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운동생리학강의

운동생리학강의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창균 김갑수
서명 / 저자사항
운동생리학강의 / 김창균 김갑수 공저.
발행사항
서울 :   대경북스 ,   2002.  
형태사항
281 p. : 삽도 ; 27 cm.
ISBN
8956760004
일반주기
찾아보기: p.269-281  
서지주기
참고문헌: p.265-267
000 00591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58624
005 20100807072004
007 ta
008 060519s2002 ulka b 1a kor
020 ▼a 8956760004 ▼g 93690: ▼c \13000
040 ▼a 211010 ▼c 211010 ▼d 211010 ▼d 211010
082 0 4 ▼a 612.044 ▼2 21
090 ▼a 612.044 ▼b 2002c
100 1 ▼a 김창균
245 1 0 ▼a 운동생리학강의 / ▼d 김창균 ▼e 김갑수 공저.
260 ▼a 서울 : ▼b 대경북스 , ▼c 2002.
300 ▼a 281 p. : ▼b 삽도 ; ▼c 27 cm.
500 ▼z 찾아보기: p.269-281
504 ▼a 참고문헌: p.265-267
700 1 ▼a 김갑수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2.044 2002c 등록번호 1410155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창균(지은이)

<운동과 건강 어드바이스>

김갑수(지은이)

<호신의 이론과 실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운동생리학이란
 1. 운동생리학의 정의 = 18
 2. 운동생리학의 역사 = 20
제2장 항상성
 1. 항상성의 개념 = 24
 2. 운동 중에 생기는 항상성 = 25
  (1) 체온조절 = 25
  (2) 혈압조절 = 25
  (3) 산소/이산화탄소 분압 = 25
  (4) 혈당 = 25
  (5) 체내의 산 - 염기조절 = 26
 3. 생체기능의 조절방법 = 26
  1) 정신에 의한 조절 = 26
  2) 신경에 의한 조절 = 27
  3) 내분비에 의한 조절 = 28
  4) 효소에 의한 조절 = 29
   (1) 효소활성의 조절 = 30
   (2) 효소량에 의한 조절 = 30
  5) 생체막투과성에 의한 조절 = 30
 4. 체온 = 30
  1) 체열의 생성과 방출 = 31
   (1) 체열의 생성 = 31
   (2) 체열의 방출 = 31
  2) 체온조절 = 32
   (1) 신경자극 = 34
   (2) 동맥의 온도 = 34
 5. 산 - 염기의 평형 = 34
  1) 산 - 염기대사 = 34
   (1) 산과 염기 = 35
   (2) pH = 35
  2) 수소이온의 발생원 = 36
   (1) 식사를 통해서 공급되는 산 = 36
   (2) 유기산 = 37
   (3) 휘발성산 = 37
  3) 산 - 염기의 조절 = 38
   (1) 세포내 완충제 = 38
   (2) 세포외 완충제 = 39
   (3) 호흡을 통한 산 - 염기대사의 조절 = 39
   (4) 신장을 통한 산 - 염기대사의 조절 = 40
 6. 운동 중 산 - 염기의 조절 = 40
제3장 인체의 구조
 1. 인체의 구조 = 44
  1) 인체의 화학적 구성 = 44
 2. 세포의 구조와 기능 = 46
  1) 세포의 구조 = 46
  2) 세포의 기본기능 = 48
   (1) 세포막 = 49
   (2) 세포질 = 50
   (3) 핵 = 53
제4장 운동과 에너지대사
 1. 에너지의 개념 = 56
  1) 에너지의 정의 = 56
  2) 에너지원 = 57
   (1) 탄수화물 = 58
   (2) 지방 = 59
   (3) 단백질 = 60
  3) 아데노신삼인산(ATP) = 61
  4) ATP 생성체계 = 62
   (1) 무산소성 에너지 생성체계 = 63
   (2) 유산소성 에너지 생성체계 = 67
 2. 안정시와 운동시의 에너지시스템 = 73
  1) 안정시의 에너지시스템 = 73
  2) 운동시의 에너지시스템 = 74
   (1) 단시간 운동 = 74
   (2) 장시간 운동 = 76
 3. 에너지 요구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 = 79
  1) 근육운동 = 79
  2) 연령과 체중 = 80
  3) 식품의 섭취 = 80
  4) 특이동적 작용 = 80
 4. 운동과 에너지 대사의 특수성 = 81
  1) 유·무산소성 에너지 시스템 = 81
   (1) 유·무산소성 에너지 시스템의 상호작용 = 81
   (2) 에너지 연속체의 현장지표 = 85
   (3) 경기 중의 에너지 시스템 = 86
   (4) 에너지 연속체와 무산소성역치 = 87
  2) 운동과 대사반응 = 88
   (1) 젖산역치 = 89
   (2) 운동 후 회복시 대사반응 = 90
