도헌
Title Statement
발달정신병리학 :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 Charles Wenar ; Patricia Kerig 공저 ; 이춘재 [외]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학사,   2004   (2006).  
Physical Medium
xiv, 527 p. : 삽도 ; 26 cm.
Varied Title
Developmental psychopathlolgy: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4th ed.
ISBN
8991633013
General Note
공역자: 성현란, 송길연, 윤혜경, 김혜리, 이명숙, 박혜원, 곽금주, 장유경, 이도헌.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71]-513) 및 찾아보기(p. [515]-527) 수록
000 01266camccc200385 k 4500
001 000045261442
005 20100807080948
007 ta
008 050923s2004 ulka b 001c kor
020 ▼a 8991633013 ▼g 93180 : ▼c \22000.00
035 ▼a (KERIS)BIB000009503376
040 ▼a 211040 ▼c 211040 ▼d 211040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8.9289 ▼2 22
090 ▼a 618.9289 ▼b 2004b
100 1 ▼a Wenar, Charles
245 1 0 ▼a 발달정신병리학 : ▼b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 ▼d Charles Wenar ; ▼e Patricia Kerig 공저 ; ▼e 이춘재 [외]공역.
246 1 9 ▼a Developmental psychopathlolgy: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4th ed.
260 ▼a 서울 : ▼b 박학사, ▼c 2004 ▼g (2006).
300 ▼a xiv, 527 p. : ▼b 삽도 ; ▼c 26 cm.
500 ▼a 공역자: 성현란, 송길연, 윤혜경, 김혜리, 이명숙, 박혜원, 곽금주, 장유경, 이도헌.
504 ▼a 참고문헌(p. [471]-513) 및 찾아보기(p. [515]-527) 수록
700 1 ▼a Kerig, Patricia
700 1 ▼a 이춘재
700 1 ▼a 성현란
700 1 ▼a 송길연
700 1 ▼a 윤혜경
700 1 ▼a 김혜리
700 1 ▼a 이명숙
700 1 ▼a 박혜원
700 1 ▼a 곽금주
700 1 ▼a 장유경
700 1 ▼a 이도헌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618.9289 2004b Accession No. 13103069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13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찰스 웨나(지은이)

<발달정신병리학>

이춘재(옮긴이)

<발달정신병리학>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 ⅲ
저자서문 = ⅴ
제1장 발달적 접근
 개관 = 1
 일반적 발달의 기본 틀 = 3
  시간 = 3
  개인내 맥락 = 4
  개인간 맥락 = 4
  상위맥락 = 6
  기질적맥락 = 6
 아동정신병리의 모델들 = 6
  의학모델 = 6
  행동주의 모델 = 8
  인지모델들 = 10
  정신분석학 모델 = 12
  가족체계모델 = 17
  모델의 비교와 통합 = 20
 발달정신병리학 = 20
  유기체적 관점 = 20
  정상발달과 이상발달간의 연속성 = 21
  위험, 취약성, 그리고 보호요인 = 22
  발달경로 = 24
  동일결과와 다중결과 = 25
 아동기 정신병리학의 개념화 = 28
제2장 정상발달
 애착 = 30
  애착의 형성 = 30
  양육 = 32
 주도성 = 33
  주도성의 기원 = 33
  주도성의 발달 과정 = 35
 자기통제 = 37
  자기통제에 포함된 요인들 = 37
  부모의 훈육 = 39
  발달경향 = 41
 도덕발달 = 41
  양심이란 무엇인가? = 41
  양심의 발달 = 42
 인지발달 = 43
  인과론 = 43
  자기중심성 = 44
  정보처리 = 45
 불안 = 45
  발달 모습 = 45
  방어기제 = 46
  불안의 이중성 = 47
 성의 발달 = 48
  성정체성 = 48
  성역할 = 48
  성적 쾌감 = 49
 공격성 = 50
  발달적 모습 = 50
  공격성 관리 = 52
 또래관계 = 52
  초기의 또래관계 = 52
  사회성 = 53
  집단 = 54
 일 = 56
  아동기 중기의 일 = 56
  청년기의 직업선택과 정체성 = 57
 발달적 통합 = 58
제3장 정신병리와의 연결
 개념적 연결 = 61
 진단과 분류 = 62
 전통적 접근 : DSM = 62
  DSM-IV의 특징 = 62
  중다축 분류 = 64
  발달적 관점에서의 DSM 한계 = 66
 중다변인적 통계적 접근 : CBCL = 67
 분류 : 건강과 정상적인 문제행동 = 71
  건강한 발달 = 71
  정상적인 문제와 정상적인 문제행동 = 71
