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대통령과 리더십

대통령과 리더십 (5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호진
서명 / 저자사항
대통령과 리더십 = 大統領 / 김호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청림출판 ,   2006.  
형태사항
463 p. ; 23 cm.
ISBN
8935206326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514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251874
005 20100807055102
007 ta
008 060510s2006 ulk b 000a kor
020 ▼a 8935206326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2.236 ▼2 22
090 ▼a 352.236 ▼b 2006
100 1 ▼a 김호진 ▼0 AUTH(211009)108210
245 1 0 ▼a 대통령과 리더십 = ▼x 大統領 / ▼d 김호진 지음.
260 ▼a 서울 : ▼b 청림출판 , ▼c 2006.
300 ▼a 463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113622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11362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114800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92042492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211310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211310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512091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512091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113622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113622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114800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92042492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211310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211310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512091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2.236 2006 등록번호 1512091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노동부장관과 노사정 위원장을 지낸 김호진 고려대 교수가 이승만부터 김대중까지 역대 대통령의 성장과정과 국가경영, 리더십을 분석한 책. 역대 대통령을 유형별로 정의내리고 리더십의 면면을 살핀다.

이를 테면, 이승만은 카리스마가 지나치게 넘친 가부장적 권위형, 장면은 정권을 도난당한 무능력한 민주적 표류형, 박정희는 '배고픈 자유보다 배부른 독재가 낫다'라는 말을 실천한 교도적 기업가형, 전두환은 마음먹은 일은 거침없이 해치우는 저돌적 해결사형, 노태우는 전두환의 후황을 얻었지만 해야 할 것도 안한 소극적 상황적응형, 김영삼은 흥행정치를 선호한 공격적 승부사형, 김대중은 국가경영의 우등생을 꿈꾼 계몽적 설교형이라는 것.

또 책은 한국의 최고 권력자들은 예외 없이 나름의 콤플렉스와 씨름하며 성장해왔다고 한다. 이승만은 선지자적 우월 콤플렉스, 박정희는 친일 및 좌익 콤플렉스, 전두환은 주변인적 콤플렉스, 노태우는 편모 콤플렉스, 김영삼은 외아들 콤플렉스, 김대중은 출생 콤플렉스와 씨름하였으며, 이런 콤플렉스가 이들을 성취욕과 권력의지에 불타는 아주 특별한 인간형으로 만들었고 결국에는 대권을 거머쥐게 했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누구나 콤플렉스가 있지만 한 국가의 최고 권력자는 대권 이후 콤플렉스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국가의 운명이 달라진다고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공자의<논어>, 마키아벨리의<군주론>, 오긍의<정관정요>등 리더십의 고전을 통해 정치권력의 역사적인 지침을 되새김질 해주고 있어 정치인뿐만 아니라 권력에 관심 많은 중간 관리자들이 쉽게 읽을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호진(지은이)

