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56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253391 | |
005 | 20100807061200 | |
007 | ta | |
008 | 060515s2005 ulk b 000a kor | |
040 | ▼a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659.14 ▼2 22 |
090 | ▼a 659.14 ▼b 2004 ▼c 2005-31 | |
100 | 1 | ▼a 김서중 |
245 | 1 0 | ▼a 방송통신융합에 따른 방송광고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d 책임연구원: 김서중 ; ▼e 공동연구원: 정연우. |
260 | ▼a 서울 : ▼b 한국방송광고공사 , ▼c 2005. | |
300 | ▼a 176 p. ; ▼c 24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서 ; ▼v 2005년 제31권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 117-119 | |
700 | 1 | ▼a 정연우 , ▼e 연구 |
710 | ▼a 한국방송광고공사 | |
830 | 0 | ▼a 연구보고서(한국방송광고공사) ; ▼v 2005년 제31권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4 2004 2005-31 | Accession No. 1113543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 17 1. 방송통신 융합의 의미와 방송광고제도 = 17 2. 연구방법 = 21 Ⅱ. 지상파 방송 중심의 방송구조와 그 의미 = 24 1. 지상파 중심 매체 환경에 대한 비판적 인식 = 24 2. 지상파 중심의 매체 환경 현실 = 28 3. 지상파 중심 구조에 대한 평가 = 32 4. 현행 방송광고판매제도의 의미 = 33 5. 공공(익)성에 대한 재고 = 36 Ⅲ. 방송광고판매제도에 대한 기존 논의와 외국 사례 = 41 1. 기존의 방송광고판매제도 논쟁 = 41 2. 외국 사례에 대한 이해 = 47 1) 미국 = 48 2) 일본: 일본의 경우는 미디어 렙 제도를 두지 않고 있다 = 51 3) 프랑스의 방송광고 판매제도 규제 = 52 4) 영국 텔레비젼 방송 광고 판매제도 = 53 5) 네덜란드의 방송광고재단 = 55 Ⅳ. 방송광고운영제도의 논쟁점과 대안 = 58 1. 관심이 뜨거워지는 방송광고운영제도 = 58 2. 방송광고의 상품적 특성 = 61 3. 수용자 주권에 대한 시각과 입장 = 65 4. 쟁점에 대한 집단들의 견해 = 70 5. 중간광고와 광고 총량제에 대한 찬반 의견 = 74 6. 간접광고에 대한 찬반 양론 = 82 Ⅴ. 방송광고판매제도와 운영제도에 대한 대안 모색 = 90 1. 한국방송광고총사 개선을 통한 방송 공공성 유지 = 90 1) 공사의 독점체제에 대한 비판과 그 대응 = 91 2) 공사 개혁론 = 92 3) 공사의 존재 필요성 부각 = 95 2. 방송광고운영제도개선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102 참고 문헌 = 117 부록 =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