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최신식품조리과학 초판

최신식품조리과학 초판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홍기운 김이수
서명 / 저자사항
최신식품조리과학 / 홍기운; 김이수 지음.
판사항
초판
발행사항
서울 :   大旺社 ,   2004.  
형태사항
450 p. : 삽도 ; 26 cm.
ISBN
8945682953
일반주기
찾아보기 : p. [441]-450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39]-440
일반주제명
Food Cookery.
000 00721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255956
005 20100807064349
007 ta
008 060520s2004 ulka 001a kor
020 ▼a 8945682953 ▼g 93980: ▼c \20000
035 ▼a KRIC09315352
040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10 ▼d 211010
082 0 4 ▼a 641.5 ▼2 21
090 ▼a 641.5 ▼b 2004n
100 1 ▼a 홍기운
245 1 0 ▼a 최신식품조리과학 / ▼d 홍기운; ▼e 김이수 지음.
250 ▼a 초판
260 ▼a 서울 : ▼b 大旺社 , ▼c 2004.
300 ▼a 450 p. : ▼b 삽도 ; ▼c 26 cm.
500 ▼a 찾아보기 : p. [441]-450
504 ▼a 참고문헌 : p. [439]-440
650 4 ▼a Food
650 4 ▼a Cookery.
700 1 ▼a 김이수 ▼0 AUTH(211009)56762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641.5 2004n 등록번호 1410349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홍기운(지은이)

한국외식산업 대학교수 협의회 회장 (사)한국외식산업 경영학회 회장 역임 (사)한국외식산업협회 자문위원 (사)한국프랜차이즈협회 자문위원 경기대학교 호텔외식경영학 박사/식품기술사 현)혜전대학 호텔조리외식계열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조리원리의 개념
 제1절 식품과 조리원리 = 23
  1. 식품의 의의 = 23
   1) 영양 및 영양소의 정의 = 23
   2) 식품의 정의 = 24
   3) 식품의 분류 = 24
  2. 조리의 의의 = 25
   1) 조리의 정의 = 26
   2) 조리의 중요성 = 26
   3) 조리의 목적 및 식품학적 가치 = 27
   4) 조리의 의의 = 30
 제2절 조리분야의 향후과제 및 방향 = 31
  1. 조리분야의 향후과제 = 31
  2. 조리분야의 향후방향 = 31
   1) 영양을 고려한 조리 = 32
   2) 기호도를 고려한 조리 = 35
   3) 맛을 고려한 조리 = 36
   4) 전통음식문화 유지를 고려한 조리 = 38
제2장 조리원리의 기초지식
 제1절 조리와 열 = 41
  1. 열 = 41
   1) 가열조리의 효과 = 41
   2) 열의 강도 = 42
   3) 단위와 차원 = 43
   4) 열량단위 = 47
  2. 열전달의 방법 = 48
   1) 복사 = 49
   2) 전도 = 49
   3) 대류 = 50
  3. 열전달의 매체 = 51
   1) 공기 = 51
   2) 물 = 51
   3) 수증기 = 52
   4) 기름 = 52
  4. 열원의 종류 = 52
   1) 가스 = 53
   2) 전기 = 53
   3) 전자렌지 = 53
 제2절 조리방법 및 기초지식 = 56
  1. 조리의 기본조작 = 56
   1) 계량의 필요성 = 56
   2) 계량단위 = 56
   3) 계량기구 = 57
   4) 주요식품의 계량방법 = 60
  2. 조리의 기초지식 = 62
   1) 점성 = 62
   2) 표면장력 = 62
   3) 거품 = 62
   4) 콜로이드 = 63
   5) 용해도 = 63
   6) 삼투압 = 64
   7) 팽윤 = 64
   8) 탄성 = 65
   9) pH = 65
   10) 산화 = 65
   11) 용출 = 66
   12) 유화 = 66
  3. 조리의 예비작업 = 67
   1) 다듬기 = 67
   2) 씻기 = 69
   3) 수침 = 70
   4) 썰기 = 73
   5) 분쇄 = 75
   6) 혼합, 섞기, 젓기 = 75
   7) 밀어 늘리기, 모양 만들기 = 76
   8) 압착, 누르기, 여과, 거르기 = 76
   9) 냉각, 냉장 = 77
   10) 냉동, 해동 = 77
   11) 담기 = 78
  4. 조리방법의 종류 = 79
   1) 비가열조리법 = 79
   2) 습식가열조리법 = 81
   3) 건식가열조리법 = 82
