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62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257961 | |
005 | 20100807070821 | |
007 | ta | |
008 | 060518s2004 tjk MF 000a kor | |
020 | ▼a 8984150266 ▼g 93230: ▼c \12000 | |
035 | ▼a KRIC09288869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270.6 ▼2 21 |
090 | ▼a 270.6 ▼b 2004a | |
100 | 1 | ▼a 김기련 ▼0 AUTH(211009)89365 |
245 | 1 0 | ▼a 종교개혁사 / ▼d 김기련 著. |
250 | ▼a 2판. | |
260 | ▼a 대전 : ▼b 목원대학교출판부 , ▼c 2004. | |
300 | ▼a ii, 360 p. ; ▼c 23 cm. | |
504 | ▼a 서지적 각주 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270.6 2004a | Accession No. 1114584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270.6 2004a | Accession No. 1410353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기련(지은이)
목원대학교 신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졸업 독일 Frankfurt 대학교 신학부에서 박사(Dr. phil.) 학위 취득 경력 목원대학교 교목실장 역임(1997-1999)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장 역임(2000.3-2004.1)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장 역임(2005.9-2006.8) 한국교회사학회 회장 역임(2007-2008) 한국교회사학회 감사 역임(2007-2009) 2022 前, 목원대학교 신학대학 교회사 교수 前, 목원대학교 부총장 現, 목원대학교 신학대학 명예 교수 저서 《인간과 종교》 (1998, 공저) 《기독교와 현대사회》 (1998, 공저) 《교회사 통론》 (2000) 《종교개혁사》 (2001) 《세계교회사》(2002) 《기독교 영성사》 (2003) 《기독교 영성사Ⅱ》 (2007, 공저) 《종교개혁자 루터 칼빈 뮌처의 신학》 (2020)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종교개혁 이전의 중세 상황 = 1 1. 정치적 상황 = 1 2. 경제적 상황 = 14 3. 사회적 상황 = 16 4. 사상적 상황 = 19 5. 종교적 상황 = 22 제2장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들 = 33 1. 독일 신비주의와 신비적 개혁자 = 34 2. 실제적 개혁자 = 43 3. 교리적 개혁자 = 52 제3장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 = 72 1. 종교개혁의 간접적 원인 = 72 2. 루터와 종교개혁의 직접적인 원인 = 76 3. 루터의 종교개혁 원리 = 102 제4장 루터의 논쟁과 저서 = 109 1. 루터의 초기 논쟁 = 109 2. 루터의 1520년의 3대 논문 = 116 3. 루터의 이왕국 교리에 나타난 정치 사상 = 133 제5장 급진주의자들의 종교개혁 = 147 1. 칼스타트 = 147 2. 쯔빅카우의 예언자들과 루터의 대응 = 151 3. 토마스 뮌쩌 = 156 제6장 루터와 에라스무스와의 인간의지에 대한 논쟁 = 202 1. 인간 자유의지에 대한 교회사적 입장 = 202 2. 인문주의와 종교개혁과의 관계 = 203 3.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론 = 203 4. 루터의 노예의지론 = 206 제7장 루터와 쯔빙글리의 성찬논쟁 = 209 1. 루터의 성찬이해 = 209 2. 쯔빙글리의 성찬이해 = 210 3. 마르부르그 성찬 논쟁과 협약 = 212 제8장 필립 멜랑히톤과 아우그스부르그의 신앙고백서 = 220 1. 종교개혁에 있어서 멜랑히톤의 위치 = 220 2. 아우구스부르그 신앙고백서 = 222 제9장 쯔빙글리의 종교개혁 = 236 1. 쯔빙글리의 인물 = 236 2. 쯔빙글리의 신학 = 239 제10장 재세례파의 운동 = 250 1. 재세례파의 기원 = 250 2. 재세례파의 박해와 확장 = 252 3. 재세례파의 교회와 국가 이해 = 253 4. 재세례파의 종말론 = 255 5. 재세례파에 대한 평가 = 256 제11장 칼빈의 종교개혁 = 258 1. 칼빈의 생애와 제네바의 종교개혁 = 258 2. 칼빈의 신학 = 263 3. 칼빈주의 5대 강령과 아르미니안주의 = 271 제12장 반종교개혁 = 276 1. 이그나티우스 폰 로욜라 = 276 2. 트리엔트 종교회의 = 278 제13장 영국의 종교개혁 = 280 1. 영국의 종교개혁 = 280 2. 청교도 운동 = 285 3. 존 웨슬리와 영국 복음주의 운동 = 292 〈부록〉 95개 논제 = 300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장로교인들은 무엇을 믿는가? =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