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4
3. 연구의 방법 = 5
Ⅱ. 교육 내용 적정성 개념과 준거 탐색 = 7
1. 교육 내용 적정화 개념과 관련 내용에 대한 논의 = 7
가. 교육 내용 적정화의 개념과 기준 = 7
나. 교육 내용 적정화 담론의 변천 = 13
다. 교육 내용 적정화의 평가 준거 = 19
2.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성 관련 내용 논의 = 22
가. 선행 연구 검토 = 22
나.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화의 개념과 평가 준거 = 24
Ⅲ.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성 평가를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27
1.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틀 = 27
가. 분석 대상 = 27
나. 분석 내용 및 방법 = 29
2.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분석 = 31
가. 초등학교 교육과정ㆍ교과서 분석(6학년) = 31
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의 주요 내용 요약 = 58
Ⅳ.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성 평가를 위한 설문 결과 분석 = 72
1. 학생용 설문 조사 결과 = 74
가. 초등학교 학생 반응 결과 = 74
나. 중학교 학생 반응 결과 = 81
다. 고등학교 학생 반응 결과 = 88
2. 교사용 설문 조사 결과 = 95
가. 초등학교 교사 반응 결과 = 95
나. 중학교 교사 반응 결과 = 102
다. 고등학교 교사 반응 결과 = 109
3. 교수ㆍ전문가용 설문 조사 결과 = 115
4.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성 설문 결과 주요 내용 요약 = 119
가.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성에 관한 기본 내용 = 119
나.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성 기준에 따른 주요 설문 결과 = 120
Ⅴ.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성 평가와 적정화 방안 = 122
1. 국어과 교육 내용 적정성 평가 = 122
가. 학습 양 = 122
나. 난이도 = 130
다. 내용 타당성 및 중요도 = 138
라. 위계성 = 144
2. 국어과 교육 내용의 적정화 방안 = 149
가. 학습 양 = 149
나. 난이도 = 150
다. 내용 타당성 및 중요도 = 151
라. 위계성 = 152
마. 적정화된 교육 내용(교과서 단원 예시) = 154
Ⅵ. 요약 및 제언 = 157
1. 요약 = 157
2. 제언 = 163
참고 문헌 = 166
Abstract = 169
부록 = 171
〈부록 1〉 초등학교 학생용 설문지 = 171
〈부록 2〉 중학교 학생용 설문지 = 173
〈부록 3〉 고등학교 학생용 설문지 = 174
〈부록 4〉 초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 175
〈부록 5〉 중학교 교사용 설문지 = 188
〈부록 6〉 고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 200
〈부록 7〉 교수ㆍ전문가용 설문지 = 207
〈부록 8〉 1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218
〈부록 9〉 2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240
〈부록 10〉 3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259
〈부록 11〉 4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284
〈부록 12〉 5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312
〈부록 13〉 7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330
〈부록 14〉 8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342
〈부록 15〉 9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351
〈부록 16〉 10학년 영역별 교육과정ㆍ교과서 내용 요소 분석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