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21
Ⅱ. 융합에 따른 콘텐츠 시장 변화 요인 분석 = 23
1. 디지털화에 따른 시장의 변화요인 = 23
가. 방송의 디지털화 = 23
나. 매체간 영역의 붕괴 = 24
다. 매체간 경쟁 증가 = 26
2. 방송통신 융합에 따른 시장의 변화 = 27
가. 새로운 방송서비스 및 신규 시장의 등장 = 27
나. 시청자 시장의 변화 = 28
다. 디지털 콘텐츠에 따른 변화 = 30
Ⅲ. 플랫폼별 콘텐츠 현황 분석 = 33
1. 플랫폼별 콘텐츠 분석방법 = 33
가. 분석대상 = 33
나. 분석유목 = 35
2. 지상파 부문 = 38
가. 지상파의 콘텐츠 현황 분석 = 39
나. 수용자 시청행태 분석 = 66
다. HDTV의 콘텐츠 현황 = 72
3. 케이블 부문 = 84
가. 케이블 콘텐츠 현황 = 84
나. 수용자 시청행태 분석(장르별) = 108
4. 위성방송 = 114
가. 위성방송 콘텐츠 현황 분석 = 115
나. 수용자 시청행태 분석 = 132
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139
가. DMB 콘텐츠 현황 분석 = 139
나. DMB 시청행태 분석 = 156
Ⅳ. 플랫폼 특성에 부합되는 콘텐츠 성격 분석 = 166
1. 지상파방송 콘텐츠 성격 분석 = 166
가. 지상파 방송 플랫폼 특성 및 현행 콘텐츠 성격 = 167
나. 지상파 방송 특성에 부합되는 콘텐츠 정책 = 172
2. 케이블방송 콘텐츠 성격 분석 = 173
가. 케이블방송의 플랫폼 특성 및 현행 콘텐츠 성격 = 173
나. 케이블 특성에 부합되는 콘텐츠 정책 = 181
3. 위성방송 콘텐츠 성격 분석 = 184
가. 위성방송의 플랫폼 특성 및 현행 콘텐츠 성격 = 184
나. 위성방송에 부합되는 콘텐츠 정책 = 186
4. DMB 콘텐츠 성격 분석 = 187
가. DMB 플랫폼의 특성 및 현행 콘텐츠 성격 = 187
나. DMB 특성에 부합되는 콘텐츠 정책 = 193
Ⅴ. 결론 및 과제 : 플랫폼별 콘텐츠 정책의 수립과 시행 =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