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시대 생활사. 3 , 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9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한국고문서학회
서명 / 저자사항
조선시대 생활사. 3 , 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 한국고문서학회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역사비평사,   2006  
형태사항
303 p. (일부접지) : 천연색삽화 ; 22 cm
총서사항
조선시대 생활사 ;3
ISBN
8976965175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98-303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253247
005 20210120163116
007 ta
008 060427s2006 ulka b 000c kor
020 ▼a 8976965175 ▼g 03910
035 ▼a (KERIS)BIB000010370806
040 ▼a 211014 ▼d 244002 ▼d 211009 ▼c 211009
082 0 4 ▼a 951.902 ▼2 22
085 ▼a 953.05 ▼2 DDCK
090 ▼a 953.05 ▼b 1996z1 ▼c 3
110 ▼a 한국고문서학회
245 1 0 ▼a 조선시대 생활사. ▼n 3 , ▼p 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 ▼d 한국고문서학회 지음
246 3 0 ▼a 조선의 풍경
260 ▼a 서울 : ▼b 역사비평사, ▼c 2006
300 ▼a 303 p. (일부접지) : ▼b 천연색삽화 ; ▼c 22 cm
490 1 0 ▼a 조선시대 생활사 ; ▼v 3
504 ▼a 참고문헌: p. 298-303
830 0 ▼a 조선시대 생활사 ; ▼v 3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6z1 3 등록번호 1113632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6z1 3 등록번호 1113632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6z1 3 등록번호 5110452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2000h 3 등록번호 1410700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5 2000h 3 등록번호 1410700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 1996z1 3 등록번호 1512068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6z1 3 등록번호 1113632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6z1 3 등록번호 1113632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1996z1 3 등록번호 5110452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 2000h 3 등록번호 1410700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5 2000h 3 등록번호 1410700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5 1996z1 3 등록번호 1512068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의식주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살폈다. 고문헌을 통한 역사연구를 이어가고 있는 한국고문서학회의 조선시대 생활사 시리즈의 세 번째 책으로, 신분별로 생활상을 살핀 1권과 출산과 육아, 가훈, 부부생활과 가정생활, 시장과 물가, 약국과 의원, 연희와 세시풍속 등을 다룬 2권에 이어 3권에서는 인간 생활의 기본 뼈대를 이루는 의식주를 주제로 잡았다.

1차 사료 역할을 하는 문헌과 그림 등 고문서를 중요시한 구성이 눈에 띈다. 책은 각 주제에 따라 궁금증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제공해 주는 고문서를 소개하고 그 내용을 알려주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평양감사가 부임하여 대동강에서 뱃놀이를 하는 장면을 담은 '월야선유도'를 가지고 그림에 등장하는 수백명의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의 복식과 자세 등을 하나하나 꼼꼼히 분석하는 것이 그 예이다.

3부에 걸쳐 의식주 세 분야를 각각 다루었다. 1부 복식 문화에서는 남녀 복식의 차이, 옷의 색깔까지도 신분의 표시가 되었던 당대의 법적 규제 등을 소개했고, 2부 음식 문화 부분에서는 밥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부터 술·담배 등의 기호식품, 고구마·감자 등의 구황작물까지 살폈다. 3부 주택 문화에서는 조선시대 양반가의 집 짓는 과정을 그대로 재현하고 온돌로 대표되는 한국 주거 문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한국고문서학회(엮은이)

