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 ⅲ
저자서문 = ⅴ
제1장 발달적 접근
개관 = 1
일반적 발달의 기본 틀 = 3
시간 = 3
개인내 맥락 = 4
개인간 맥락 = 4
상위맥락 = 6
기질적맥락 = 6
아동정신병리의 모델들 = 6
의학모델 = 6
행동주의 모델 = 8
인지모델들 = 10
정신분석학 모델 = 12
가족체계모델 = 17
모델의 비교와 통합 = 20
발달정신병리학 = 20
유기체적 관점 = 20
정상발달과 이상발달간의 연속성 = 21
위험, 취약성, 그리고 보호요인 = 22
발달경로 = 24
동일결과와 다중결과 = 25
아동기 정신병리학의 개념화 = 28
제2장 정상발달
애착 = 30
애착의 형성 = 30
양육 = 32
주도성 = 33
주도성의 기원 = 33
주도성의 발달 과정 = 35
자기통제 = 37
자기통제에 포함된 요인들 = 37
부모의 훈육 = 39
발달경향 = 41
도덕발달 = 41
양심이란 무엇인가? = 41
양심의 발달 = 42
인지발달 = 43
인과론 = 43
자기중심성 = 44
정보처리 = 45
불안 = 45
발달 모습 = 45
방어기제 = 46
불안의 이중성 = 47
성의 발달 = 48
성정체성 = 48
성역할 = 48
성적 쾌감 = 49
공격성 = 50
발달적 모습 = 50
공격성 관리 = 52
또래관계 = 52
초기의 또래관계 = 52
사회성 = 53
집단 = 54
일 = 56
아동기 중기의 일 = 56
청년기의 직업선택과 정체성 = 57
발달적 통합 = 58
제3장 정신병리와의 연결
개념적 연결 = 61
진단과 분류 = 62
전통적 접근 : DSM = 62
DSM-IV의 특징 = 62
중다축 분류 = 64
발달적 관점에서의 DSM 한계 = 66
중다변인적 통계적 접근 : CBCL = 67
분류 : 건강과 정상적인 문제행동 = 71
건강한 발달 = 71
정상적인 문제와 정상적인 문제행동 = 71
분류 : 정신병리 = 72
영아기,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의 장애 = 73
아동과 성인 공통의 장애 = 74
종단적 연구들 = 75
연구책략 = 75
경험적인 결과들 = 83
요약과 평가 = 87
제4장 자폐증 : 영아기의 심각한 일탈
정의와 특징 = 89
정의 = 89
특징 = 91
발달 경로 = 92
양적 차이 대 질적 차이 = 92
병인론 : 개관 = 93
간단한 공식 = 93
자폐증에 특수한 기능의 탐색 = 93
연구 결과의 체계화 = 94
사회적 고립 = 94
영아기와 걸음마기 = 94
감정의 역할 = 103
통합적 요약 = 103
그릇된 가설 : 어머니로부터 기인한 자폐증 = 104
비의사소통적 언어 = 105
상징화와 가장놀이 = 105
의사소통 = 106
요약 = 107
동일성에 대한 병적 요구 = 108
집행 기능 = 108
감각의 과중한 부담과 정보의 체제화 = 109
자폐증의 특징에 대한 설명 = 110
사회적 상호작용 = 110
언어 = 110
동일성에 대한 요구 = 110
정신병리의 개념화 = 110
병인론 : 기질적 맥락 = 111
유전적 요인 = 111
신경학적 요인 = 112
중재 : 치료에서의 발전 = 113
제5장 영아기에서 학령전기까지 : 불안정 애착, 반항성 장애, 유뇨증
불안정 애착의 위험 = 117
애착유형 = 117
불안정 애착과 정신병리 : 개념적 연결 = 120
불안정 애착과 정신병리 : 증거 = 122
걸음마기 = 124
반항성 장애 = 125
정의와 특징 = 125
합병 = 126
발달경로 = 127
병인론 = 128
중재 = 131
유뇨증 = 131
정의와 특징 = 131
병인론 = 133
중재 = 135
발달적 통합 = 136
제6장 유아기 :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와 학습장애