   4) 복합조리법 = 86
제3장 식물성 식품과 조리과학
 제1절 곡류와 조리원리 = 89
  1. 곡류 = 89
   1) 곡류의 분류 = 89
   2) 곡류의 영양성분 = 90
   3) 곡류의 식품학적 의의 = 91
  2. 전분 = 92
   1) 전분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92
   2) 전분의 종류와 구조 = 92
   3) 전분의 조리시 특징 = 93
  3. 쌀 = 97
   1) 쌀의 일반성분 = 97
   2) 쌀의 구조 = 98
   3) 쌀의 도정 = 99
   4) 쌀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00
   5) 쌀의 선택 및 보관법 = 101
   6) 밥짓기 = 102
   7) 밥의 종류 = 106
  4. 보리 = 107
   1) 보리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07
   2) 보리의 영양성분 = 108
   3) 보리선택법 = 108
   4) 보리의 효능 = 108
  5. 밀 = 109
   1) 밀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09
   2) 밀의 영양성분 = 110
   3) 밀의 효능 = 111
   4) 밀의 저장법 = 111
   5) 밀가루의 종류 = 111
   6) 밀가루 단백질의 특성 = 112
   7) 밀가루 조리가공시 첨가물 = 112
   8) 밀가루의 제조과정 = 113
  6. 조 = 114
   1) 조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14
   2) 조의 영양성분 = 114
   3) 조의 선택법 = 115
  7. 기타 곡류 = 115
   1) 귀리 = 115
   2) 수수 = 116
   3) 옥수수 = 116
   4) 호밀 = 117
   5) 메밀 = 117
 제2절 두류와 조리원리 = 118
  1. 두류 = 118
   1) 두류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18
   2) 두류의 영양성분 = 119
  2. 콩 = 121
   1) 콩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21
   2) 콩의 영양성분 = 122
   3) 콩의 종류 및 특징 = 122
   4) 콩의 조리시 특징 = 123
  3. 팥 = 124
   1) 팥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24
   2) 팥의 영양성분 = 124
   3) 팥의 종류 및 특징 = 124
   4) 팥의 효능 = 124
  4. 녹두 = 125
   1) 녹두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25
   2) 녹두의 영양성분 = 125
   3) 녹두의 특징 = 125
  5. 기타 두류 = 125
   1) 완두 = 125
   2) 땅콩 = 126
  6. 두류의 가공품 및 이용품 = 126
   1) 두부 = 126
   2) 두유 = 127
   3) 된장, 간장 = 128
   4) 콩나물 = 129
 제3절 서류와 조리원리 = 129
  1. 서류의 개요 = 129
  2. 감자 = 130
   1) 감자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30
   2) 감자의 영양성분 = 131
   3) 감자의 종류 = 131
   4) 감자의 갈변 = 132
   5) 감자의 조리시 특징 = 132
   6) 감자의 효능 = 134
   7) 감자의 선택 및 보관법 = 134
  3. 고구마 = 135
   1) 고구마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35
   2) 고구마의 영양성분 = 135
   3) 고구마의 종류 = 136
   4) 고구마의 조리시 특징 = 136
   5) 고구마의 선택 및 보관법 = 136
 제4절 채소류와 조리원리 = 137
  1. 채소류의 개요 = 137
   1) 채소류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37
   2) 채소류의 영양성분 = 141
   3) 채소류의 조리시 특징 = 141
  2. 배추 = 149
   1) 배추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49
   2) 배추의 영양성분 = 149
   3) 배추의 종류 = 151
   4) 배추의 조리시 특징 = 151
   5) 배추의 선택 및 보관법 = 151
  3. 시금치 = 153
   1) 시금치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53
   2) 시금치의 영양성분 = 153