고문서의 체계적인 연구와 수집·보존을 위해 1991년 4월에 창립된 한국고문서학회는 고문서에 관심을 가진 다양한 구성원들이 모인 곳으로, 월례발표회, 지방학술대회, 국제학술회의 등을 통해 열린 학술 공간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왔다. 또한 사회사·경제사·법제사·국어사 등 고문서를 활용한 여러 연구 분야의 전공자들이 모여 자연스럽게 학제 간 연구가 이루어지는 장이 되었다. 한국고문서학회에서는 그동안 <조선시대 생활사> 1·2·3, <조선 전기 고문서집성>(15세기편), <16세기 한국고문서연구>, <동아시아 근세사회의 비교> 등 대중 교양서뿐 아니라 고문서 자료집과 연구서를 만들어왔으며, 학회지인 <고문서연구>를 꾸준히 발간하고 있다. 우리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고문서 자료를 통해 인간 중심의 역사를 탐구하고 서술하는 일, 다양한 고문서 자료집의 체계적인 간행, 전문성을 띤 고문서 연구를 통해 한국사 연구에 기여하는 것……. 이것이 한국고문서학회가 걸어온 길이고, 또 앞으로 나아갈 방향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일상의 삶을 통해 본 조선시대 = 4
제1부 신분의 상징, 복식 문화
 1장 18세기 남성 복식 스케치
  신분을 들여다보는 거울, 풍속화 = 16
  상민들의 복식을 한눈에 보여주는 〈월야선유도〉 = 19
  모자속에 숨은 신분 = 23
   맨상투머리, 천한 존재의 표현 = 24
   두건, 서민들의 노동모 = 25
   삿갓, 상민들의 쓰개 = 26
   벙거지, 군졸이나 상민들의 모자 = 26
   초립, 갓은 못 쓰는 사람들의 모자 = 31
   갓, 양반의 전유물은 아니다 = 33
  신분의 상징, 겉옷 = 36
   도포, 사대부의 평상복 = 37
   철릭, 중인들이 입던 옷 = 38
   술띠, 신분과 지위의 상징 = 41
   창옷, 상민들이 입던 포 = 44
   저고리, 서민들의 노동복 = 47
  상민들의 바지, 잠방이 = 49
  가장 대중적인 신발, 짚신 = 52
  반과 상을 가르는 신분의 상징 = 53
 2장 의복과 머리 모양으로 표출한 여성의 멋
  의복에 깃든 사람들의 생각 = 56
   신분을 숨기지 마라 = 57
   조선의 의복은 활동적이지 못하다 = 58
   사치를 금하라 = 59
  일상의 옷 = 61
   반가 여성이 입었던 평상복 = 61
   상민 여성의 일상 의복 = 63
  유행과 사치 = 65
   사치와 유행의 선두주자, 기생 = 65
   어물장수도 유행을 따르다 = 68
  머리 모양과 얼굴 가리개 = 72
   머리 모양은 자기표현의 방법 = 72
   부녀자의 외출복, 얼굴 가리개 = 74
  여성 의복의 유행과 흐름 = 75
 3장 법과 제도로 보는 복식 문화
  복식에 대한 규제 = 79
   옷의 모양과 색깔을 법으로 정하다 = 79
   신분 차별에 근거한 복식제도 = 81
  색깔에도 위계가 있다 = 85
   금지되었지만 즐겨 사용하던 흰색 = 86
   황제만을 위한 색, 황색 = 87
   왕실의 색, 홍색 = 88
   관인은 청색, 서인은 흰색 = 89
  사치에 대한 규제 = 91
   사치 금지의 기본 원칙 = 91
   고급 비단옷을 장려한 연산군 = 93
   근검절약 정책 속에서도 지속된 사치 풍조 = 94
   금은보화로 장식한 얹은머리 = 97
   얹은머리를 둘러싼 논쟁 = 99
   「가체신금사목」의 제정 = 101
  사치를 부릴 수 있는 특권 = 104
제2부 맛과 멋의 조화, 음식 문화
 1장 주식, 식생활의 근원
  조선시대 농업의 중심은 논농사 = 110
  곡물의 가격차가 주식을 결정하다 = 115
  조선시대 사람들은 무엇을 주식으로 했을까 = 117
  식사의 기본은 조석 두 끼 = 124
  질보다 양을 중시하던 식습관 = 129
 2장 부식, 다양한 먹거리의 풍요로움
  상차림의 기본, 밥과 반찬 = 132
  다양한 부식 재료들 = 138
