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거시의 미시적 기초
제1장 소비(Consumption) = 4
제1절 소비에 대한 일반론적 접근 = 4
제2절 전통적 소비이론 = 7
2.1 케인즈의 절대소득가설(Absolute Income Hypothesis) = 7
2.2 쿠즈네츠의 소비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 = 10
2.3 상대소득가설(Relative Income Hypothesis) = 12
2.4 영구(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 = 14
2.5 평생소득가설(Life-Cycle Hypothesis) = 17
제3절 새로운 소비이론 = 20
3.1 시점간 소비선택 : 이자율변화에 따른 소비 = 20
3.2 임의보행 소비가설 = 27
3.3 유동성 제약이론 = 30
[한걸음더] 1. 미래 예상소득과 영구소득 가설 = 34
[한걸음더] 2. 소득분배와 소비 = 38
[한걸음더] 3. 금융시장 불안정과 소비 = 40
[한걸음더] 4. 절대소득 가설과 영구소득 가설의 거시 정책적 의미 = 43
제2장 투자이론(Investment theory) = 48
제1절 현재 가치법(present value method) = 48
1.1 적정 투자의 결정 = 48
1.2 이자율과 투자 = 50
제2절 투자의 한계효율 = 52
2.1 투자의 한계효율과 적정투자 = 52
2.2 이자율 변화의 효과 = 55
2.3 미래 예상수익과 투자 = 56
2.4 자금조달의 한계비용이론(marginal cost of fund) = 57
제3절 토빈의 이론 = 60
3.1 토빈의 이론의 배경 = 60
3.2 토빈의 = 60
3.3 투자 선택 = 61
3.4 토빈의 장단점 = 61
제4절 신고전학파의 대부자본론 = 63
제5절 불확실성 하에서 투자 = 67
5.1 투자옵션모형 = 67
5.2 재고투자모형 = 69
[한걸음더] 1. 기업 실사 지수와 경기전망 = 71
[한걸음더] 2. 주가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 = 73
[한걸음더] 3. 자본량 조정비용 모형 = 76
제3장 화폐의 수용과 공급 = 80
제1절 화폐의 기능과 종류 = 80
1.1 화폐의 기능 = 80
1.2 화폐의 종류 = 82
제2절 화폐수요이론 = 86
2.1 화폐수량설(Quantity theory of money) = 86
2.2 유동성 선호이론(liquidity preference theory) = 90
2.3 화폐수요의 재고이론모형 = 96
2.4 토빈의 포트폴리오 이론 = 99
2.5 프리드먼의 신 화폐수량설 = 106
제3절 화폐의 공급 = 110
3.1 신용창조(Credit Creation) = 110
제4절 화폐 시장의 균형 = 120
[한걸음더] 1. 포트폴리오 이론과 이자율 변동성 = 122
[한걸음더] 2. 화폐 유통속도의 안정성과 화폐중립성 = 125
[한걸음더] 3. 화폐의 초중립성(super-neutrality of money) = 130
[한걸음더] 4. 인플레이션 세금(Inflation Tax) = 133
[한걸음더] 5. 이자율과 채권가격 = 136
[한걸음더] 6. 채권 이자율의 기간구조 : 수익률 곡선 = 139
제4장 노동시장과 실업 = 144
제1절 실업(unemployment)과 실업추계 = 144
1.1 실업의 정의 = 144
1.2 실업률(rate of unemployment) = 145
1.3 실업율 추계의 한계 = 146
제2절 실업에 관한 이론 = 148
2.1 노동시장의 균형 = 148
2.2 케인즈학파의 실업이론 = 150
2.3 신고전학파의 실업이론 = 155
2.4 통화주의학파의 실업모형과 균형실업률 = 157
제2편 총수요와 총공급
제5장 총수요곡선 : IS-LM 곡선 = 166
제1절 생산물 시장의 균형 : IS 곡선 = 166
1.1 생산물 시장의 균형 = 166
1.2 IS 곡선의 도출 = 168
1.3 곡선의 기울기 = 169
1.4 IS 곡선의 이동 : 독립지출의 변화 = 171
1.5 승수효과 = 173
제2절 화폐시장의 균형 : LM 곡선 = 175
2.1 곡선의 도출 = 175
2.2 LM 곡선의 기울기 = 176
2.3 LM 곡선의 이동 : 실질 화폐공급의 변화 = 177
제3절 수요 측면의 균형과 총수요 곡선 = 180
3.1 수요측면의 균형 = 180
3.2 총수요곡선의 도출 = 181
[한걸음더] 전미분을 이용한 승수 구하기 = 185
