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떡류 = 11
1. 떡의 유래 = 14
2. 시대별 떡의 역사 = 17
2.1 삼국시대 이전(상고시대의 떡) = 17
2.2 삼국시대의 떡 = 18
2.3 삼국과 통일신라 = 18
2.4 고려시대 = 19
2.5 조선시대 = 20
2.6 근대 이후 = 22
2.7 궁중의 떡 = 22
2.8 사찰의 떡 = 23
2.9 중국과 일본의 떡 = 23
3. 절식과 예식에 따른 떡의 성격 및 의미와 종류 = 26
3.1 절식과 떡류 = 28
3.2 예식과 떡류 = 30
4. 떡 문화의 특징 = 33
5. 떡의 영양과 저장 = 34
6. 만드는 방법에 따른 떡의 분류 = 35
6.1 찌는 떡(무리떡) = 36
6.2 치는 떡 = 40
6.3 빚는 떡 = 42
6.4 지지는 떡 = 44
6.5 기타 떡의 종류 = 47
7. 떡 만들기의 기초 = 48
7.1 가루 만들기 = 48
7.2 고물 만들기 = 50
7.3 떡 찌기 = 53
8. 떡 만드는데 필요한 조리도구 = 55
9. 떡의 종류별 만드는 방법 = 57
10. 지방별 향토떡 = 67
10.1 경기도 지방의 떡 = 67
10.2 강원도 지방의 떡 = 70
10.3 경상도 지방의 떡 = 74
10.4 전라도 지방의 떡 = 77
10.5 제주도 지방의 떡 = 80
10.6 충청도 지방의 떡 = 81
10.7 평안도 지방의 떡 = 83
10.8 함경도 지방의 떡 = 84
10.9 황해도 지방의 떡 = 86
제2장 한국의 과자류 = 89
1. 한과의 유래와 발달 = 91
2. 한과의 특징 = 95
3. 한과에 관련된 풍속과 의례 = 96
3.1 일반 풍속 = 96
3.2 통과 의례와 과줄의 풍속 = 96
4. 지방별 향토한과 = 97
4.1 경기도 지방의 한과 = 97
4.2 강원도 지방의 한과 = 97
4.3 충청도 지방의 한과 = 99
4.4 전라도 지방의 한과 = 100
4.5 경상도 지방의 한과 = 101
4.6 황해도 지방의 한과 = 101
4.7 제주도 지방의 한과 = 101
4.8 평안도 지방의 한과 = 102
4.9 함경도 지방의 한과 = 102
5. 한과 만들 때 필요한 조리도구 = 102
6. 한과 제조시 필요한 재료 = 105
7. 한과류의 재료와 방법에 따른 분류 = 106
7.1 유밀과류 = 107
7.2 유과류(강정류ㆍ산자류) = 109
7.3 다식류 = 111
7.4 전과류(정과류) = 111
7.5 과편류 = 115
7.6 숙실과류 = 116
7.7 고는 한과 : 엿
8. 종류별 한과의 만드는 방법 = 117
제3장 음청류ㆍ건강음료 = 153
1. 음청류의 역사 및 변천 = 157
1.1 삼국시대의 음청류 = 158
1.2 고려시대의 음청류 = 158
1.3 조선시대의 음청류 = 159
1.4 기호음료의 변천 = 160
2. 음청류의 종류 = 160
3. 음청류의 종류별 만드는 방법 = 165
4. 건강 녹즙음료 및 기타 = 179
제4장 차류 = 187
1. 차의 개념 = 189
2. 차의 기원과 역사 = 190
2.1 삼국시대 = 191
2.2 고려시대 = 192
2.3 조선시대 = 193
2.4 근대 = 194
3. 차의 종류 = 194
4. 차의 성분 = 197
5. 차의 기능성과 효능 = 200
6. 차의 활용 = 207
7. 다구의 종류 = 211
8. 차 종류에 따른 마시는 방법 = 212
9. 차 마시는 예절(다도) = 214
10. 차 달일 때 주의점 = 215
11. 한방차의 종류별 특징 = 217
11.1 열매를 이용하는 차의 종류 = 217
11.2 잎을 이용한 차의 종류 = 232
11.3 껍질을 이용한 차의 종류 = 242
11.4 뿌리를 이용한 차의 종류 = 244
11.5 전신을 이용한 차의 종류 = 252
11.6 꽃잎을 이용한 차의 종류 = 257
11.7 우리 한방차 효능 = 259
12. 녹차를 이용한 요리 = 261
12.1 주식류 = 263
12.2 부식류 = 266
12.3 후식류 = 269
12.4 차의 변질과 보관 = 272
제5장 한국의 전통술 = 275
1. 전통술의 특징 = 278
2. 우리 술의 정의와 기원 = 278
3. 전통술의 역사 = 280
3.1 고대시대 = 280
3.2 고구려 = 281
3.3 백제 = 281
3.4 신라와 통일신라시대 = 282
3.5 고려시대 = 282
3.6 조선시대 = 284
3.7 일제하의 술 = 287
3.8 해방 후의 술 = 288
3.8 주류음료의 변천 = 288
4. 전통술의 분류 = 289
5. 전통주의 재료 = 293
6. 절기 주류 = 295
7. 전통술 맛있게 마시는 법 = 296
8. 민속주의 종류(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민속주와 향토주) = 297
8.1 서울ㆍ경기지방 = 297
8.2 충청지방 = 300
8.3 호남지방 = 303
8.4 경상도지방 = 305
8.5 제주지방 = 308
8.6 강원도지방 = 309
9. 과실주ㆍ건강주 = 309
10. 종류별 술 담그기 = 311
찾아보기 =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