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행정학과 이론 연구 = 15
제1절 행정이론 연구의 정당성 = 15
제2절 행정학 연구에서의 이론과 실천의 통합 = 18
1. 이론적 과정과 실천적 과정 = 19
2. 이론과 실천의 상호 이행과 통합 = 23
제3절 행정학 발달의 변증법 = 26
1. 총체론적 사고 = 27
2. 주체와 객체의 통합 = 28
3. 전체성과 상호관련성 = 30
4. 대립과 갈등의 극복 = 31
제4절 행정이론 연구의 접근법 = 33
1. 기능주의적 접근 = 33
2. 관리과학적 접근 = 37
3. 행동과학적 접근 = 39
4. 다원주의적 접근 = 41
5. 공공선택론적 접근 = 44
제5절 행정이론의 한계 = 47
제2장 패러다임론 = 53
제1절 패러다임의 출현과 소멸 = 54
1. 정상과학 연구와 패러다임 = 54
2. 신패러다임의 등장 = 55
제2절 행정학의 패러다임 = 61
1. 행정 패러다임론 = 62
2. 신행정 패러다임 = 66
3. 사회과학 패러다임의 지적 근원 = 68
4. 신이론의 전개양식 = 70
제3절 패러다임 접근법의 한계
1. 사고의 경직성 = 72
2. 패러다임적 분석방법의 한계 = 74
제3장 지식사회학 이론 = 83
제1절 서론 = 84
1. 학파의 형성 = 84
2. 지식사회학의 개념 = 85
3. 이데올로기와 지식사회학 = 86
제2절 지식사회학의 방법 = 88
1. 지식사회학의 두 가지 흐름 = 88
2. 사고의 사회적 한계 = 91
제3절 지식사회학의 기능 = 93
1. 경험적 이론 = 94
2. 구조주의 = 95
3. 사회해석학 = 96
4. 이데올로기적 해석과 사회학적 해석 = 99
제4절 사회적 결정성의 본질 = 101
1. 지식의 객관적 타당성 = 101
2. 사회적 결정성과 개인적 자유 = 103
3. 선택적 친화력 = 105
4. 사회적 결정성의 범위 = 106
5. 인텔리겐치아 = 108
제5절 사회적 결정성의 극복 = 109
1. 실용주의적 해법 = 109
2. 사회적 합의 = 112
3. 플라톤주의적 접근 = 113
제4장 합의론 = 119
제1절 정책결정 = 120
1. 정책결정 과정 = 121
2. 정책결정 환경 = 124
제2절 합의적 정책결정의 한계 = 134
1. 관료의 집단이기주의 = 134
2. 상위계층의 의사결정 = 137
3. 과학성의 결여 = 138
4. 정책평가의 비정치성 = 139
제3절 합리적 정책결정 = 142
1. 합리론의 기원 = 143
2. 합리성의 개념과 구성 = 144
3. 합리성의 유형 = 146
4.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 = 149
제4절 합리론적 정책결정의 한계 = 150
1. 합리론의 정치적 한계 = 150
2. 절차적 합리성의 개념적 확장 = 151
3. 절차적 합리성의 결정 비용 = 155
4. 합의적 의사결정 = 156
제5장 비시장(정부) 실패이론 = 161
제1절 정부실패 = 161
1. 정부실패의 개념 = 161
2. 정부실패의 원인 = 163
3. 내부성과 조직목표 = 168
4. 파생적 외부성 = 170
5. 분배적 불공평 = 172
제2절 비시장 산출물의 수요와 공급 = 173
1. 비시장 산출물 = 173
2. 비시장 산출물 수요의 특징 = 173
3. 비시장 산출물 공급의 특징 = 179
제3절 시장과 비시장(정부)간의 선택 = 183
1. 시장과 비시장의 딜레마 = 183
2. 정부의 시장개입 = 184
3. 시장의 잠재력 = 188
4. 시장과 비시장의 상호의존성 = 189
제4절 정부실패 완화방법 = 193
1. 정부기능의 조정 = 184
2. 행정체계 개편과 구조조정 = 185
3. 정책결정의 방향 = 198
4. 보완전략 = 199
제6장 공공선택이론 = 203
제1절 공공선택이론의 역사와 가정 = 204
1. 역사적 근원 = 204
2. 공공선택이론의 개념 = 207
3. 공공선택이론의 접근법 = 210
제2절 공공선택이론의 발전 = 211
1. 직접민주주의 = 212
2. 대의제 민주주의 = 220
제3절 공공선택과 관료주의 = 228
1. 관료주의론 = 228
2. 이익집단 = 232
3. 실증적 연구 = 235
제4절 공공선택의 윤리적 정당성 = 240
1. 규범적 공공선택이론 = 240
2. 경제적 통치체계론 = 241
3. 롤즈의 정의론 = 243
제7장 정치행정학이론 = 249
제1절 신행정론의 등장 = 249
제2절 신행정론의 가치체계 = 251
1. 행정의 정치화 = 252
2. 사회적 형평성 = 256
3. 고객중심주의 = 257
4. 행정윤리의 강조 = 258
5. 소외계층의 보호 = 258
제3절 정치행정학의 기초 = 257
1. 정당제적 엽관주의 = 259
2. 행정학의 정치학으로의 회귀 = 261
3. 사회과학 연구의 통학문적 경향 = 264
4. 새로운 현실과 사회과학의 신조류 = 266
제4절 정치행정학의 가치체계 = 268
1. 가치중립성의 포기 = 268
2. 현실주의 = 270
3. 고도의 윤리성 = 271
4. 평등 및 형평의 원리 = 272