주의력 결핍-과잉활동 장애 = 139
정의와 특징 = 139
합병 = 142
관련되는 문제들 = 143
발달경로 = 143
병인학 = 146
과잉활동-충동형 : 통합적 모델 = 147
부주의형 = 149
중재 = 150
학습장애 = 153
정의와 특징 = 153
읽기장애 = 156
병인론 : 개인내 맥락 = 159
중재 = 163
공학기술의 사용 = 164
제7장 우울스펙트럼장애와 아동 청소년자살
우울스펙트럼 장애 = 167
정의와 특징 = 167
발달차원 = 170
합병 = 173
발달경로 = 174
병인론 = 175
통합적 발달모델 = 184
중재 = 186
아동과 청소년 자살 = 188
정의와 유병률 = 188
병인론 = 190
통합적 발달모델 = 192
중재 = 194
제8장 아동기 중기 : 불안장애
불안장애 = 198
정의 및 특징 = 198
정상적 공포에서 불안까지 = 200
병인론 : 두 가지 주요이론 = 200
병인론 : 통합적-경험적 모델 = 202
특정 공포증 = 207
정의 및 특성 = 207
개입 = 209
분리불안장애 = 210
정의 및 특징 = 210
학교공포증 = 211
정의 및 특성 = 211
개입 = 212
강박장애 = 213
정의 및 특징 = 213
병인론 = 215
개입 = 216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 217
정의 및 특징 = 217
관련 변인들 = 219
개입 = 220
제9장 품행장애와 발달적 반사회적 행동
정의와 특징 = 223
품행장애의 종류 = 224
아동기 발병 대 청소년기 발병 = 224
파괴적/비파괴적 품행장애와 외현적/내재적 품행장애 = 227
정신병질자 = 227
아동기 초기 : ADHD로부터 품행장애에 이르는 경로 = 230
아동기 중기 : 적대성으로부터 품행장애로의 경로 = 230
아동기 후기와 청소년기 : 다양한 경로 = 231
청소년기 후기 : 반사회적 성격과 범죄에 이르는 경로 = 232
발달적 경로의 성차 = 233
병인론 = 234
개인내 맥락 = 234
개인간 맥락 : 가족의 영향 = 238
개인간 맥락 : 또래관계 = 242
상위맥락 = 243
기질적 맥락 = 244
통합적인 발달 모델 = 245
중재 = 247
행동 치료 : 부모 관리훈련 = 247
인지적 행동치료 :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 훈련 = 247
체계적 가족치료 = 247
중다 체계치료 = 248
예방 = 248
제10장 정신분열증 : 아동기 중기와 청소년기의 심각한 일탈
정의와 특징 = 249
정의 = 249
특징 = 251
정신분열증은 한 가지 인가? = 253
발달 경로 = 253
방법론적 문제 = 254
발달적 연구결과 = 255
정신분열증에 이르는 다양한 경로 = 258
보호요인 = 260
병인론 = 261
기질적 맥락 = 261
개인내 맥락 = 264
통합적 모델 = 267
정신병리학의 개념화 = 270
중재 = 270
제11장 청년기 이행에서의 정신병리 : 섭식장애와 물질남용
표준적 청소년 발달 = 273
청소년기의 발달정신병리 = 274
섭식장애 : 신경성식욕부진증 = 275
정의와 특징 = 275
병인론 = 276
합병 = 280
발달경로 = 280
섭식장애 : 신경성폭식증 = 280
정의와 특징 = 280
병인론 = 281
합병 = 284
발달 과정 = 285
섭식장애의 비교 = 285
통합적 발달 모형 = 286
중재 = 287
물질남용 = 288
정의와 특징 = 289
병인론 = 290
발달경로 = 294
통합적 발달 모형 = 296
중재 = 299
제12장 정신지체의 발달적 결과
정의 = 301
바뀌고 있는 정의들 = 301
정신지체의 "두 문화" = 305
특징 = 308
유병률 = 308
발달경로 = 309
합병 = 309
개인간 맥락 = 310
부모 = 310
또래 = 312