고려대 정치외교학과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했다. 미국 하와이주립대학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교수, 케임브리지대학 및 베를린자유대학 교환교수, 경실련 고문, 노동부 장관, 세종대학교 이사장을 지냈다. 2006년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 교수로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부 정치와 국가경영 : 정치는 국가경영이다
 1장 직업으로서의 정치와 정치인 = 25
  1. 정치란 무엇인가 = 27
   (1) 인간은 정치적 동물
   (2) 정치의 본질
  2. 정치인은 누구인가 = 31
   (1) 정치인이라는 직업의 특수성
   (2) 정치인과 권력동기
   (3) 정치인과 리비도
  3. 정치인과 후흑학 = 39
   (1) 후흑이란
   (2) 후흑의 유형
   (3) 정치와 후흑
  4. 직업정치인의 유형 = 42
   (1) 정치가와 정치인
   (2) 한국의 정치인 유형
 2장 왜 리더십인가 = 51
  1. 누가 역사를 이끄는가 = 53
   (1) 리더십은 역사의 동력인가
   (2) 리더십과 국가경영
  2. 어떤 사람이 대권을 잡는가 = 58
   (1) 자질론
   (2) 상황론
   (3) 전략론
  3. 국가경영자의 조건과 덕목 = 66
   (1)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철인정치론
   (2) 카리스마
   (3) 신념의 윤리와 책임의 윤리
   (4) 리더십과 결단성
   (5) 설득과 리더십
   (6) 도덕성이 중요하다
   (7) 국가경영자의 자질요건
  4. 국가경영자의 리더십 유형 = 81
   (1) 플라톤의 분류
   (2) 바버의 분류
   (3) 마키아벨리의 분류
   (4) 기업가형
   (5) 기타 유형들
   (6) 어떤 유형이 이상적인가
 3장 국가경영의 주요 변인들 = 87
  1. 준비된 리더십 = 89
   (1) 준비된 리더십이란
   (2) 통치한다는 것은 선택하는 것이다
   (3) 준비 안 된 지도자는 실패한다
  2. 인사가 왕도다 = 93
   (1) 인사가 성공의 열쇠다
   (2) 인사는 리더십의 보완이다
  3. 정부-의회 관계와 국정효율 = 97
   (1) 3권 분립과 정부-의회 관계
   (2)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3) 프랭클린 루스벨트의 리더십과 의회
   (4) 마가렛 대처의 리더십과 의회
  4. 정치권력과 언론 = 101
   (1) 권력과 언론의 적대성
   (2) 정치인과 언론
   (3) 권력과 언론 관계의 새로운 지평
 4장 국가경영과 리더십 전략 = 105
  1. 리더십 전략이란 = 107
   (1) 사람을 부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술
   (2) 리더십 전략의 다양성
  2. 리더십 전략으로서의 마키아벨리즘 = 109
   (1) 마키아벨리는 누구인가
   (2) 마키아벨리의 리더십 전략
   (3) 마키아벨리의 재인식
  3. 리더십 전략으로서의 포퓰리즘 = 116
   (1) 포퓰리즘이란
   (2) 페론과 포퓰리즘
   (3) 포퓰리즘의 교훈
  4. 리더십 전략으로서의 관료적 권위주의 = 120
   (1) 관료적 권위주의란
   (2) 관료적 권위주의의 리더십 전략
   (3) 관료적 권위주의의 한계
  5. 리더십 전략으로서의 참여민주주의 = 125
   (1) 참여민주주의란
   (2) 한국의 참여민주주의, 중우정치에 빠지지 말아야
2부 대통령과 리더십 : 권력의 부침과 현대사의 굴곡
 5장 이승만 : 가부장적 권위형 = 131
  1. 이승만 어떻게 봐야하나 = 133
  2. 왕족의 후예로 태어나다 = 135
   (1) 큰 인물 콤플렉스를 갖다
   (2) 개화사상에 심취한 청년기
   (3) 미국으로 가다
   (4) 임시정부 수반이 되다
  3. 초대 대통령이 되다 = 140
   (1) 단독정부 수립을 밀어붙이다
   (2) 1940년대의 한국, 메시아를 원하다
  4. 이승만의 국가경영과 지배전략 = 145
   (1) 이승만의 지배이데올로기
   (2) 이승만의 지배연합
   (3) 자유당 창당과 발췌개헌
   (4) 이승만과 마키아벨리즘
  5. 3ㆍ15선거와 4ㆍ19혁명 = 153
   (1) 이승만 4선에 나서다
   (2) 4ㆍ19혁명이 일어나다
   (3) 추방당한 건국의 아버지
  6. 이승만과 매카시즘 = 158
   (1) 정권안보와 매카시즘
   (2) 조봉암을 처형하다
   (3) 4ㆍ19혁명도 매카시즘으로 공격하다
