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 4
가. 2004년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안의 심층 검토 = 4
나.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 4
다.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개발 = 4
라. 교과별 학생평가 전문성 자료집 개발 = 5
마.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활용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개발 = 5
3. 연구의 방법 = 6
가. 방법론 = 6
나. 방법 = 6
Ⅱ.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 8
1. 교사의 학생평가 = 8
가. 수업과 연계된 학생평가 = 9
나. 수업에서의 의사결정과 평가정보 = 10
다. 학생평가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역할과 책무의 범위 = 12
2.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개념 = 14
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개념 = 14
나.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준 개발의 필요성 = 15
Ⅲ.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 18
1. 2004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안의 개선 = 18
가. 2004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안의 구성 = 18
나. 2004 교사의 학생평가 기준 안의 타당성 검토 = 21
다.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방향 = 28
2.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의 개발 절차 = 28
3.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요소 추출 = 30
4. 능력 요소별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기술 = 32
5. 전문가들에 의한 반복적 합의 과정 = 33
가. 개발진에 의한 초안 검토와 수정 = 34
나. 교과 및 측정ㆍ평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의견 수렴 및 1차 수정 = 34
다. 전문가들에 의한 기준 검토 및 2차 수정 = 35
라. 전문가들에 의한 2차 기준 검토 및 3차 수정 = 36
6.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 37
가. 평가방법의 선정 = 37
나. 평가도구의 개발 = 42
다. 평가 실시ㆍ채점ㆍ성적 부여 = 46
라. 평가결과의 분석ㆍ해석ㆍ활용ㆍ의사소통 = 49
마. 평가의 윤리성 = 53
7.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활용 방안 = 55
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 55
나. 교과별 학생평가 전문성 자료집 개발 및 활용 = 55
다.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의 평가 용어집 개발 및 활용 = 56
Ⅳ.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 57
1.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개발 방향 = 57
2.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의 개발 절차 = 58
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문항 개발 = 59
나. 전문가 수준의 1차 검토 및 1차 수정 = 59
다. 전문가 수준의 2차 검토 및 2차 수정 = 60
3.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 61
가. 평가방법의 선정 = 62
나. 평가도구의 개발 = 63
다. 평가실시ㆍ채점ㆍ성적 부여 = 64
라. 평가결과의 해석ㆍ분석ㆍ활용ㆍ의사소통 = 65
마. 평가의 윤리성 = 67
4.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의 전문성 기준선 설정 = 67
Ⅴ.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을 적용한 교과별 평가 사례 = 71
1. 교과별 평가 사례의 개발 개요 = 71
가. 교과별 평가 사례 개발의 필요성 = 71
나. 교과별 평가 사례의 의의와 개발 방향 = 72
다. 교과별 평가 사례의 개발 절차 = 73
2. 교과별 평가 사례의 예시 = 76
가. 평가방법의 선정 - 국어과 = 77
나. 평가도구의 개발 - 사회과ㆍ영어과 = 87
다. 평가실시ㆍ채점ㆍ성적 부여 - 사회과 = 113
라. 평가결과의 분석ㆍ해석ㆍ활용 의사소통 - 수학과 = 124
마. 평가의 윤리성 - 과학과 = 137
3. 교과별 평가 사례의 활용 방안 = 141
Ⅵ. 요약 및 제언 = 143
1. 요약 = 143
2. 제언 = 146
참고 문헌 = 148
Abstract = 150
[부록 1]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 155
[부록 2]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의 평가 용어집 = 161
[부록 3]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 171
[부록 4] 회의록 = 177
[부록 5]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에 대한 검토 의뢰 = 192
[부록 6]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의 용어집에 대한 검토 의뢰 = 194
[부록 7]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진단도구 검토 의뢰 =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