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39namccc200289 c 4500 | |
001 | 000045259848 | |
005 | 20100807074124 | |
007 | ta | |
008 | 050708s2005 ulka b 001a kor | |
020 | ▼a 8958910747 ▼g 93370: ▼c \18000 | |
040 | ▼a 211010 ▼c 211010 ▼d 211010 ▼d 211009 | |
050 | 1 4 | ▼a LB1028 ▼b .Y5 2005 |
082 | 0 4 | ▼a 370/.7/8 ▼2 22 |
090 | ▼a 370.78 ▼b 2005 | |
100 | 1 | ▼a 이혁규 ▼0 AUTH(211009)34148 |
245 | 1 0 | ▼a 교과 교육 현상의 질적 연구 : ▼b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 ▼d 이혁규 지음.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05. | |
300 | ▼a 501 p. : ▼b 삽도 ; ▼c 24 cm. | |
500 | ▼a Title also in English on cover: Qualitative inquiry. | |
500 | ▼a 찾아보기: p. 497-501 | |
504 | ▼a 서지적 각주 및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Education ▼x Research. |
740 | ▼a 질적 연구 | |
740 | ▼a Qualitative inquiry | |
900 | 1 1 | ▼a Yi, Hyok-kyu |
940 | ▼a Kyokwa kyoyuk hyonsang ui chilchok yon'gu : sahoe kyokwa rul chungsim uro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70.78 2005 | 등록번호 14104313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혁규(지은이)
청주교육대학교 총장 수업과 학교 혁신, 한국 교육 생태계의 변화를 위해 연구하고 실천해 왔다. 1987년에 서울에서 교직 생활을 시작하여 중·고등학교에서 10년 2개월 동안 가르쳤다. 1997년부터 청주교육대학교에서 현장과 함께 호흡하는 연구와 실천을 하면서 예비 교사를 양성하고 있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회장, 한국열린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인류학회 부회장으로 일했으며,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에서도 오랫동안 활동해 왔다. 수업과 학교 혁신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현장의 다양한 교원단체와도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2019년 12월에 청주교육대학교 제19대 총장 선거에 단독 출마하여 94.04%의 환산 득표율을 얻었다. 이 득표율의 무게감이 종종 가슴을 내리누른다. 2020년 3월 27일부터 소위 ‘코로나 총장’으로 일하고 있다. ‘모두가 존중받는 즐거운 학교’, ‘더불어 연구하고 실천하는 학교’,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자랑스러운 학교’를 공약하였다.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이 되지 않게 노력하고 있다. 위기의 시대에 올바른 의사결정과 민주적 리더십이 무엇인지 매일 고민한다. 한국 교육이 새로워져서 세계 사람들이 우리 교육을 배우러 오는 미래도 꿈꾸며 살고 있다. 쓴 책으로는 《수업 비평가의 시선》, 《수업,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한국의 교육 생태계》,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교과 교육 현상의 질적 연구》가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수업, 비평을 만나다》, 《수업 비평의 이론과 실제》, 《실행연구방법》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9월 11일 이후의 감시》가 있다. 언젠가 캠핑카를 빌려서 전국의 학교를 방문하면서 배우고 교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산다. 정년을 맞이하기 전에 여러 나라의 수업을 관찰하여 국제 수업 비평에 관한 책을 내는 것도 여전히 숙제로 안고 있다.

목차
목차 제1부 질적 연구 개관 제1장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 13 제1절 방법론적 대립의 역사적 배경 = 15 제2절 질적 연구의 특징 = 20 제3절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관계 = 23 제4절 질적 연구의 다양성에 대한 조망 = 31 제2장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 = 45 제1절 실증주의의 타당성 논의 = 49 제2절 구성주의의 타당성 논의 = 54 제3절 비판적 연구의 타당성 논의 = 65 제4절 참여적 실행연구의 타당성 논의 = 71 제5절 타당성 논의, 현재진행형 = 75 제3장 현장연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87 제1절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강조되는 맥락 = 88 제2절 잘못 이해되고 있는 현장연구 = 90 제3절 현장연구 지원제도의 현황 = 98 제4절 현장교육연구대회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를 중심으로 = 109 제5절 교육현장연구의 개선방향 = 119 제2부 질적 연구 사례 제4장 제7차 사회과 초등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133 제1절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137 제2절 선행 교육과정 연구의 검토 = 141 제3절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과정 = 146 제4절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 = 151 제5절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논의 = 176 제5장 제7차 사회과 중등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193 제1절 연구사적 맥락 = 197 제2절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201 제3절 교육과정 개정에의 참여자 = 204 제4절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 = 210 제5절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이해 = 227 제6절 사회과 교육과정 현상에 대한 새로운 담론화를 위하여 = 236 제6장 교과서 쓰기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247 제1절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249 제2절 교과서 집필의 상황적 맥락 = 253 제3절 교과서 쓰기체험의 의미 = 255 제4절 교과서 쓰기체험에 대한 성찰 = 277 제7장 수준별 교과서 예시단원개발에 관한 실행연구 = 287 제1절 제7차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과서의 특징 = 289 제2절 개발된 예시단원의 특징 = 292 제3절 사회과 예시단원의 현장적용 = 300 제4절 적용된 예시단원에 대한 반응 = 307 제8장 제7차 교육과정 맥락과 정치교과서의 변화 = 319 제1절 제7차 정치교과서의 제도적 맥락 = 321 제2절 정치교과서의 변화된 특성과 내용분석 = 334 제3절 정치교과서 변화에 대한 몇 가지 논의 = 346 제9장 중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에 대한 일상생활기술적 사례연구 = 353 제1절 교과의 변환과정과 교실 상호작용의 분석 = 356 제2절 중학교 통합사회과 교실수업의 이해 = 362 제3절 중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의 특징과 통합효과에 대한 논의 = 398 제10장 복합지체현상 : 질적 연구로 본 교실붕괴현상 = 413 제1절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415 제2절 학교붕괴현상과 담론 = 417 제3절 교실수업의 실제 : 무너지는 전통과 전환의 고통 = 424 제4절 교실수업현상에 대한 이해와 진단 = 430 제5절 학교교육 개선을 위한 방안 = 450 제11장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문화에 대한 연구 = 457 제1절 연구방법과 절차 = 460 제2절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탄생과 사회탐구영역 = 463 제3절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과정 = 466 제4절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이해 : 출제자의 눈 = 484 제5절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문화 = 488 찾아보기 =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