 분류 : 정신병리 = 72
  영아기,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의 장애 = 73
  아동과 성인 공통의 장애 = 74
 종단적 연구들 = 75
  연구책략 = 75
  경험적인 결과들 = 83
 요약과 평가 = 87
제4장 자폐증 : 영아기의 심각한 일탈
 정의와 특징 = 89
  정의 = 89
  특징 = 91
 발달 경로 = 92
 양적 차이 대 질적 차이 = 92
 병인론 : 개관 = 93
  간단한 공식 = 93
  자폐증에 특수한 기능의 탐색 = 93
  연구 결과의 체계화 = 94
 사회적 고립 = 94
  영아기와 걸음마기 = 94
  감정의 역할 = 103
  통합적 요약 = 103
  그릇된 가설 : 어머니로부터 기인한 자폐증 = 104
 비의사소통적 언어 = 105
  상징화와 가장놀이 = 105
  의사소통 = 106
  요약 = 107
 동일성에 대한 병적 요구 = 108
  집행 기능 = 108
  감각의 과중한 부담과 정보의 체제화 = 109
 자폐증의 특징에 대한 설명 = 110
  사회적 상호작용 = 110
  언어 = 110
  동일성에 대한 요구 = 110
 정신병리의 개념화 = 110
 병인론 : 기질적 맥락 = 111
  유전적 요인 = 111
  신경학적 요인 = 112
 중재 : 치료에서의 발전 = 113
제5장 영아기에서 학령전기까지 : 불안정 애착, 반항성 장애, 유뇨증
 불안정 애착의 위험 = 117
  애착유형 = 117
  불안정 애착과 정신병리 : 개념적 연결 = 120
  불안정 애착과 정신병리 : 증거 = 122
 걸음마기 = 124
 반항성 장애 = 125
  정의와 특징 = 125
  합병 = 126
  발달경로 = 127
  병인론 = 128
  중재 = 131
 유뇨증 = 131
  정의와 특징 = 131
  병인론 = 133
  중재 = 135
  발달적 통합 = 136
제6장 유아기 :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와 학습장애
 주의력 결핍-과잉활동 장애 = 139
  정의와 특징 = 139
  합병 = 142
  관련되는 문제들 = 143
  발달경로 = 143
  병인학 = 146
  과잉활동-충동형 : 통합적 모델 = 147
  부주의형 = 149
  중재 = 150
 학습장애 = 153
  정의와 특징 = 153
  읽기장애 = 156
  병인론 : 개인내 맥락 = 159
  중재 = 163
  공학기술의 사용 = 164
제7장 우울스펙트럼장애와 아동 청소년자살
 우울스펙트럼 장애 = 167
  정의와 특징 = 167
  발달차원 = 170
  합병 = 173
  발달경로 = 174
  병인론 = 175
  통합적 발달모델 = 184
  중재 = 186
 아동과 청소년 자살 = 188
  정의와 유병률 = 188
  병인론 = 190
  통합적 발달모델 = 192
  중재 = 194
제8장 아동기 중기 : 불안장애
 불안장애 = 198
  정의 및 특징 = 198
  정상적 공포에서 불안까지 = 200
  병인론 : 두 가지 주요이론 = 200
  병인론 : 통합적-경험적 모델 = 202
 특정 공포증 = 207
  정의 및 특성 = 207
  개입 = 209
 분리불안장애 = 210
  정의 및 특징 = 210
 학교공포증 = 211
  정의 및 특성 = 211
  개입 = 212
 강박장애 = 213
  정의 및 특징 = 213
  병인론 = 215
  개입 = 216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 217
  정의 및 특징 = 217
  관련 변인들 = 219
  개입 = 220
제9장 품행장애와 발달적 반사회적 행동
 정의와 특징 = 223
 품행장애의 종류 = 224
  아동기 발병 대 청소년기 발병 = 224
  파괴적/비파괴적 품행장애와 외현적/내재적 품행장애 = 227
  정신병질자 = 227
  아동기 초기 : ADHD로부터 품행장애에 이르는 경로 = 230
  아동기 중기 : 적대성으로부터 품행장애로의 경로 = 230
  아동기 후기와 청소년기 : 다양한 경로 = 231
  청소년기 후기 : 반사회적 성격과 범죄에 이르는 경로 = 232
  발달적 경로의 성차 = 233
 병인론 = 234
  개인내 맥락 = 234
  개인간 맥락 : 가족의 영향 = 238
  개인간 맥락 : 또래관계 = 242
  상위맥락 = 243
  기질적 맥락 = 244
 통합적인 발달 모델 = 245
 중재 = 247
  행동 치료 : 부모 관리훈련 = 247
  인지적 행동치료 :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훈련 = 247
  체계적 가족치료 = 247
  중다 체계치료 = 248
  예방 = 248
제10장 정신분열증 : 아동기 중기와 청소년기의 심각한 일탈
 정의와 특징 = 249
  정의 = 249
  특징 = 251
  정신분열증은 한 가지 인가? = 253
 발달 경로 = 253
  방법론적 문제 = 254
  발달적 연구결과 = 255
  정신분열증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 = 258
  보호요인 = 260
 병인론 = 261
  기질적 맥락 = 261
  개인내 맥락 = 264
 통합적 모델 = 267
 정신병리학의 개념화 = 270
 중재 = 270
