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5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255691 | |
005 | 20100807063933 | |
007 | ta | |
008 | 060522s2006 ulk b 000a kor | |
020 | ▼a 8956440816 ▼g 04180: ▼c \5500 | |
020 | 1 | ▼a 8956440131(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195 s ▼a 616.85835 ▼2 22 |
090 | ▼a 150.195 ▼b 2002g ▼c 21 | |
100 | 1 | ▼a Welldon, Estela V. ▼0 AUTH(211009)76498 |
245 | 1 0 | ▼a 사도마조히즘 / ▼d 에스텔라 V. 웰든 지음 ; ▼e 최정우 옮김. |
246 | 1 9 | ▼a Sadomasochism |
260 | ▼a 서울 : ▼b 이제이북스 , ▼c 2006. | |
300 | ▼a 110 p. ; ▼c 19 cm. | |
440 | 0 0 | ▼a 사이코 시리즈 = ▼x Psycho books ; ▼v 21 |
504 | ▼a 참고문헌: p. 92-99 | |
700 | 1 | ▼a 최정우 , ▼e 역 ▼0 AUTH(211009)112184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 2002g 21 | 등록번호 1113634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 2002g 21 | 등록번호 1113634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S&M'이라고도 불리는 사도마조히즘은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가함으로써 성적 만족을 얻는 사디즘과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받고 그 힘에 복종하려는 마조히즘을 통칭하는 표현. 보통 성적 파트너끼리 억압자와 피억압자, 주인과 노예라는 관계를 설정해 성행위를 수행하는 행위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성적 판타지로서의 사도마조히즘뿐만이 아닌 그 심각한 폐해에도 주목한다. 의붓아버지로부터 성적 학대를 당해온 여성이 자신의 딸 역시 학대를 당하도록 방치하거나, 남편으로부터 억압받는 여성이 자신의 아이를 학대한 사례 등에서처럼, 사도마조히즘에는 성적 취향을 넘어 누군가를 지배하거나 지배당하려는 욕망이 숨어 있다는 것.
또한 다양한 임상 사례와 범죄 사례, 영화 등을 통해 어린 시절 받은 성적 학대나 견디기 힘든 정신적 고통으로 인해 사도마조히즘적인 성적 취향이 표출되게 됨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사도마조히즘이 대를 이어 아동 학대로 재생산될 위험성을 경고하고, 이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각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에스텔라 V. 웰든(지은이)
영국 타비스톡-포트만 NHS 재단에서 명예 정신의학 고문으로 있으며, 국제정신의학회의 창설자이자 평생 명예 총장이기도 하다. 현재 자신의 병원에서 심리 치료사로 일하고 있다.
최정우(옮긴이)
철학자, 작곡가, 비평가, 미학자, 기타리스트.
1977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불어불문학과에서 조르주 바타유(Georges Bataille)의 에로티슴 문학과 유물론적 철학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세계의문학』을 통해 비평으로 등단한 후, 오랫동안 ‘누더기 넋’이라는 뜻의 ‘람혼(襤魂)’을 필명으로 사용하면서, 문학평론과 미술평론, 시론과 연극론, 미학과 사회의 관계, 음악론과 철학적 에세이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비평들을 집필했다.
2011년 『사유의 악보―이론의 교배와 창궐을 위한 불협화음의 비평들』을 출간했고, 그 외 『싸우는 인문학』, 『알튀세르 효과』, 『아바타 인문학』,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 등의 책들을 공저했다. 『레닌 재장전』(공역), 『뉴레프트리뷰 1』(공역), 『바르트와 기호의 제국』, 『자유연상』, 『거세』, 『사도마조히즘』, 『학교의 대안, 대안의 학교 1』 등의 책들을 번역했으며, 문예계간지 『자음과모음』의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바타유의 유물론과 에로티슴, 푸코(Foucault)의 구조와 주체, 데리다(Derrida)의 예술론과 글쓰기, 랑시에르(Ranciere)의 미학과 정치, 여러 현대 문학론과 이미지론, 음악과 철학/미학 사이의 관계론 등에 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비평 행위 자체의 자율적 가능조건이 지닌 불가능성과 텍스트의 음악적 구조성을 끊임없이 실험하는 다양한 글쓰기를 이어오고 있다.
2002년 결성된 3인조 음악집단 레나타 수이사이드(Renata Suicide)의 리더로서, 보컬과 기타를 맡고 있다.
2003년부터 무대음악 작곡가로 활동하면서, <평심>, <발코니>, <새벽 4시 48분>, <애쉬즈 투 애쉬즈>, <철로>, <마라/사드>, <시련>(이상 박정희 연출), <천년전쟁>, <블라인드 터치>, <인간의 시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루시드 드림>, <내 심장을 쏴라>, <주인이 오셨다>, <지하생활자들>(이상 김광보 연출), <밤으로의 긴 여로>, <우리, 테오와 빈센트 반 고흐>, <달이 물로 걸어오듯>(이상 임영웅 연출), <검둥이와 개들의 싸움>(김낙형 연출), <염소 혹은 실비아는 누구인가?>(신호 연출), <풍찬노숙>(김재엽 연출), <강남의 역사―우리들의 스펙 태클 대서사시>(이경성 연출) 등의 연극 음악을, 그리고 <몇 개의 질문>, <육식주의자들>,

목차
목차 "밸런타인데이 사랑의 주말" = 7 성적 사디즘 = 15 사드후작 = 18 사드가 페미니즘에 "기여"한 점 = 22 성적 마조히즘 = 32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 = 35 〈피아니스트〉 = 39 배후에 감춰진 정신역학 = 44 S&M 클럽의 풍경들 = 49 사도마조히즘은 성도착인가? = 52 사도마조히즘에서 일어나는 부인과 재난 = 56 사도마조히즘과 가정 폭력의 유사점과 차이점 = 61 반복 강박과 고문자로서의 몸 = 66 악의적 결탁 = 70 사도마조히즘의 창조자로서의 어머니 = 74 위험성의 문제들 = 81 "생각할수 없는 것"을 이해하려는 시도 = 83 치료가 지닌 함의들 = 86 주석 =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