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살빠지는 음악그림최면

살빠지는 음악그림최면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영국.
Title Statement
살빠지는 음악그림최면 / 김영국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정신세계사 ,   2004.  
Physical Medium
[48] p. : 삽도 ; 27 cm. + CD-ROM 1매.
기타표제
김영국 교수의 최면다이어트.
ISBN
8935702390
비통제주제어
최면다이어트. , 최면술. ,,
000 00658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255132
005 20100807063124
007 ta
008 040719s2004 ulka 000a kor
020 ▼a 8935702390 ▼g 07690: ▼c \15000
035 ▼a KRIC09377309
040 ▼a 211019 ▼d 248003 ▼d 243001 ▼d 211010 ▼d 211010 ▼d 211009 ▼d 211010
082 0 4 ▼a 154.7 ▼2 21
090 ▼a 154.7 ▼b 2004a
100 1 ▼a 김영국. ▼0 AUTH(211009)23067
245 1 0 ▼a 살빠지는 음악그림최면 / ▼d 김영국 지음.
246 1 3 ▼a 김영국 교수의 최면다이어트.
260 ▼a 서울 : ▼b 정신세계사 , ▼c 2004.
300 ▼a [48] p. : ▼b 삽도 ; ▼c 27 cm. + ▼e CD-ROM 1매.
653 ▼a 최면다이어트. ▼a 최면술.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154.7 2004a Accession No. 1410370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나라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높이 평가받고 있는 최면술의 권위자이자, 세계 최초로 텔레파시만으로 최면을 거는 데 성공한 저자의 음악그림최면 시리즈 1탄이다. 최면암시성이 낮은 사람도 과학적인 과정으로 되어있어 1개월 동안 지시에 따라 음악을 들으며 그림을 보면 감량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영국(지은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광고심리 전공)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광고심리 전공)을 졸업했다. AHTA(최면학 전공)를 수료하고 Wane Dyre 박사와 Visuai Image 를 공동 연구했다. TV에도 십여 차례 출연한 경험이 있으며 현재 신구대학 경영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살빠지는 그림최면>, <담배끊는 그림최면>, <집중력을 높이는 그림최면>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일 시각적 효과를 이용한 주의 집중, 체중 감소의 은유적 암시
제2일 온감·냉감 유도, 피부감각 활성 암시
제3일 급격한 긴장감에 의한 체중 감소 암시
제4일 수동적 주의 집중에 의한 포만감 준비 암시
제5일 색채 집중에 의한 의식수준 저하 조장 암시, 색채 대비법 활용
제6일 신체상의 감각적 착각 암시 및 현 상태의 인식 암시
제7일 수동적 주의 집중에 의한 포만감 강화 암시
제8일 관념의 상태 변화 암시 및 현실 탈피 암시
제9일 공포 응시에 의한 의식수준 저하, 현실 교정 암시
제10일 불필요한 이미지 제거 암시 및 심상 강화 암시
제11일 시각적 이미지에 의한 포만감 중추 둔감 암시
제12일 수동적 주의 집중에 의한 포만감 중추 민감 암시
제13일 시각적 집중을 통한 의식수준 둔감 암시
제14일 시각적 이미지와 실감을 통한 소망적 심상 강화 암시
제15일 수동적 주의 집중에 의한 포만감 중추 민감 암시
제16일 상대방 응시를 통한 대인 감염 암시
제17일 시각적 착시 현상에 의한 의식수준 저하
제18일 시각적 대비에 의한 소망적 암시 강화
제19일 색채 변화·형태 변화에 의한 잠재의식 변화 유지
제20일 휴식·이완·형체 소멸을 통한 이미지 완성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