제11장 청년기 이행에서의 정신병리 : 섭식장애와 물질남용
 표준적 청소년 발달 = 273
 청소년기의 발달정신병리 = 274
 섭식장애 : 신경성식욕부진증 = 275
  정의와 특징 = 275
  병인론 = 276
  합병 = 280
  발달경로 = 280
 섭식장애 : 신경성폭식증 = 280
  정의와 특징 = 280
  병인론 = 281
  합병 = 284
  발달 과정 = 285
  섭식장애의 비교 = 285
  통합적 발달 모형 = 286
  중재 = 287
 물질남용 = 288
  정의와 특징 = 289
  병인론 = 290
  발달경로 = 294
  통합적 발달 모형 = 296
  중재 = 299
제12장 정신지체의 발달적 결과
 정의 = 301
  바뀌고 있는 정의들 = 301
  정신지체의 "두 문화" = 305
 특징 = 308
  유병률 = 308
  발달경로 = 309
  합병 = 309
 개인간 맥락 = 310
  부모 = 310
  또래 = 312
  발달연구 = 313
 병인론 : 개인간 맥락 = 315
  인지적 요인 = 315
  성격-동기 요소 = 319
  병인론 : 기질적 맥락 = 320
  중재 = 322
  예방 = 325
제13장 신체질환과 뇌손상에 관련된 위험
 소아과 심리학 = 327
 만성질환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 = 327
 질환의 발달 심리 = 330
  질환에 대한 아동의 이해 = 331
  통증에 대한 아동의 이해 = 333
  입원의 영향 = 335
 맥락간 상호작용 : 천식 = 336
  정의와 특징 = 337
  기질적 맥락 = 337
  개인내 및 개인간 맥락 = 338
 의학적 처방의 준수 : 당뇨병 = 338
  정의와 특징 = 338
  의학적 처방 = 339
  준수와 관련된 문제 = 339
  준수의 증진 = 340
 통증관리 : 암 = 340
  정의와 특징 = 340
  치료 = 341
  치료시 통증에 대처하기 = 341
  통증 관리방법 = 342
 뇌손상과 뇌부상 = 344
  뇌손상 = 344
  뇌부상 = 346
  뇌는 얼마나 기본적인가? = 348
  발달적 차원 = 350
제14장 가족 맥락의 위기 : 아동학대와 이혼
 아동 학대 = 351
  학대의 정의 = 352
  신체학대 = 353
  방치 = 360
  심리적 학대 = 363
  성 학대 = 365
  학대유형의 비교 = 371
  중재 = 373
 이혼 = 375
  발달경로 = 376
  통합 발달 모형 = 380
  중재 = 380
제15장 소수민족 아동의 위험
 서론 = 383
  문제의 범위 = 383
  자기 민족 중심주의에 대한 반동 = 384
  정의 = 384
 일반적인 주제들 = 385
  소수민족의 지위와 사회경제적 지위 = 385
  민족적 패턴 = 387
  민족적 정체감 = 387
  평가, 진단과 치료에 대한 영향 = 389
 아프리카계 미국 청소년의 정체감 = 392
  배경정보 = 392
  정체감 형성의 과정 = 393
 일본계 미국 아동의 민족적 다양성 = 396
  전통적인 일본 문화 = 396
  세대간의 변화 = 398
  가족 맥락 = 399
  정신병리 = 400
 멕시코계 미국인 가정과 아동 돕기 = 401
  일반적인 특성 = 401
  가족구조와 가치관 = 401
  가족의 역할 = 402
  자녀 양육 = 403
  사회경제적 지위 = 403
  아동과 가족 돕기 = 404
제16장 심리평가
 발달정신병리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409
 평가과정 = 411
  평가의 목적 = 411
  자료의 초기 출처 = 411
  아동면접 = 415
 심리검사 = 420
  영아기에서 청소년기까지의 인지검사 = 420
  성취검사와 신경학상의 문제 = 424
  사회정서적 평가 = 425
  투사 기법 = 427
  행동 평가 = 433
  행동평가 척도 = 433
  행동 관찰 = 434
 임상적 평가 : 기술과 과학 = 437
제17장 중재와 예방
 아동 중재의 개념과 평가 = 439
  경험적 타당성 : 방법과 도전 = 440
 발달정신병리학적 접근 = 441
  중재에 대한 발달정신병리학적 개념의 적용 = 441
  통합적 접근 = 442
 정신분석적 접근 = 444
  고전적 정신분석 = 444
  자아심리학 = 446
  대상관계이론 = 447
  정신역동적 발달치료 = 450
  경험적 지지 = 451
 인본주의적 접근 = 452
  개념적 틀 = 452
  치료 과정 = 452
  경험적 지지 = 453
 행동 치료 = 454
  개념적 모델 = 454
 인지 치료 = 459
  개념적 모델 = 459
  치료과정 = 459
  분리불안 장애를 위한 인지치료 = 459
  개인간 문제 해결 기술 훈련(IPS) = 462
  경험적 지지 = 462
 가족 체계 접근법 = 464
  개념적 모델 = 464
  치료 과정 = 465
 예방 = 467
  정의 = 467
  Fast Track Program = 468
참고문헌 = 471
찾아보기 = 51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대한신생아스크리닝학회 (2022)
대한유방영상의학회 (2022)
Mellenthin, Clai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