   3) 시금치의 종류와 특징 = 153
   4) 시금치의 조리시 특징 = 154
   5) 시금치의 선택법 = 154
  4. 샐러리 = 154
   1) 샐러리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54
   2) 샐러리의 영양성분 = 155
   3) 샐러리의 종류와 특징 = 155
   4) 샐러리의 조리시 특징 = 155
   5) 샐러리의 선택법 = 155
  5. 무 = 156
   1) 무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56
   2) 무의 영양성분 = 156
   3) 무의 종류와 특징 = 157
   4) 무의 조리시 특징 = 157
   5) 무의 선택 및 보관법 = 157
  6. 양파 = 158
   1) 양파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58
   2) 양파의 영양성분 = 158
   3) 양파의 종류와 특징 = 158
   4) 양파의 조리시 특징 = 159
   5) 양파의 선택 = 159
  7. 기타 채소류 = 160
   1) 마 = 160
   2) 오이 = 160
   3) 토마토 = 161
   4) 고추 = 163
   5) 호박 = 163
 제5절 과일류와 조리원리 = 164
  1. 과일류의 개요 = 164
   1) 과일류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64
   2) 과일류의 영양성분 = 165
   3) 과일류의 조리시 특징 = 166
  2. 사과 = 167
   1) 사과류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67
   2) 사과의 영양성분 = 168
   3) 사과의 종류 = 168
   4) 사과의 선택 및 보관법 = 169
   5) 사과의 효능 및 효과 = 170
  3. 배 = 171
   1) 배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71
   2) 배의 영양성분 = 171
   3) 배의 종류 = 173
   4) 배의 선택법 = 173
   5) 배의 효능 및 효과 = 173
  4. 감 = 174
   1) 감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74
   2) 감의 영양성분 = 174
   3) 감의 종류 = 175
   4) 감의 선택법 = 175
   5) 감의 효능 및 효과 = 175
  5. 레몬 = 176
   1) 레몬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76
   2) 레몬의 영양성분 = 176
   3) 레몬의 조리시 특징 = 176
  6. 자두 = 177
   1) 자두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77
   2) 자두의 영양성분 = 177
   3) 자두의 종류 = 177
   4) 자두의 선택법 = 178
  7. 기타 과일류 = 178
   1) 살구 = 178
   2) 대추 = 179
   3) 매실 = 179
   4) 포도 = 180
   5) 밤 = 183
   6) 호두 = 184
   7) 바나나 = 185
   8) 파인애플 = 185
   9) 잣 = 186
   10) 키위 = 186
 제6절 버섯류와 조리원리 = 186
  1. 버섯류의 개요 = 186
   1) 버섯류의 분류 = 186
   2) 버섯류의 영양성분 = 187
   3) 버섯류의 식품학적 의의 = 188
   4) 버섯류의 조리시 특징 = 188
   5) 독버섯의 감별법 = 188
  2. 표고버섯 = 189
   1) 표고버섯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89
   2) 표고버섯의 영양성분 = 189
   3) 표고버섯의 조리시 특징 = 190
   4) 표고버섯의 선택법 = 190
  3. 송이버섯 = 191
   1) 송이버섯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191
   2) 송이버섯의 영양성분 = 191
   3) 송이버섯의 조리시 특징 = 191
  4. 기타 버섯류 = 192
   1) 양송이버섯 = 192
   2) 팽이버섯 = 192
   3) 느타리버섯 = 193
   4) 석이버섯 = 193
   5) 송노버섯 = 193
제4장 동물성 식품과 조리과학
 제1절 육류와 조리원리 = 197
  1. 육류의 개요 = 197
   1) 육류의 분류 = 197
   2) 육류의 영양성분 = 198
   3) 육류의 식품학적 의의 = 199
   4) 육류의 구조 및 특징 = 199
   5) 육류 사후변화 = 200
   6) 육류의 조리시 특징 = 202
  2. 쇠고기 = 203
