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3
가.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쟁점 분석 = 3
나.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설정 = 4
다. 도덕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개선 방안 제시 = 4
라. 고교 도덕과 선택과목 편제 개선안 제시 = 5
3. 연구 방법 = 5
가. 문헌 연구 = 6
나. 전문가 협의회 = 6
다.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공동체'' 워크숍 개최 = 7
라. 설문지 조사 = 8
4. 연구의 범위 및 일정 = 10
가. 연구의 범위 = 10
나. 연구 추진 일정 = 12
Ⅱ. 선행 연구 분석 = 13
1. 도덕교육 이론의 동향과 교육과정 개정에의 시사점 = 13
가. 자율론적 접근 = 16
나. 덕목론적 접근 및 인격교육론 = 17
다. 배려윤리적 접근 = 19
라. 도덕지능론적 접근 = 21
마. 구성주의적 도덕교육론 = 23
바. 우리나라의 전통적 도덕교육 = 24
사.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의 시사점 = 27
2. 외국의 도덕(관련) 교과 교육과정과 시사점 = 29
가. 싱가폴의 도덕 교육과정 = 29
나. 중국의 도덕과 교육과정 = 33
다. 일본의 도덕과 교육과정 = 36
라. 영국의 도덕 교육과정 = 39
마. 미국의 도덕 교육과정 = 42
바. 프랑스의 도덕 교육과정 = 45
3.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 관련 선행 연구 분석과 개선에 대한 시사점 = 46
가. 주요 연구 결과 = 47
나.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 51
Ⅲ.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 = 59
1. 도덕과 교육의 성격 = 59
가.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의 적절성 = 59
나.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 개선에 대한 의견 = 61
2. 도덕과 교육의 목표 = 66
가.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표''의 적절성 = 66
나.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표'' 개선에 대한 의견 = 67
3. 도덕과 교육의 내용 체계 = 71
가.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의 적절성 = 71
나.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개선에 대한 의견 = 72
4.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 78
가. 초등학교 = 78
나. 중학교 = 82
다. 고등학교 = 86
5. 고등학교 도덕과 선택과목 편제 = 86
6.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반드시 반영해야 할 사항에 대한 의견 = 88
Ⅳ. 도덕과 교육과정 관련 쟁점 분석 = 97
1. 도덕과의 성격 규정과 관련된 쟁점 = 98
가. 보편윤리 대 한국적 특수윤리 문제 = 98
나. 도덕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정치교육/통일교육의 문제 = 99
다. 도덕과의 주된 접근 방법으로서 학제적 접근의 적절성 문제 = 101
2. 도덕과의 목표 설정과 관련된 쟁점 = 102
가.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을 부각시켜야 하는가의 문제 = 102
나. 학교급별 목표의 차별화 문제 = 103
3. 도덕과의 내용 구성과 관련된 쟁점 = 105
가. 생활영역 확대인가, 가치공간의 확대인가 = 105
나. 덕목 중심인가, 주제 중심인가 = 109
다. 교육과정 내용 진술의 구체화 수준: 요건주의인가, 세목주의인가 = 112
라. 도덕과 교육 내용의 적정화 = 112
마. 인접 관련 교과와의 내용 중복 문제 = 114
4. 도덕과 교과서의 검정제 도입 여부와 교육과정 구성 방향 = 118
5. 도덕과 고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제와 관련된 쟁점 = 119
가. 과목 수 결정 = 119
나. 과목 명 선정 = 119
다. 과목당 이수 단위 수 = 120
Ⅴ.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개선안 = 121
1.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 121
가.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 확립 = 122
나. 사회 변화에 부웅하는 새로운 가치, 규범, 도덕적 쟁점들을 강조 = 123
다. 도덕적 탐구의 강화 = 125
라. 학교급별 도덕과 교육의 특성 부각 = 126
마.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공동체'' 구성을 통한 참여식 교육과정 개발 = 127
2. 국민공통기본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안 = 128
가. 성격 = 128
나. 목표 = 130
다. 내용 = 132
라. 교수학습 방법 = 144
마. 평가 = 145
3. 도덕과 고교 선택과목 편제 개선안 = 147
Ⅵ. 요약 및 제언 = 149
1. 요약 = 149
2. 제언 = 156
가. 후속 연구의 추진과 교육과정 개정안에 대한 광범위한 의견 수렴 = 156
나.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편 방향 설정 = 157
다. 도덕ㆍ윤리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편 = 157
라. 도덕과 교육 내실화를 위한 지원 체제 = 158
참고문헌 = 159
Abstract = 164
부록 = 167
1.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설문지(초ㆍ중ㆍ고교용 3종) = 169
2.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공동체'' 워크숍 발표 내용 = 190
3.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관련 회의록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