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방사선진단, 핵의학, 방사선종양학 분야
제1장 방사선 흡수의 물리와 화학
1. 전리방사선의 종류 = 19
2. X선의 흡수 = 24
3. 방사선의 직접작용과 간접작용 = 27
4. 중성자와 흡수 = 30
5. 중성자와 광자의 비교 = 32
제2장 DNA 사슬의 절단과 염색체 이상
1. DNA 사슬의 절단 = 35
2. DNA 사슬 절단의 측정 = 39
3. 염색체와 세포분열 = 39
4. 방사선에 의한 염색체 이상 = 41
5. 방사선에 의한 염색체 이상의 예 = 42
6. 사람 림프구의 염색체 이상 = 49
제3장 세포 생존곡선
1. 재증식능력 = 53
2. In vitro의 생존곡선 = 54
3. 생존곡선의 형태 = 57
4. 세포사의 기전 = 60
5. 여러 가지 배양 포유동물 세포의 생존곡선 = 64
6. 내인성 방사선감수성과 예측 측정법 = 67
7. 다분할 조사법을 위한 실효 생존곡선 = 67
8. 종양세포사의 계산 = 68
9. 암 유전자와 방사선 저항성 = 70
제4장 방사선감수성과 세포주기
1. 세포주기 = 75
2. 동조분열 배양세포 = 80
3. 동조분열세포에 대한 방사선의 효과 = 82
4. 분자 생물학에서의 확인점 유전자 = 84
5. 세포주기에서의 산소효과 = 87
6. 생체 조직에서의 세포령-반응관계 = 87
7. 중선자선에 대한 세포령에 따른 감수성의 변화 = 89
8. 세포령-반응관계의 기전 = 90
9.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세포령-반응관계의 의미 = 90
제5장 방사선 장해의 수복과 선량률 효과
1. 방사선 장해의 분류 = 93
2. 잠재적 치사장해 = 94
3. 아치사장해의 수복 = 97
4. 아치사장해 수복의 기전 = 102
5. 수복과 방사선의 선질 = 104
6. 선량률 효과 = 105
7. In vitro와 Inn vivo에서의 선량률 효과의 예 = 106
8. 역선량률 효과 = 109
9. 선량률 효과의 정리 = 110
10. 초저 선량률 : 연속 조사 = 111
11. 근접치료 또는 엔도큐리 치료 = 112
12. 방사능을 표지한 면역글로불린에 의한 사람 암의 치료 = 119
제6장 산소효과와 재산소화
1. 산소효과의 본질 = 130
2. 산소가 작용하는 시간과 산소효과의 기전 = 133
3. 필요한 산소농도 = 134
4. 만성 및 급성 저산소세포 = 136
5. 종양 내 저산소 세포의 최초 실험적 증명 = 140
6. 동물 종양에 있어서 저산소 세포의 비율 = 142
7. 사람 종양의 저산소세포의 실증 = 145
8. 예측측정법으로서의 산소분압의 측정 = 145
9. 재산소화 = 145
10. 재산소화의 시간적 추이 = 147
11. 재산소화의 기전 = 149
12. 재산소화의 방사선치료에 있어서의 중요성 = 149
제7장 선에너지부여와 생물학적 효과비
1. 방사선에너지의 부여 = 155
2. 선에너지 부여 = 157
3. 생물학적 효과비 = 158
4. RBF와 분할조사 선량 = 160
5. 다른 세포와 조직의 RBE = 161
6. RBE와 LET의 관계 = 162
7. 최적 LET = 164
8. RBE를 좌우하는 인자 = 165
9. 산소효과와 LET = 166
10. 방사선 하중계수 = 168
제8장 전신조사의 급성효과
1. 조기 사망효과 = 173
2. 전구 방사선증후군 = 174
3. 뇌혈관 증후군 = 175
4. 위장관 증후군 = 176
5. 조혈기계 증후군 = 179
6. 중간 치사선량과 골수 이식 = 180
7. L$$D_{50/60}$$ 근사값 선량에 의한 방사선 사고자의 치료 = 182
8. 미국의 중대한 방사선 사고의 생존자 = 185
제9장 방사선 방어제
1. 방사선 방어제의 발견 = 189
2. 작용 기전 = 190
3. 효과적인 화학물의 개발 = 191
4. 방사선치료용 방어제로서의 아미포스틴 = 194
5. 방어제와 화학요법 = 196
제10장 방사선 발암
1. 결정적 영향과 확률적 영향 = 199
2. 발암 : 문제의 본질 = 200
3. 실험동물에 있어서의 발암 = 204
4. 잠복기 = 205
5. 위험률 평가 = 206
6. 위험률 추정 및 방사선 방어에 관련된 위원회 = 207
7. 백혈병 = 208
8. 갑상선암 = 208
9. 유방암 = 209
10. 폐암 = 211
11. 골 종양 = 212
12. 피부암 = 213
13. 방사선 발암에 대한 선량-반응곡선 = 214
14. 방사선 발암에 대한 양적 위험률 추정 = 215
15. 선량 및 선량률 효과계수 = 217
16. 위험률 추정의 정리 = 217
17. 방사선치료 환자에 있어서 제2악성 종양 = 218
18. 태내 피폭 어린이의 악성종양 = 219