  7. 이승만의 리더십 특성 = 163
   (1) 가부장적 권위형
   (2) 아첨꾼을 중용하다
  8. 이승만의 재인식 = 167
   (1) 이승만은 말의 정치와 행동의 정치가 달랐다
   (2) 이승만은 용미논자(用美論者)였다
   (3) 인간 이승만은 소박하고 검소했다
  9. 이승만의 교훈 = 172
   교훈 1. 권력자의 의지가 민주주의의 관건이다
   교훈 2. 권력의 생명은 합법성과 도덕성이다
   교훈 3. 정권연장에는 명분이 있을 수 없다
   교훈 4. 콤플렉스는 양면성이 있다
   교훈 5. 지도자에게 위임통치는 자멸의 함정이다
   교훈 6. 지도자에게 인의 장막은 금기다
 6장 장면 : 민주적 표류형 = 179
  1. 장면은 누구인가 = 181
   (1) 온실에서 야생의 세계로
   (2) 정계를 순항하다
  2. 이승만 정권의 붕괴와 장면 정권의 출범 = 184
   (1) 7ㆍ29총선과 장면
   (2) 내각책임제의 수장이 되다
  3. 민주당의 내흥과 장면 정권의 표류 = 187
   (1) 민주당의 파벌적 성격
   (2) 민주당의 분당
   (3) 위기관리의 한계
  4. 장면 정권의 붕괴 = 192
   (1) 5ㆍ16군사정변이 일어나다
   (2) 장면의 방심
  5. 장면 정권의 붕괴 요인 = 196
   (1) 리더십 빈곤
   (2) 자유방임과 중우정치의 발호
   (3) 무위로 끝난 개발계획
   (4) 미온적인 1공 청산
  6. 장면의 리더십 특성 = 202
   (1) 인격적 리더십과 위기도피형
   (2) 정파적 리더십
   (3) 책임윤리의 빈곤
  7. 장면의 교훈 = 206
   교훈 1. 정치에는 신사도가 없다
   교훈 2. 효율 없는 민주는 무의미하다
   교훈 3. 후진국 지도자는 총구를 경계해야
 7장 박정희 : 교도적 기업가형 = 209
  1. 민주주의의 장례식을 치룬 반칙의 혁명가 = 211
  2. 박정희의 권력동기 = 213
   (1) 어린시절의 가난과 상대적 박탈감
   (2) 교사에서 군인으로
   (3) 일군 계급장을 떼고 국군이 되다
   (4) 군인 박정희의 시련과 소외
  3. 5ㆍ16군사정변과 대권장악 = 219
   (1) 쿠데타로 자아를 실현하다
   (2) 눈물의 서약을 뒤집다
  4. 빵과 자유를 바꾼 근대화의 기수 = 222
   (1) 박정희의 국가경영 기조
   (2) 박정희와 토사구팽
  5. 박정희의 용인술 = 227
   (1) 분할과 견제
   (2) 박정희와 지식인
   (3) 박정희와 군
  6. 박정희의 지배전략 = 232
   (1) 민중배제의 정치공학
   (2) 3선개헌과 10월유신
  7. 박정희의 죽음과 유신체제의 붕괴 = 238
   (1) 긴급조치의 정치동학
   (2) 부마항쟁과 김재규의 모반
  8. 박정희는 왜 독재자가 됐나 = 243
   (1) 태생적인 한계
   (2) 군사문화의 특수성
   (3) 성장 드라이브
   (4) 분단구조와 안보위기
  9. 박정희는 부활하는가 = 247
   (1) 박정희 향수의 실체
   (2) 박정희의 허상과 실상
   (3) 현재가 좋아지면 과거를 잊는다
  10. 박정희의 교훈 = 250
   교훈 1. 지도자의 리더십은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
   교훈 2. 지도자는 업적으로 말한다?
  11. 박정희의 재인식 = 253
   (1) 박정희는 민주주의의 토대를 닦은 사람?
   (2) 박정희는 콤플렉스의 희생자였다
 8장 전두환 : 저돌적 해결사형 = 257
  1. 황야의 광풍처럼 한 시대를 휩쓸다 = 259
   (1) 전두환은 한다면 하는 사람이었다
   (2)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다
   (3) 정치군인이 되다
  2. 대권장악 과정 = 263
   (1) 박정희의 죽음과 힘의 공백
   (2) 12ㆍ12사태를 주도하다
   (3) 5ㆍ17조치와 대권장악
  3. 전두환의 지배전략 = 271
   (1) 관료적 권위주의를 강화하다
   (2) 의회의 시녀화
   (3) 언론의 지배도구화
   (4) 재벌과 유착하다
   (5) 국민의식의 탈정치화
  4. 뚝심으로 밀어붙인 경제정책 = 280
   (1) "경제는 당신이 대통령이야"
   (2) 두 마리 토끼를 잡다
   (3) 쌀독을 지키다
  5. 전두환의 업보 = 284
   (1) 김영삼의 단식과 야당부활
   (2) 백담사로 유배가다
  6. 전두환의 비자금과 부패 = 291
   (1)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
   (2) 친인척 비리의 창궐
   (3) '역사 바로세우기'의 표적이 되다
  7. 전두환의 리더십 = 296
   (1) 저돌적 해결사형
   (2) 의리를 중시하는 보스형
   (3) 독선과 위임의 양면성
   (4) 후흑형 리더십
  8. 전두환의 교훈 = 302
   교훈 1. 쿠데타도 명분과 교리가 있어야 한다
   교훈 2. 지도자에게 충동성은 금물이다