   채소 가장 대표적인 부식 재료 = 139
   두부, 귀하고 특별한 음식 = 141
   수산물, 대표적인 단백질 공급원 = 142
   축산물과 가공식품, 귀한 먹거리 = 143
  가공ㆍ발효식품 =  148
   장(醬), 전통 음식의 근본 = 149
   김치, 대표적인 발효음식 = 151
   젓갈, 소금과 수산물의 이상적인 조화 = 154
  정성과 격식이 담긴 의례음식 = 155
 3장 기호식품, 인간의 본능적 욕구
  술과 함께하는 생활 = 159
   술 제조의 전통 = 159
   술의 종류와 음주 풍속 = 161
   술의 노래 = 165
   술집 풍경 = 167
   술 마시는 사회 = 171
   금주령의 시행 = 177
  생활의 일부가 된 담배 = 178
   담배의 보급 = 178
   금연령의 시행 = 180
   담배와 흡연 기구 = 182
   담배의 노래 = 185
   담배와 유통 분쟁 = 187
   담배의 좋은 점과 나쁜 점 = 190
  기호식품, 인간의 본능적 욕구 = 194
 4장 구황식품, 굶주림을 해결하라
  구황식품이란 무엇인가 = 196
   구황, 정치적 관심사 = 196
   기근에 대한 정부의 대책 = 198
  여러 가지 구황작물과 구황법 = 200
   농서, 구황식에 대한 정보서 = 200
   소나무를 이용한 구황식 = 201
   칡을 이용한 구황식 = 203
   무청, 죽대뿌리, 느릅나무를 이용한 구황식 = 204
   도토리를 이용한 구황식 = 205
   잡곡을 이용한 구황식 = 206
   뽕나무 열매와 산나물을 이용한 구황식 = 207
   해초를 이용한 구황식 = 208
   소금, 장, 콩, 콩잎 = 208
  고구마와 감자의 역할 = 209
   고구마의 이용 = 209
   상품작물로 인식된 고구마 = 213
   감자의 이용 = 215
제3부 참삶의 공간, 주택 문화
 1장 조선시대의 삶이 담긴 전통 주택
  조선시대의 집짓기 = 220
   집터 잡기 = 221
   터 닦기와 기단 만들기 = 225
   기둥 세우기 = 228
   지붕 얹기 = 231
   상량과 집들이 = 232
  전통 주택의 공간구성과 그 지혜로움 = 235
   생활 행위의 무대, 마당 = 235
   방과 방을 이어주는 마루 = 237
   생활의 중심 공간, 방 = 238
   주부권의 상징, 부엌 = 242
   조상 숭배의 진수, 가묘 = 243
 2장 조선시대 사람들의 주거 생활
  19세기 말, 조선 가옥의 표준은 초가삼간 = 247
   호적을 통해 본 주거 양상 = 248
   19세기 말, 전라도 구례의 주거 모습 = 252
   72년간의 일기에 나타난 주거 생활 = 254
  18세기 말, 수원 신도시의 주거 생활 = 258
   상층 신분일수록 큰 집에서 살았다 = 258
   집값은 크기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 264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주거 양태 = 268
   조선시대에도 세입자가 있었다 = 268
   조선 농촌의 일반적인 주거 양태, 협호살이 = 271
  분수와 예의를 갖춘 집 = 273
 3장 온돌과 주거 생활의 변화
  온돌의 기원과 역사 = 277
   고구려의 장갱과 고려의 쪽구들 = 277
   조선시대 온돌방의 보급 = 278
  온돌방에 따른 생활의 변화 = 283
   조화로운 가옥 구조 = 283
   실내 장식품의 변화 = 285
   입식 생활에서 좌식 생활로 = 286
  온돌의 다양한 활용 = 287
   겨울에도 채소를 먹을 수 있는 온실 = 287
   약재 건조와 잠실 설치 = 289
  온돌의 부작용 = 291
   온돌방을 마루로 바꾸자 = 291
   땔나무를 애원하는 편지 = 293
  여전히 사랑받는 온돌 = 296
참고문헌 =  298


관련분야 신착자료

국립중앙박물관 (2022)
길승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