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운동과 면역학
1. 운동과 면역 = 14
1) 운동의 개념 = 14
2) 면역의 개념 = 16
3) 면역의 특성 = 19
4) 생체방어 메커니즘 = 20
5) 면역반응 = 23
6) 면역계 = 27
2.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기구와 면역세포 = 29
3. 면역학 발달의 역사 = 34
4. 면역학과 운동면역학 = 36
1) 면역학 = 36
2) 운동면역학의 개념과 연구동향 = 36
제2장 운동과 선천성 면역
1. 운동과 백혈구 = 44
2. 운동과 호중구 = 46
1) 운동과 호중구의 기능 = 46
2) 운동이 호중구기능에 미치는 영향 = 48
3. 운동과 단구/대식세포 = 55
1) 운동과 단구/대식세포의 기능 = 55
2) 운동이 대식세포기능에 미치는 영향 = 60
4. 운동과 자연살해세포 = 63
1) 운동과 자연살해세포의 기능 = 63
2) 운동과 자연살해세포의 독성활성(NKCA) = 64
제3장 운동과 세포성 면역
1. 운동과 림프구 = 78
2. 운동과 T세포아형 = 80
3. 운동과 림프구 증식반응 = 87
제4장 운동과 체액성 면역
1. 운동과 B세포 = 94
2. 면역글로불린의 구조와 기능 = 94
1) 면역글로불린의 구조 = 94
2) 면역글로불린의 기능 = 96
3) 운동에 대한 혈청면역글로불린의 반응 = 98
4) 운동에 대한 점액면역글로불린의 반응 = 100
제5장 운동과 사이토카인
1. 사이토카인의 개념 = 112
2. 운동과 인터루킨 = 118
1) 운동과IL-1 = 119
2) 운동과IL-2 = 123
3) 운동과IL-6 = 130
3. 운동과 인터페론 = 131
4. 운동과 종양괴사인자 = 133
제6장 운동과 감염
1. 스포츠관련성 감염질환 = 144
2. 운동과 상기도 감염 = 146
3. 운동과 피부감염 = 153
4. 운동과 세균성 감염 = 155
5. 운동과 바이러스성 감염 = 158
6. 운동과 진균성 감염 = 160
7. 기타 감염 = 162
8. 급성감염질환 전과 중의 운동 = 163
1) 이환율과 사망률 = 163
2) 세균성 감염 = 163
3) 기생충과 바이러스감염 = 164
4) 신체수행능력의 저하 = 165
9. 운동과 HIV/AIDS = 165
제7장 운동과 암
1. 암은 무엇인가 = 176
1) 정의 = 176
2) 암의 발생원인 = 178
3) 암사망률 증가의 원인 = 180
2. 운동과 결장직장암 = 181
3. 운동과 유방암 = 183
4. 운동과 전립선암 = 187
5. 운동과 폐암 = 189
6. 암, 발암현상 및 운동 = 189
7. 운동이 암예방과 치료에 미치는 효과 = 190
제8장 운동과 면역기능
1. 급성운동에 대한 면역기능 = 194
1) 급성운동이 면역세포기능에 미치는 영향 = 194
2) 점증적 최대부하운동이 백혈구 및 백혈구아형에 미치는 영향 = 200
3) 점증적 외대부하운동이 림프구 및 림프구아형에 미치는 영향 = 202
4) 중정도 지구성운동이 백혈구 및 백혈구아형에 미치는 영향 = 208
5) 중정도 지구성운동이 림프구 및 림프구아형에 미치는 영향 = 213
6) 트라이애슬론 경기가 백혈구 및 백혈구아형에 미치는 영향 = 218
7) 트라이애슬론 경기가 림프구 및 림프구아형에 미치는 영향 = 225
2. 운동트레이닝에 대한 면역반응 = 233
1) 중정도 운동트레이닝시 면역반응 = 233
2) 격렬한 운동트레이닝시 면역반응 = 254
제9장 운동과 자가면역질환
1. 자가면역질환의 개념과 분류 = 274
2. 운동과 자가면역질환 = 277
제10장 운동, 면역 및 신경내분비 반응
1. 호르몬의 개념과 분류 = 280
2. 운동에 대한 호르몬의 반응 = 285
1) 카테콜아민 = 285
2) 인슐린과 글루카곤 = 287
3) 성장호르몬 = 288
4) 갑상선호르몬 = 289
5) 부신피질자극호르몬 = 289
6) 코티졸 = 290
7) 프로락틴 = 291
8) 베타 엔돌핀 = 291
3. 면역에 관한 신경내분비의 효과 = 293
제11장 운동과 면역억압의 가설
1. 운동시 혈장글루타민과 면역세포 = 306
2. 혈장지방산치와 면역세포에 관한 가능한 효과 = 310
3. 운동과 혈장글루타민 = 312
1) 점증적 최대부하운동이 혈장글루타민농도에 미치는 영향 = 312
2) 트라이애슬론 경기 전 L-글루타민 투여가 혈장글루타민농도에 미치는 영향 = 315
3) 중정도 지구성운동 후 L-글루타민 투여가 혈장글루타민농도에 미치는 영향 = 320
부록 1. 용어해설 = 327
부록 2. 면역세포 CD 일람 = 336
부록 3. 면역세포 분석방법 = 347
참고 및 인용문헌 = 351
단행본 = 351
연구논문 = 353
찾아보기 = 377
사항 = 377
인명 =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