   1) 쇠고기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203
   2) 쇠고기의 영양성분 = 204
   3) 쇠고기의 종류 및 특징 = 205
   4) 쇠고기의 선택 및 보관법 = 207
  3. 돼지고기 = 208
   1) 돼지고기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208
   2) 돼지고기의 영양성분 = 208
   3) 돼지고기의 종류 및 특징 = 210
   4) 돼지고기의 선택법 = 211
   5) 돼지고기의 식육가공품 = 211
  4. 닭고기 = 212
   1) 닭고기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212
   2) 닭고기의 영양성분 = 213
   3) 닭고기의 선택 및 보관법 = 214
  5. 기타 육류 = 215
   1) 오리 = 215
   2) 칠면조 = 216
   3) 메추리 = 216
 제2절 난류와 조리원리 = 217
  1. 난류의 개요 = 217
   1) 난류의 분류 = 217
   2) 달걀의 영양성분 = 218
   3) 달걀의 식품학적 의의 = 219
   4) 달걀의 조리시 특징 = 220
  2. 달걀의 품질판정법 = 221
   1) 외관 = 221
   2) 비중 = 221
   3) 진음법 = 222
   4) 설감법 = 222
   5) 투시법 = 222
   6) 할란검사 = 222
  3. 계란의 가공품 = 223
   1) 위생란 = 223
   2) 건조란 = 223
   3) 동결란 = 223
   4) 피단 = 223
   5) 마요네즈 = 224
 제3절 우유 및 유제품과 조리·가공원리 = 224
  1. 우유의 개요 = 224
   1) 우유의 식품학적 의의 = 224
   2) 우유의 영양성분 = 225
  2. 우유 = 225
   1) 우유의 분류 = 225
   2) 우유의 영양성분 = 226
   3) 우유의 특징 = 227
   4) 우유의 조리시 특징 = 228
   5) 우유의 소독 = 229
  3. 우유가공품 = 230
   1) 치즈 = 230
   2) 요구르트 = 231
   3) 크림 = 231
   4) 버터 = 231
제5장 어패류 및 해조류와 조리과학
 제1절 어패류와 조리원리 = 235
  1. 어패류의 개요 = 235
   1) 어패류의 분류 = 235
   2) 어패류의 영양성분 = 237
   3) 여패류의 조리시 특징 = 238
   4) 어패류의 선도판정방법 = 240
  2. 해수어 = 242
   1) 고등어 = 242
   2) 청어 = 243
   3) 꽁치 = 243
   4) 멸치 = 244
   5) 삼치 = 244
   6) 참치 = 244
   7) 조기 = 245
  3. 담수어 = 246
   1) 뱀장어 = 246
   2) 잉어 = 246
   3) 미꾸라지 = 247
  4. 연체류 = 249
   1) 오징어류 = 249
   2) 문어 = 250
   3) 낙지 = 250
  5. 조개류 = 250
   1) 피조개 = 250
   2) 소라 = 251
   3) 홍합 = 251
   4) 굴 = 251
  6. 갑각류 = 252
   1) 새우류 = 252
   2) 게류 = 253
  7. 어패류의 독소 = 253
   1) 테트로도톡신 = 253
   2) 삭시톡신 = 254
   3) 베네루핀 = 254
   4) 설사성 조개중독 = 255
   5) 시규아톡신 = 255
 제2절 해조류와 조리원리 = 255
  1. 해조류의 개요 = 255
   1) 해조류의 분류 = 255
   2) 해조류의 영양성분 = 256
   3) 해조류의 식품학적 의의 = 257
   4) 해조류의 조리시 특징 = 257
  2. 미역 = 257
   1) 미역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257
   2) 미역의 영양성분 = 258
   3) 미역의 종류 = 258
   4) 미역의 조리시 특징 = 258
  3. 김 = 258
   1) 김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258
   2) 김의 영양성분 = 259
   3) 김의 종류 = 259
   4) 김의 보관법 = 260
  4. 다시마 = 260
   1) 다시마의 분류 및 식품학적 의의 = 260
   2) 다시마의 영양성분 = 260
   3) 다시마의 종류 및 특징 = 261
   4) 다시마의 조리시 특징 = 261
   5) 다시마의 선택법 = 261
  5. 기타 해조류 = 261
   1) 파래 = 261
   2) 우뭇가사리 = 262
제6장 영양소와 조리과학
 제1절 영양소와 조리원리 = 265
  1. 영양소의 개요 = 265
  2. 영양소의 기능 = 265
   1) 열량영양소 = 266
   2) 구성영양소 = 266
   3) 조절영양소 = 266
 제2절 물 = 266
