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삶과 교육과정
제1장 학문적 탐구 분야로서의 교육과정 및 평가 = 11
[1] 교육과정의 고전모형 = 12
[2] 마음과 그 표현 = 16
[3] 이론과 실제 = 20
연구과제 해설 = 23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25
제2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제2장 형식도야이론 = 33
[1] 일반적 능력의 개발 = 34
[2] 형식도야이론에 대한 비판 = 37
[3] 형식도야이론의 매력과 함정 = 39
연구과제 해설 = 42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44
제3장 지식의 구조 = 49
[1] 생활적응교육 = 50
[2] 지식의 구조와 탐구학습 = 53
[3] 지식의 구조와 재조명 = 56
연구과제 해설 = 58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60
제4장 지식의 형식 = 67
[1] 보는 지식과 하는 지식 = 68
[2] 교과로서의 '지식의 형식' = 69
[3] 삶의 이상으로서의 자유교육 = 73
연구과제 해설 = 76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78
제3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제5장 실물교육 = 85
[1] 맨손수업 = 86
[2] 언어주의 교육 = 88
[3] 실물교육 = 93
연구과제 해설 = 96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98
제6장 교육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 = 105
[1] 간접전달의 문제의식 = 106
[2] 오크쇼트의 판단의 전수 = 107
[3]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 = 110
연구과제 해설 = 117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119
제7장 성리학의 심법 = 125
[1] 심법의 기원과 의미 = 126
[2] 격물치지 = 131
[3] 성(誠)과 경(敬) = 132
연구과제 해설 = 136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138
제4부 교육과정운영과 교육평가
제8장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 147
[1] 교육과정의 변천 = 148
[2]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 152
[3] 수준별 교육과정 = 155
연구과제 해설 = 157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159
제9장 수업과 평가 = 165
[1] 평가기준 = 166
[2] 평가도구 = 168
[3] 교사와 평가 = 170
연구과제 해설 = 172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174
제10장 교육과정과 평가 = 177
[1] 교육과정평가 모형 = 178
[2] 교육과정평가의 실제 = 181
[3] 교육평가와 교육의 정상화 = 183
연구과제 해설 = 185
기출문제 및 예상문제 = 187
부록 : 최종모의고사 =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