 5. 피로의 원인 = 94
  1) 에너지 시스템과 피로 = 95
   (1) PC의 고갈 = 95
   (2) 글리코겐의 고갈 = 95
   (3) 섬유유형에 따른 글리코겐의 고갈 = 96
  2) 신진대사의 부산물과 피로 = 97
  3) 신경근의 피로 = 99
   (1) 신경자극 전달 = 99
   (2) 중추신경계 = 100
제5장 운동과 신경계 적응
 1. 신경계의 구조와 특성 = 102
  1) 중추신경계 = 102
  2) 말초신경계 = 103
   (1) 교감신경 = 105
   (2) 부교감신경 = 105
   (3) 자율신경과 화학물질 = 106
   (4) 자율신경의 중추 = 106
 2.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 = 106
  1) 신경세포의 구조 = 106
  2) 신경세포의 종류 = 108
   (1) 구심성 신경 = 108
   (2) 윈심성 신경 = 108
   (3) 개재뉴런 = 109
  3) 신경세포의 기능 = 110
  4) 신경세포의 전기적 특성 = 112
   (1) 막전압 = 113
   (2) 활동전압 = 114
 3. 신경의 연접 = 116
  1) 신경연접부의 기능 = 117
  2) 신경연접에서의 정보전달방법 = 117
  3) 시냅스 전달의 촉진과 억제 = 119
   (1) 흥분성 시냅스 후전압 = 119
   (2) 억제성 시냅스 후전압 = 120
 4. 근신경의 연접 = 120
  1) 근신경접합부의 구조 = 121
  2) 아세틸콜린의 작용기전 = 122
 5. 고유수용기와 운동 = 124
  1) 근방추 = 124
   (1) 근방추의 구조 = 124
   (2) 근방추의 기능 = 125
   (3) 감마시스템 = 126
  2) 골지건기관 = 127
   (1) 골지건기관의 구조 = 127
   (2) 골지건기관의 기능 = 128
  3) 관절수용기 = 129
  4) 척수반사 = 130
 6. 중추신경계의 운동조절 = 131
  1) 대뇌의 운동조절 = 131
  2) 소뇌의 구조와 기능 = 133
   (1) 제동효과 = 134
   (2) 스피드의 지각 = 135
  3) 지각의 입력과 운동기술 = 135
제6장 운동과 근육의 작용
 1. 근섬유의 구조와 기능 = 138
  1) 근원섬유 = 139
  2) 근형질세망과 가로세관 = 140
  3) 근원세사 = 140
   (1) 트로포미오신 = 141
   (2) 트로포닌 = 142
 2. 근수축의 기전 = 142
  1) 제1단계 : 안정 = 142
  2) 제2단계 : 자극-결합 = 143
  3) 제3단계 : 수축 = 143
  4) 제4단계 : 재충전 = 143
  5) 제5단계 : 이완 = 144
 3. 근수축의 형태 = 147
  1) 근수축 형태의 분류 = 147
   (1) 연축 = 147
   (2) 강축 = 147
   (3) 경축 = 148
   (4) 경직 = 148
  2) 근수축의 종류 = 148
   (1) 등척성 수축 = 149
   (2) 등장성 수축 = 149
 4. 근섬유 = 153
  1) 근섬유의 종류 및 특성 = 153
  2) 근섬유 분포 = 154
  3) 힘과 속도의 관계 = 157
  4) 근피로 = 160
   (1) 근피로에 대한 근섬유형태별 분포의 영향 = 160
   (2) 발생가능부위와 근피로의 원인 = 161
제7장 운동과 호흡계 반응
 1. 호흡기관의 구조와 기능 = 168
  1) 호흡기의 구조 = 168
  2) 내호흡과 외호흡 = 169
 2. 호흡의 역학 = 170
  1) 흡기작용 = 170
  2) 호기작용 = 171
 3. 호흡계의 작용 = 172
  1) 분당환기량 = 172
  2) 폐용적과 폐용량 = 172
  3) 기능적 환기용량 = 173
   (1) 강제호기량 = 174
   (2) 최대수의적 환기량 = 175
  4) 폐포환기와 해부학적 사강 = 175
 4. 운동과 폐기능 = 176
  1) 환기량 변화 = 176
   (1) 운동 전의 환기량 변화 = 176
   (2) 운동 중의 환기량 변화 = 176
   (3) 회복기의 환기량 변화 = 177
  2) 폐용적과 폐용량 = 178
  3) 환기량과 무산소성역치 = 179
 5. 가스교환 = 180
  1) 호흡가스의 농도와 분압 = 181
   (1) 대기 = 181
   (2) 기관 = 182
   (3) 폐포와 폐모세혈관 = 182
  2) 폐와 조직에서의 가스교환 = 183
   (1) 폐에서의 가스교환 = 183
   (2) 조직에서의 가스교환 = 184
 6. 호흡의 조절 = 184
  1) 호흡조절중추 = 184
  2) 호흡조절에 관련된 신호 = 184
 7. 가스운반 = 186
  1) 산소의 운반 = 186
   (1) 용해된 산소 = 186
   (2) 산화헤모글로빈 = 187
   (3) 산화헤모글로빈 해리곡선 = 187
  2) 이산화탄소의 운반 = 188
   (1) 용해된 상태 = 189
   (2) 중탄산염이온 = 189
   (3) 카르바미노 화합물 = 190