제11장 방사선에 의한 유전효과
1. 기초 유전학 개설 = 226
2. 돌연변이 = 229
3. 방사선 유발 유전장해 = 232
4. 비교ㆍ직접 돌연변이 위험률 = 232
5. 메가마우스 연구에서 평가된 비교 돌연변이 위험률 = 232
6. 사람에서 보는 방사선 유전장해 = 235
7. 유전 위험률의 수치 = 237
제12장 배 및 태아에 대한 방사선의 영향
1. 배 및 태아에 대한 방사선 장해의 개요 = 241
2. 래트와 마우스를 사용한 자료 = 242
3. 사람에서의 경험 = 246
4. 히로시마ㆍ나가사키에서 자궁 내 원폭 피폭 생존자 = 246
5. 의료방사선 피폭 = 249
6. 사람 및 동물 자료의 비교 = 250
7. 태내 피폭에 의한 소아기 악성종양 = 252
8. 여성의 직업피폭 = 253
9. 임신 중 또는 임신 가능 환자 = 253
제13장 방사선 백내장
1. 눈 수정체의 백내장 = 259
2. 실험동물에 있어서 수정체 혼탁 = 260
3. 사람의 백내장 = 261
4. 혼탁의 정도 = 262
5. 잠복기 = 262
6. 사람에서 백내장의 선량-반응관계 = 262
제14장 자연 방사선, 방사선 진단, 핵의학 : 위험과 이익
1. 자연 방사선으로부터의 선량 = 267
2. 사람 집단에 대한 자연 및 인공 방사선에 의한 방사선 선량의 비교 = 271
3. 생식선 선량 및 유전 유의선량 = 277
4. 핵의학에 의한 선량 = 277
5. 방사선 진단 : 위험과 이익 = 279
6. 핵의학 : 위험과 이익 = 280
제15장 방사선 방어
1. 조직 = 299
2. 양과 단위 = 301
3. 방사선 하중계수 = 301
4. 등가선량 = 302
5. 실효선량 = 303
6. 예탁 등가선량 = 304
7. 예탁 실효선량 = 304
8. 집단 등가선량 = 304
9. 집단 실효선량 = 305
10. 예탁 집단 실효선량 = 305
11. 양과 단위의 정리 = 305
12. 방사선 방어의 목표 = 306
13. 피폭한도의 기본 = 307
14. 직업 피폭의 한도 = 308
15. As low as resonably achievable = 309
16. 배ㆍ태아의 방사선 방어 = 310
17. 구급 직업피폭 = 310
18. 18세 이하의 개인 피폭 = 311
19. 일반대중의 피폭 = 311
20. 실내 라돈에 의한 피폭 = 311
21. De minimus 선량과 무시할 수 있는 개인선량 = 313
22. 최근의 권고한도에 수반하는 위험률 = 314
23. NCRP와 ICRP의 비교 = 315
제2부 방사선종양학 분야
제16장 방사선 생물학에 사용하는 분자생물학적 기법
1. 역사적 전망 = 323
2. 제한효소 = 324
3. 벡터 = 326
4. 라이브러리 = 330
5. 숙주 = 332
6.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 339
7. 폴리메라제 연쇄반응 = 340
8. 유전자 클로닝법 = 342
9. 유전자 분석 = 344
10. 방사선생물학에 직접ㆍ간접으로 관계한 연구계획으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사용한 예 = 352
제17장 암 생물학
1. 발암 기전 = 356
2. 암 유전자 = 357
3. 종양 억제 유전자 = 360
4. 망막세포종의 범례 = 361
5. 신체성 동형접합 = 364
6. 암의 다양한 단계별 특징 = 365
7. 암 유전자와 종양 억제 유전자의 기능 = 366
8. 감시와 관리 = 367
9. 불일치 치유 유전자 = 367
10. 종말체와 암 = 369
11. 신호 전달 = 369
12. 방사선 유도 신호 전달 = 373
13. 세포주기 = 375
14. 싸이클린와 키나아제 = 376
15. 검색 유전자 = 378
16. 암 유전학 = 379
17. 운동실조 모세혈관 확장증과 암 = 381
18. 유전자 날인 = 383
19. 형질전환 마우스 = 384
제18장 모델 정상조직의 선량-반응 관계
1. 분열사와 세포소멸 : 세포는 왜, 어떻게 죽는가? = 393
2. 선량-반응 관계를 구하는 방법 = 394
3. 클론 형성법 = 395
4. 정상 조직의 클론 형성법에 의한 생존곡선의 정리 = 410
5. 기능 관찰에 의한 선량-반응 곡선 = 411
6. 클론 형성이 불가능한 계에서 분할 조사 실험으로부터 α/β비를 추측 = 416
제19장 정상 조직의 임상반응
1. 세포와 조직 = 421
2. 조기(급성)효과와 만발효과 = 422
3. 정상 조직의 기능적 아단위 = 423
4. 방사선치료에 용적효과 : 조직 구조 = 425
5. 조직의 방사선병리학 = 426
6. 조직의 방사선감수성에 대한 Casarett의 분류 = 428
7. Michalowski의 H-형과 F-형 집단 = 430
8. 성장인자 = 431