   교훈 3. 권력이 가족주의에 빠지면 반드시 자멸한다
   교훈 4. 과오 있는 권력은 후일이 없다
 9장 노태우 : 소극적 상황적응형 = 307
  1. 팔공산 자락에서 태어나다 = 309
   (1) 가난 속에서 키운 성취욕
   (2) 군인이 되다
   (3) 전두환의 우정과 후광
  2. 5공의 2인자 = 312
  3. 6ㆍ29선언과 대권장악 = 313
   (1) 6ㆍ29선언과 대중조작
   (2) 대통령이 되다
   (3)노태우의 지배전략
   (4) 리더십 다지기
  4. 성공한 2인자에서 실패한 대통령으로 = 321
   (1) 경제개혁의 실종
   (2) 용두사미로 끝난 정부혁신
   (3) 북방으로 가다
   (4) 수의를 입다
  5. 노태우의 리더십 특성 = 327
   (1) 문민이미지의 참모형
   (2) 임기응변적 리더십
   (3) 소극적 상황적응형
  6. 노태우의 교훈 = 334
   교훈 1. 노태우의 이중성
   교훈 2. 대중조작을 경계해야
   교훈 3. 잃어버린 5년
 10장 김영삼 : 공격적 승부사형 = 339
  1. 김영삼은 누구인가 = 341
   (1) 외아들로 태어나다
   (2) 정치의 바다에 몸을 던지다
   (3) 40대 기수론
  2. 김영삼과 10ㆍ26사태 = 346
   (1) 박정희에 맞서다
   (2) 국회에 제명되다
   (3) 단식으로 맞서다
  3. 14대 대통령이 되다 = 350
   (1) 40여 년 만에 이룬 대망의 꿈
   (2) 시작부터 불안한 김영삼 정권
  4. 김영삼의 국가경영 = 352
   (1) 군부를 탈정치화시키다
   (2) 금융실명제의 실시
   (3) 역사 바로세우기를 밀어붙이다
   (4) 세계화의 허상
   (5) 경제환란이 일어나다
  5. 고개 숙인 민주화의 기수 = 360
   (1) 문민정치의 꿈을 이룬 실패한 국가경영자
   (2) 도덕정치와 비리정치의 이중주
  6. 김영삼의 리더십 특성 = 364
   (1) 인치형 리더십
   (2) 승부사형 리더십
   (3) 과시형 리더십
  7. 김영삼의 교훈 = 370
   교훈 1. 정책연대가 국가경영의 성패를 가른다
   교훈 2. 과거에 매달리면 미래를 잃는다
   교훈 3. 국가경영자는 준비가 돼 있어야
   교훈 4. 권력자는 주변관리에 철저해야
 11장 김대중 : 계몽적 설교형 = 375
  1. 김대중의 출생과 성장 = 377
   (1) 인동초 꽃을 피우다
   (2) 콤플렉스에 시달리다
   (3) 상인기질을 키우다
   (4) 첫 번째 맞은 죽음의 고비
  2. 3전4기로 국회의원이 되다 = 382
   (1) 정계진출과 거듭된 실패
   (2) 달변으로 급성장하다
  3. 첫 번째 대권도전 = 384
   (1) 박정희와 승부를 겨루다
   (2) 두 번째 맞은 죽음의 위기
   (3) 세 번째, 네 번째 맞은 죽음의 위기
  4. 80년의 봄과 다섯 번째로 넘긴 죽음의 고비 = 387
   (1) 사형선고를 받다
   (2) 미국 망명과 민주화운동
   (3) 김대중의 귀국과 야당의 부활
  5. 6월항쟁과 세 번째 대권도전 = 390
   (1) 야권분열과 김대중의 좌절
   (2) 92대선 패배와 정계은퇴
  6. 네 번째 대권도전과 김대중 시대의 전개 = 393
   (1) 아태평화재단을 재기의 발판으로 삼다
   (2) 3전4기로 대통령이 되다
  7. 국가경영의 우등생을 꿈꾸다 = 396
   (1) 환란을 극복하다
   (2) 남은 사람은 '나 하나다'
   (3) DJ개혁의 한계
  8. 민족화해를 실천하다 = 400
   (1) 햇볕정책을 밀고 나가다
   (2)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하다
  9. 김대중과 색깔론 = 403
   (1) 김대중이 피리를 불면…
   (2) 14대 대선과 매카시즘 공세
   (3) 붉은색 멍에를 벗다
  10. 김대중의 리더십 특성 = 407
   (1) 실용주의와 이상주의의 겸비
   (2) 관용의 리더십
   (3) 완벽주의 리더십
   (4) 설득의 리더십
  11. 김대중의 제왕학 = 415
  12. 김대중의 교훈 = 419
   교훈 1. 성취는 대가를 요구한다
   교훈 2. 지도자는 온정주의를 경계해야
   교훈 3. 국정은 투명해야
 12장 승자는 누구인가 = 423
  1. 우리나라 국가경영자의 권력태반 = 425
   (1) 권력태반, 시대와 사람에 따라 다르다
   (2) 한국의 권력자와 콤플렉스
   (3) 리비도와 야성
   (4) 대의에의 열정이 대권을 부른다
  2. 대통령 바위상을 만들자 = 432
   (1) 미국의 대통령 바위상
   (2) 한국의 국가경영자들 무엇이 문제인가
  3. 권력자는 뒤끝이 좋아야 = 436
주석 = 443
참고문헌 = 454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
한국. 인사혁신처 (2022)
조대엽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