  1. 수분의 개요 = 266
   1) 수분의 존재상태 = 267
   2) 수분의 영양학적 의의 = 268
  2. 수분의 성질 = 268
   1) 수분활성도의 의의 = 268
   2) 식품별 수분함량 = 270
  3. 수분의 역할 = 270
  4. 조리과정 중의 수분의 역할 = 271
   1) 질감변화 = 271
   2) 삼투압에 의한 비린내 제거 = 271
   3) 열의 전도체 = 271
 제3절 탄수화물과 조리원리 = 272
  1. 탄수화물의 개요 = 272
   1) 단당류 = 273
   2) 이당류 = 274
   3) 다당류 = 275
  2. 탄수화물의 영양학적 의의 및 역할 = 276
   1) 탄수화물의 영양학적 의의 = 276
   2) 탄수화물의 조리과정시 특징 = 276
   3) 탄수화물의 역할 = 276
 제4절 단백질과 조리원리 = 277
  1. 단백질의 개요 = 277
   1) 화학적 분류 = 277
   2) 영양학적 분류 = 279
   3) 형태상 분류 = 279
  2. 단백질의 영양학적 의의 및 역할 = 279
   1) 단백질의 영양학적 의의 = 280
   2) 단백질의 조리과정시 특징 = 281
   3) 단백질의 역할 = 282
 제5절 지질과 조리원리 = 285
  1. 지질의 개요 = 285
   1) 화학적 분류 = 285
   2) 지방산의 이중결합 여부에 따른 분류 = 286
   3) 지방산의 필수 여부에 따른 분류 = 287
  2. 지질의 영양학적 의의 및 역할 = 287
   1) 지질의 영양학적 의의 = 287
   2) 지질의 조리과정시 특징 = 288
   3) 지질의 역할 = 289
 제6절 비타민과 조리원리 = 291
  1. 비타민의 개요 = 291
   1) 수용성 비타민 = 291
   2) 지용성 비타민 = 291
  2. 비타민의 영양학적 의의 및 역할 = 292
   1) 비타민의 영양학적 의의 = 292
   2) 비타민의 조리과정시 특징 = 293
   3) 비타민의 역할 = 294
 제7절 무기질과 조리원리 = 294
  1. 무기질의 개요 = 294
  2. 무기질의 영양학적 의의 및 역할 = 295
   1) 무기질의 영양학적 의의 = 295
   2) 무기질의 조리과정시 특징 = 295
   3) 무기질의 역할 = 296
 제8절 식품의 특수성분과 조리원리 = 296
  1. 특수성분의 개요 = 296
  2. 식품의 색 = 296
   1) 식물성 식품의 색소 = 297
   2) 동물성 식품의 색소 = 300
   3) 인공색소 = 300
   4) 표백 = 301
   5) 조리과정에서의 색의 변화 = 301
  3. 식품의 냄새 = 302
   1) 식품별 방향물질 = 303
   2) 식품별 방향물질의 종류 = 304
   3) 후각의 생리적 현상 = 305
   4) 질감 = 306
  4. 효소 = 306
   1) 효소의 정의 = 306
   2) 효소의 특성 = 306
   3) 효소의 명명 및 분류 = 307
   4) 효소의 역할 = 307
제7장 식품 조미가공 과학
 제1절 식품가공과 조미원리 = 311
  1. 식품가공의 개요 = 311
   1) 식품가공의 분류 = 312
   2) 식품가공의 기능 = 312
   3) 식품가공의 목적 = 313
   4) 식품가공의 원리 = 314
  2. 식품의 맛 및 조미의 개요 = 315
   1) 식품조미의 의의 = 315
   2) 식품의 조미물질 = 316
   3) 식품의 맛과 미각 = 317
   4) 미각의 생리기관 = 322
   5) 맛의 한계치 = 323
   6) 맛의 최소감별법 = 324
   7) 맛의 상호작용 = 324
 제2절 식품의 맛과 조미원리 = 326
  1. 단맛 = 326
   1) 단맛의 개요 = 326
   2) 단맛의 종류 및 특성 = 327
  2. 짠맛 = 331
   1) 짠맛의 개요 = 331
   2) 짠맛의 종류 및 특성 = 331
  3. 매운맛 = 337
   1) 매운맛의 개요 = 337
   2) 매운맛의 종류와 특성 = 337
  4. 신맛 = 338
   1) 신맛의 개요 = 338
   2) 신맛의 종류 및 특성 = 339
  5. 쓴맛 = 342
  6. 맛난맛 = 343
  7. 떫은맛 = 344
  8. 교질맛 = 345
  9. 금속맛과 알칼리맛 = 345
  10. 아린맛 = 345
  11. 잡맛을 제거하는 조미료 = 345
   1) 술 = 345
   2) 미림 = 346
   3) 와인 = 346
  12. 화학조미료 = 346
   1) 화학조미료의 종류 및 성질 = 346
   2) 조미순서 = 348
   3) 조미에 따른 조직의 변화 = 349
 제3절 향신료와 조미원리 = 349
  1. 향신료의 개요 = 349
  2. 향신료의 종류 = 350
   1) 마늘 = 350
   2) 파 = 351
   3) 생강 = 352
   4) 고추 = 353
   5) 깨소금 = 355
   6) 와사비 = 355