9. 조직과 장기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향 = 432
제20장 모델 종양계
1. 실험동물에 있어서 이식 가능한 고형 종양계 = 455
2. 종양성장의 측정 = 456
3. TC$$D_50$$ 분석법 = 457
4. 희석분석법 = 460
5. 폐 군체법 = 462
6. 사람 종양의 이종이식 = 463
7. 구상체 : in vitro 모델 종양계 = 465
8. 사람 종양세포의 구상체 = 468
9. 여러 가지 모델 종양계의 비교 = 469
10. 종양에서의 자멸사 = 471
제21장 세포, 조직 및 종양의 동태
1. 세포주기 = 475
2. 세포주기 구성부분의 정량적 측정 = 477
3. 표지분열상 비율법 = 478
4. 세포주기 시간의 in vivo및 in vitro에서의 실험적 측정 = 483
5. Pulsed photo cytometry = 486
6. 잠재적 배가시간의 측정 = 486
7. 증식세포비 = 489
8. 세포 상실 = 490
9. 실험동물 종양에서의 세포상실의 측정 = 491
10. 종양성장의 전체상 = 493
11. 사람 종양의 증식 동태 = 494
12. 고형 종양세포와 그 유래 정상세포와의 세포주기 시간의 비교 = 498
제22장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의 시간, 선량, 분할조사
1. 분할조사의 기본 = 505
2. 방사선생물학의 4R = 506
3. Srandquist의 등효과곡선과Ellis의 NSD 시스템 = 507
4. 정상 조직에 있어서의 한 인자로서의 증식 = 508
5. 조기 및 만발반응 조직에 대한 선량-반응곡선의 모형 = 511
6. 조기 및 만발반응 조직에 대한 선량-반응관계의 유형에 있어서의 차이 = 516
7. 분할의 크기와 총치료기간 = 517
8. 가속 재증식 = 517
9. 1일 여러 차례 분할 = 520
10. 1일 2회 조사법(BID) 때 2회 분할 사이의 시간 간격 = 521
11. 가속치료와 과분할의 선택 = 522
12. $$T_{pot}$$와 가속치료 = 522
13. 직선-2차식 개념을 사용한 방사선 치료에서의 실효선량의 계산 = 524
제23장 예측측정법
1. 정상 조직의 방사선 감수성 = 535
2. 종양에 대한 예측측정법 = 536
3. 결론 = 546
제24장 대체 방사선 치료법
1. 속 중성자선 = 552
2.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 = 560
3. 양성자선 = 562
제25장 방사선증감제와 생체환원약품
1. 할로겐화 피리미단 = 572
2. 저산소 세포의 방사선증감제 = 574
3. 저산소 세포독성 = 582
4. 저산소 세포의 표지가 = 585
제26장 유전자 치료법
1. 자멸유전자 치료법 = 594
2. p53 결핍 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세포 독소 바이러스 = 596
3. 분자 면역학(예 : 암 백신) = 596
4. 종양 억제유전자 치료법 = 597
5. 세포독소 매체와 관련된 방사선 유발 유전자 = 598
6. 유전자 치료의 대상 = 600
7. 결론 = 600
제27장 화학요법제 : 방사선 생물학자로부터의 전망
1. 화학요법의 생물학적 기초 = 609
2. 약제의 분류 및 작용 형식 = 611
3. 약량-반응관계 = 616
4. 아치사 및 잠재적 치사장해의 수복 = 618
5. 산소효과와 화학요법제 = 619
6. 약제 저항성 = 621
7. 화학요법제와 방사선의 비교 = 625
8. 화학요법제의 방사선 보조적 사용 = 627
9. 개개 종양의 감수성 검사법 = 629
10. 제2악성종양 = 630
제28장 온열요법
1. 가온방법 = 638
2. 세포의 열에 대한 반응 = 639
3. 세포주기에 있어서 세포령에 의한 열감수성 = 642
4. pH와 영양결핍과의 열 감수성에 대한 효과 = 642
5. 가온과 종양혈관 구축 = 644
6. 조직ㆍ장기의 열에 대한 반응 = 644
7. 온열 내성 = 644
8. 열처리 단백질 = 647
9. 가온과 종양혈관 구축 = 648
10. 온열요법과 종양 산소화 = 652
11. 온도측정 = 652
12. 온열량 = 653
13. 온열과 방사선의 상호작용 = 654
14. 온열효과비 = 656
15. 열과 치료효과비 = 657
16. 열과 화학요법제 = 658
17. 사람에 응용 = 660
18. 온열요법 단독 = 660
19. 열 플러스 방사선 : 임상연구의 현재 상황 = 661
20. 온열요법과 삽입조사 = 663
21. 온열요법에 대한 후기 = 665
22. 온열요법의 작용기전 = 665
찾아보기 = 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