발달연구 = 313
병인론 : 개인간 맥락 = 315
인지적 요인 = 315
성격-동기 요소 = 319
병인론 : 기질적 맥락 = 320
중재 = 322
예방 = 325
제13장 신체질환과 뇌손상에 관련된 위험
소아과 심리학 = 327
만성질환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 = 327
질환의 발달 심리 = 330
질환에 대한 아동의 이해 = 331
통증에 대한 아동의 이해 = 333
입원의 영향 = 335
맥락간 상호작용 : 천식 = 336
정의와 특징 = 337
기질적 맥락 = 337
개인내 및 개인간 맥락 = 338
의학적 처방의 준수 : 당뇨병 = 338
정의와 특징 = 338
의학적 처방 = 339
준수와 관련된 문제 = 339
준수의 증진 = 340
통증관리 : 암 = 340
정의와 특징 = 340
치료 = 341
치료시 통증에 대처하기 = 341
통증 관리방법 = 342
뇌손상과 뇌부상 = 344
뇌손상 = 344
뇌부상 = 346
뇌는 얼마나 기본적인가? = 348
발달적 차원 = 350
제14장 가족 맥락의 위기 : 아동학대와 이혼
아동 학대 = 351
학대의 정의 = 352
신체학대 = 353
방치 = 360
심리적 학대 = 363
성 학대 = 365
학대유형의 비교 = 371
중재 = 373
이혼 = 375
발달경로 = 376
통합 발달 모형 = 380
중재 = 380
제15장 소수민족 아동의 위험
서론 = 383
문제의 범위 = 383
자기 민족 중심주의에 대한 반동 = 384
정의 = 384
일반적인 주제들 = 385
소수민족의 지위와 사회경제적 지위 = 385
민족적 패턴 = 387
민족적 정체감 = 387
평가, 진단과 치료에 대한 영향 = 389
아프리카계 미국 청소년의 정체감 = 392
배경정보 = 392
정체감 형성의 과정 = 393
일본계 미국 아동의 민족적 다양성 = 396
전통적인 일본 문화 = 396
세대간의 변화 = 398
가족 맥락 = 399
정신병리 = 400
멕시코계 미국인 가정과 아동 돕기 = 401
일반적인 특성 = 401
가족구조와 가치관 = 401
가족의 역할 = 402
자녀 양육 = 403
사회경제적 지위 = 403
아동과 가족 돕기 = 404
제16장 심리평가
발달정신병리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409
평가과정 = 411
평가의 목적 = 411
자료의 초기 출처 = 411
아동면접 = 415
심리검사 = 420
영아기에서 청소년기까지의 인지검사 = 420
성취검사와 신경학상의 문제 = 424
사회정서적 평가 = 425
투사 기법 = 427
행동 평가 = 433
행동평가 척도 = 433
행동 관찰 = 434
임상적 평가 : 기술과 과학 = 437
제17장 중재와 예방
아동 중재의 개념과 평가 = 439
경험적 타당성 : 방법과 도전 = 440
발달정신병리학적 접근 = 441
중재에 대한 발달정신병리학적 개념의 적용 = 441
통합적 접근 = 442
정신분석적 접근 = 444
고전적 정신분석 = 444
자아심리학 = 446
대상관계이론 = 447
정신역동적 발달치료 = 450
경험적 지지 = 451
인본주의적 접근 = 452
개념적 틀 = 452
치료 과정 = 452
경험적 지지 = 453
행동 치료 = 454
개념적 모델 = 454
인지 치료 = 459
개념적 모델 = 459
치료과정 = 459
분리불안 장애를 위한 인지치료 = 459
개인간 문제 해결 기술 훈련(IPS) = 462
경험적 지지 = 462
가족 체계 접근법 = 464
개념적 모델 = 464
치료 과정 = 465
예방 = 467
정의 = 467
Fast Track Program = 468
참고문헌 = 471
찾아보기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