   7) 샤프론 = 355
   8) 로즈마리 = 355
   9) 월계수잎 = 356
   10) 파슬리 = 356
   11) 민트 = 356
   12) 다임 = 356
   13) 주니퍼 = 357
   14) 커리 = 357
   15) 계피 = 357
   16) 후추 = 357
   17) 겨자 = 358
   18) 산초 = 358
   19) 넛맥 = 358
   20) 정향 = 359
   21) 올스파이스 = 359
   22) 고수 = 359
   23) 딜 = 359
   24) 배실 = 359
   25) 케이퍼 = 260
   26) 카이엔 페퍼 = 360
   27) 처빌 = 360
   28) 마조람 = 360
   29) 양파 = 361
   30) 오레가노 = 361
   31) 파프리카 = 361
   32) 세이지 = 361
   33) 타라곤 = 362
   34) 바닐라 = 362
 제4절 발효식품과 조미가공원리 = 365
  1. 김치류 = 365
   1) 김치의 역사 = 365
   2) 김치의 발달 = 366
   3) 김치의 영양학적 가치 = 367
  2. 장류 = 368
   1) 장류의 역사 = 368
   2) 장 담그기 = 369
   3) 장의 보관 = 370
  3. 젓갈류 = 371
   1) 젓갈의 역사 = 371
   2) 젓갈의 종류 = 371
 제5절 기호식품과 조미가공원리 = 372
  1. 차 = 372
   1) 차의 종류 = 372
   2) 차의 성분 = 373
   3) 차를 우려내는 방법 = 374
  2. 커피 = 375
   1) 커피의 개요 = 375
   2) 커피의 기능 = 375
   3) 커피의 종류 = 376
  3. 주류 = 378
   1) 술의 개요 = 378
   2) 술의 기능 = 379
  4. 기타 음료 = 381
   1) 탄산음료 = 381
   2) 스포츠음료 = 381
   3) 과즙음료 = 383
   4) 식이섬유음료 = 383
 제6절 젤라틴과 한천의 조미가공원리 = 384
  1. 젤라틴 = 384
  2. 한천 = 384
   1) 양갱 = 385
   2) 족편 = 385
   3) 푸딩류 = 385
   4) 커스타드 = 385
  3. 펙틴 = 385
 제7절 식용유지와 조미가공원리 = 386
  1. 식용유지의 개요 = 386
   1) 식용유지의 분류 = 386
   2) 식용유지의 영양성분 = 387
   3) 식용유지의 식품학적 의의 = 387
   4) 식용유지의 특징 = 388
   5) 식용유지의 조리시 특징 = 389
  2. 동물성 유지 = 391
   1) 우지 = 391
   2) 라드 = 391
   3) 어유 = 392
   4) 버터 = 392
  3. 식물성 유지 = 392
   1) 참기름 = 392
   2) 올리브유 = 393
   3) 대두유 = 394
   4) 면실유 = 394
   5) 옥수수유 = 395
   6) 평지씨유 = 395
   7) 팜유 = 395
   8) 야자유 = 395
   9) 해바라기유 = 396
   10) 소맥유 = 396
   11) 미강유 = 396
  4. 가공유 = 396
   1) 마가린 = 396
   2) 쇼트닝 = 397
제8장 식생활과 조리과학
 제1절 식생활과 조리원리 = 401
  1. 식생활의 이해 = 401
   1) 식생활의 의의 = 401
   2) 식생활의 목적 = 402
  2. 식사구성안의 이해 = 402
   1) 식사구성의 원칙 = 402
   2) 식단작성 = 405
   3) 식단작성의 활용 = 408
 제2절 미래의 식생활과 조리원리 = 411
  1. 한국인의 식생활지침 = 411
   1)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기본지침 = 411
   2) 한국인을 위한 식사지침 = 411
   3) 식생활 관련정보 = 412
  2. 대한영양사회에서 제시한 식생활지침서 = 418
   1) 식생활지침 5계명 = 418
   2) 식생활 관련있는 정보 = 418
  3. 식생활의 새로운 혁명 = 420
   1) 건강식품 = 420
   2) 기능성 식품 = 423
   3) 다이어트식품 = 425
   4) 유기농식품 = 433
   5) 슬로우 푸드 식품 = 433
 제3절 미래 조리과학의 과제 = 434
  1. 맛과 멋과 영양이 함께 하는 조리과학 = 434
  2. 환경보존과 함께 하는 조리과학 = 435
  3. 문화계승·발전을 함께 하는 조리과학 = 435
참고문헌 = 439
찾아보기 = 441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다은 (2022)
辻調理師専門学校 (2022)
Hachisu, Nancy Singleton (2022)
Bras, Sébastien (2022)
Sao, Sophea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