 8. 트레이닝에 따른 호흡계의 적응 = 191
  1) 폐용적과 폐용량 = 191
  2) 폐환기량 = 191
  3) 폐확산 = 192
  4) 동정맥산소차와 환기효율 = 192
  5) 동적 폐기능 = 192
제8장 운동과 순환계 반응
 1.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 196
  1) 심장의 구조 = 196
   (1) 심방과 심실 = 197
   (2) 심장의 판막 = 197
  2) 체순환과 폐순환 = 198
  3) 혈관 = 198
   (1) 동맥 = 198
   (2) 정맥 = 198
   (3) 모세혈관 = 198
 2. 심장의 수축과 이완의 기전 = 200
  1) 심장주기 = 200
  2) 심장의 전도체계 = 201
  3) 심전도파형의 이해 = 201
   (1) P파 = 202
   (2) PR 인터벌 = 202
   (3) QRS파 = 203
   (4) T파 = 203
   (5) QT 인터벌 = 204
   (6) RR 인터벌 = 204
  4) 흉부유도부착 = 204
 3. 순환계의 작용 = 205
  1) 혈액동력학 = 205
   (1) 혈액의 물리적 특성 = 206
   (2) 혈압 = 206
   (3) 평균동맥혈압 = 207
   (4) 혈류저항 = 207
  2) 심박출량과 1회박출량 = 209
   (1) 프랭크 - 스탈링의 법칙 = 210
   (2) 스포츠 심장 = 211
  3) 심박수 = 212
  4) 혈류재분배 = 213
  5) 정맥혈회귀 = 215
   (1) 정맥수축 = 215
   (2) 근육펌프 = 216
   (3) 호흡펌프 = 216
 4. 트레이닝에 따른 순환계의 적응 = 217
  1) 안정시의 변화 = 217
   (1) 심장크기의 변화 = 217
   (2) 심박수의 감소 = 218
   (3) 1회박출량의 증가 = 219
   (4) 혈액량과 헤모글로빈량의 증가 = 219
  2) 최대하 운동 중의 순환계 변화 = 219
   (1) 심박출량 변화와 1회박출량의 증가 = 220
   (2) 효율성의 증대 = 220
   (3) 심박수의 감소 = 221
   (4) 근혈류량의 증가 = 222
  3) 최대운동 중의 순환계 변화 = 222
   (1) 최대심박출량과 1회박출량의 증가 및 심박수의 변화 = 222
   (2) 최대유산소능력의 향상 = 223
   (3) 근혈류량의 변화 = 224
제9장 운동과 영양
 1. 영양이란 = 228
  1) 영양소의 분류 = 228
  2)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 228
   (1) 탄수화물 = 228
   (2) 지방 = 229
   (3) 단백질 = 230
   (4) 비타민 = 230
   (5) 무기질 = 232
   (6) 수분 = 234
 2. 수분과 운동 = 235
  1) 수분의 역할 = 235
  2) 수분섭취량과 운동 = 235
   (1) 찬물이 시원하고 좋다 = 236
   (2) 너무 달면 부담스럽다 = 237
   (3) 속이 부담스럽지 않은 적정운동강도 = 238
   (4) 운동전 적정 수분섭취량 = 238
  4) 탈수예방을 위한 수분섭취 = 239
   (1) 탈수 = 239
   (2) 탈수에 따른 악순환 = 239
  5) 수분섭취요령 = 240
   (1) 운동 전 수분섭취 = 240
   (2) 운동 중 수분섭취 = 241
   (3) 운동 후 수분섭취 = 241
 3. 운동과 식이방법 = 241
  1) 운동 전 식사 = 242
  2) 운동 중 식사 = 243
  3) 운동 후 식사 = 243
   (1) 지속적 운동시 고갈된 근글리코겐의 보충 = 244
   (2) 간헐적 운동시 고갈된 근글리코겐의 보충 = 245
   (3) 근글리코겐의 과잉섭취 = 246
제10장 고령자와 운동처방
 1. 인구의 고령화 = 250
 2. 노화현상 = 251
  1) 노화의 증상 = 251
  2) 노화과정 = 252
   (1) 역연령에 의한 노화현상 = 252
   (2) 기능적 연령에 의한 노화현상 = 252
 3. 노인의 특성 = 252
  1) 형태학적 요인 = 252
  2) 생리기능적 요인 = 253
 4. 노인의 체력요소 = 255
 5. 노인의 건강과 운동효과 = 256
 6. 고령자의 운동처방 = 258
  1) 고령자의 운동시 주의사항 = 258
  2) 고령자 운동처방의 목표 = 259
  3) 고령자 운동처방시 고려사항 = 260
   (1) 운동형태 = 260
   (2) 운동빈도 = 261
   (3) 운동시간 = 261
   (4) 운동강도 = 262
   (5) 운동단계 = 262
 7. 질병에 따른 운동처방의 예 = 263
  (1) 퇴행성 골관절염 = 263
  (2) 관상동맥질환 = 263
  (3) 당뇨병 = 264
  (4) 기립성 저혈압 = 264
  (5) 어지럼증, 운동실조 = 264
  (6) 기타 = 264
참고문헌 = 265
찾아보기 = 26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