5. 중립적 관료주의의 거부 = 274
제8장 복잡체계이론 = 279
제1절 서론 = 279
1. 복잡성의 사회적 개념 = 279
2. 복잡체계이론의 패러다임 = 283
제2절 복잡체계이론의 인식론 = 285
1. 전체 인식(wholeness knowing) = 286
2. 창발 인식(emergence knowing) = 287
3. 응집 인식(coherence knowing) = 289
4. 공명인식(resonance knowing) = 291
5. 공진화 인식(co-evolution knowing) = 292
6. 초진화 인식(meta-evolution knowing) = 293
7. 일회성 인식(onceness knowing) = 296
제3절 사회체계의 복잡체계이론적 진화 = 299
1. 진화론적 사회인식 = 299
2. 생명체계의 진화론적 특징 = 301
3. 사회의 진화 = 303
제4절 복잡체계의 자기조직화 기능 = 304
1. 개방체계와 엔트로피 = 305
2. 자기조직화의 원리 = 308
3. 자기조직체계 = 315
제9장 전자정부이론 = 327
제1절 21세기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 = 328
1. 정부실패 = 328
2. 정보기술 향상 = 330
3. 고객지향적 민주행정 = 332
4. 외국의 전자정부 추진상황 = 333
제2절 전자정부의 목적과 기능 = 335
1. 개념 = 335
2. 전자정부의 목적 = 337
3. 전자정부의 기능 = 337
4. 전자정부 모델 = 338
제3절 전자정부의 구성요소 = 339
1. 전자자료 교환 = 339
2. 근거리 통신망 = 341
3. 전자우편 = 342
4. 통합 DB관리시스템 = 343
5. 정보 보안 시스템 = 344
6. 통합 물류지원 시스템 = 345
7. 전자결재 = 347
8. 화상회의 = 348
제4절 전자정부의 패러다임 = 349
1. 기술과 사회변화 = 350
2. 능률성과 공공성의 조화 = 352
3. 조직구조의 복잡화 = 354
4. 정보의 자원화 = 357
5. 의사결정능력 향상 = 358
제5절 전자정부의 문제 = 359
1. 의사결정의 집중화(권위주의화) = 359
2. 투자집중 및 기회비용 증대 = 361
3. 행정업무의 정량화·공식화 = 362
4. 정보의 유출과 왜곡 = 363
제10장 게임이론 = 367
제1절 서론 = 368
1. 게임이론의 발전과정 = 368
2. 게임의 규칙 = 369
3. 게임이론의 구성요소 = 370
4. 베이스의 의사결정 공식 = 374
5. 게임의 기본유형 = 377
제2절 사회과학과 게임이론 = 383
1. 보장게임 = 383
2. 담력게임 = 386
3. 죄수들의 딜레마 = 393
제11장 사이버네틱스 이론 = 399
제1절 생태계와 사이버네틱스 = 400
1. 사이버네틱스의 개념과 구조 = 400
2. 사이버네틱스 이론의 발달 = 406
3. 사이버네틱스 모델의 구성요소와 기능 = 407
제2절 사이버네틱스 인식론 = 413
1. 인식주체 = 413
2. 의사소통 = 415
3. 제어장치 = 416
4. 인식주체의 의사결정 = 418
제3절 정책결정과 사이버네틱스 = 424
1. 정보와 관련된 의사결정 = 424
2. 정책결정의 양면성 = 426
3. 정책연구 패러다임 복잡성 = 427
제4절 사이버네틱스 모델의 효용성 = 428
제12장 시스템 다이나믹스 이론 = 433
제1절 시스템 다이나믹스 이론의 기초 = 434
1. 시스템 다이나믹스 이론의 방법론적 특성 = 434
2. 시스템 사고의 특징 = 435
3. 통계적 방법론과의 차이 = 439
4. 게임이론과 시스템 다이나믹스 이론 = 442
제2절 피드백 구조의 분석 = 443
1. 인과관계의 순환지도 = 444
2. 피드백 루프 = 445
3. 이론모델의 구조 = 446
제3절 피드백 구조의 메커니즘 = 447
1. 자성적 예언 = 448
2. 포식자-피식자 모델 = 449
3. 도시문제론 = 453
4. 시스템적 접근법의 문제점 = 461
제13장 딜레마 이론 = 465
제1절 현대행정의 딜레마 = 465
1. 딜레마의 개념 = 465
2. 딜레마의 구성요소 = 466
제2절 딜레마의 원인과 모형 = 469
1. 딜레마 발생의 원인 = 469
2. 정책결정과정의 딜레마 = 470
제3절 정책과정의 딜레마 사례 = 471
1. 정책실패 = 471
2. 정책의 비일관성 = 473
3. 전체적 접근법을 통한 딜레마 분석 = 474
제4절 딜레마의 유형 = 475
1. 일치된 딜레마(DD) = 475
2. 무시된 딜레마 = 477
3. 의사 딜레마 = 479
4. 일치된 비딜레마(NN) = 481
제5절 딜레마의 반응형태 = 481
1. 반응유형 = 482
2. 딜레마의 정책대응 = 483
3. 패러독스와의 관계 = 486
제6절 딜레마 사례분석 = 487
1. 조직문화와 조직 딜레마 = 487
2. 전교조의 조직 딜레마 = 488
3. 인사제도의 딜레마 = 492
4. 규제 강화 및 철폐의 딜레마 = 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