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4
가. 교과별 교육 내용 적정성의 개념 명료화 및 평가 방법 구안 = 4
나. 교과별 교육 내용 적정성 평가 = 4
다. 영어과 교육 내용 적정화 방안 탐색 = 5
3. 연구 방법 = 5
가. 문헌 연구 = 5
나. 설문 조사 = 5
다. 면담 조사 = 6
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 6
마. 세미나 = 7
바. 전문가 협의회 = 8
Ⅱ. 교육 내용 적정성 개념 및 평가 준거 = 9
1. 교육내용 적정성의 개념 = 9
가. 교육내용의 적합성과 적정성 = 9
나. 교육내용 적정화의 개념 탐색 = 14
2.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 적합성ㆍ적정성 = 19
3. 국가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적정화 방안 = 24
가. 교육내용 적정화에 있어서의 교육과정ㆍ교과서ㆍ수업 = 24
나. 교육내용 적정화의 단계와 과제 = 26
4.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본 교육내용의 적정화 변천 = 38
가. 제4차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 39
나. 제5차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 40
다.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 40
라.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의 적정화 = 44
5. 교육내용 적정화의 평가준거 = 50
가. 내용의 타당성 = 52
나. 내용의 양 = 54
다. 내용의 수준 = 56
라. 내용 연계 = 59
마. 환경요인의 평가 = 61
6. 영어과 교육내용 적정성 관련 선행 연구 = 62
7. 영어과 교육내용 적정성의 평가 준거 = 65
가. 영어과 교육내용의 의미 = 67
나. 영어과 교육내용의 성격 = 67
다. 적정성의 판단주체 = 68
라. 적정화의 기준 = 68
마. 교육내용 적정화의 연구 방법 = 69
Ⅲ. 연구결과 및 논의 = 72
1. 교육과정 분석 = 72
가. 현행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적정화의 성격 = 72
나. 현행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적정성 판단의 기준 = 73
다. 현행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적정성 논의 = 75
2. 영어 교과서 분석 = 101
가. 교과서와 교과내용 적정성 = 101
나. 초등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 103
다. 중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 114
라.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 = 137
3. 영어과 교육내용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 154
가. 설문조사 대상 = 154
나. 설문조사 내용 = 154
다. 피설문자 표집 = 156
라. 초등 영어 = 159
마. 중등 영어 = 180
Ⅳ. 교육 내용 적정성 평가 = 211
1. 학습 양 = 211
2. 수준 = 216
3. 타당성 = 221
4. 연계성 = 227
Ⅴ. 요약 및 제언 = 230
1. 학습 양의 적정화 방안 = 230
2. 수준의 적정화 방안 = 232
3. 타당성의 적정화 방안 = 234
4. 연계성의 적정화 방안 = 236
5. 제언 = 237
참고문헌 = 239
ABSTRACT = 247
부록 =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