제6장 총공급 곡선 = 190
제1절 노동시장의 균형과 균형 산출량 = 190
제2절 학파에 따른 총공급 곡선 = 192
2.1 신고전학파(Neo Classicals) : 수직의 총공급곡선 = 192
2.2 케인즈학파 : 우상향 총공급곡선 = 195
2.3 통화주의 학파(Monetarist)의 장단기 총공급곡선 = 197
제3절 루카스 공급곡선(Lucas Supply curve) = 200
3.1 적응적 기대와 합리적 기대 = 200
3.2 합리적 기대와 루카스 공급함수 = 200
3.3 뉴케인즈 학파의 총공급 곡선 : 가격경직성 가정에 근거한 총공급곡선 = 203
제3편 거시경제정책
제7장 거시 경제의 일반균형 = 208
제1절 수요측면의 균형 = 208
제2절 공급 측면의 균형 = 210
제3절 국민 경제의 일반균형 = 212
제8장 거시경제정책 Ⅰ : 총수요관리정책 = 214
제1절 총수요 관리정책 = 214
제2절 케이즈 학파의 총수요 관리 정책 = 215
2.1 재정정책(fiscal policy) = 215
2.2 통화정책(Monetary Policy) = 221
제3절 통화주의 학파의 총수요 관리정책 = 224
3.1 총수요관리정책의 장단기 효과 = 224
3.2 확대 통화정책의 효과 = 225
제4절 합리적 기대학파 또는 새고전학파 = 229
4.1 합리적 기대 = 229
4.2 재정정책의 효과 = 230
4.3 확대재정정책과 재정적자 : 리카도 불변정리 = 233
4.4 합리적 기대학파(new classical) : 통화정책 = 238
제5절 새케인즈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 = 241
제9장 총공급 관리 정책 = 244
제1절 총공급 관리 정책 = 244
1.1 총공급 관리정책의 특징 = 244
1.2 총공급 관리 정책의 유형과 파급과정 = 245
제2절 총공급관리 정책의 한계 = 249
제10장 인플레이션과 필립스 곡선 = 252
제1절 인플레이션 = 252
1.1 물가와 인플레이션 = 252
1.2 인플레이션의 원인 = 253
제2절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257
2.1 피셔 방정식 = 257
2.2 인플레이션의 문제점 = 260
제3절 실업과 인플레이션 : 필립스 곡선 = 261
3.1 필립스 곡선 = 261
3.2 프리드먼-펠프스(통화주의학파)의 장단기 필립스곡선 = 264
3.3 단기와 장기 총수요 관리 정책 = 267
[한걸음더] 1. 인플레이션의 동태적 변화 = 269
[한걸음더] 2. 필립스 곡선을 이용한 최적 정책 = 273
[한걸음더] 3. 인플레이션을 가속화시키지 않는 실업률(NAIRU) = 276
[한걸음더] 4. 물가안정정책 = 277
제11장 거시 정책의 제문제와 화폐금융정책 = 282
제1절 거시정책의 제문제 = 282
1.1 시차 문제(lag problem) = 282
1.2 시간의 불일치(time inconsistency) 또는 동태적 불일치 = 284
1.3 재량(discretion)과 준칙(rule) = 285
제2절 화폐 금융정책 = 289
2.1 화폐금융정책의 목표 = 289
2.2 중간목표 전략 = 290
2.3 물가 안정 목표 전략 = 294
2.4 화폐 금융정책의 전달 경로 = 298
[한걸음더] 1. 시간의 불일치 : 키들랜드-프레스컷 모형 = 301
[한걸음더] 2. 재량과 준칙 = 304
제4편 개방경제
제12장 개방경제하의 거시 경제 = 310
제1절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 = 310
제2절 환율 = 313
2.1 환율제도(exchange rate system) = 313
2.2 환율 결정이론 = 317
제3절 개방경제 하의 거시 모형과 거시정책 : IS-LM-BP 모형 = 328
3.1 개방경제하의 개별 시장의 균형 = 328
3.2 개방경제 하의 거시 균형 = 336
3.3 개방 경제 하의 거시경제정책 = 337
제4절 통화론적 접근과 거시정책 = 346
4.1 환율의 통화론적 접근(monetary approach) = 346
4.2 통화론적 접근의 거시 정책 = 348
[한걸음더] 1. 자본이동이 불완전한 경우 거시정책 = 349
[한걸음더] 2. 불완전 자산대체와 위험 프리미엄 = 353
[한걸음더] 3. 환투기와 정부 개입 = 356
[한걸음더] 4. 환 위험과 환 위험 관리 = 360
[한걸음더] 5. 환율과 경상수지 = 364
제5편 경기변동과 경제성장
제13장 경기변동 = 374
제1절 경기변동의 기본개념 = 374
1.1 경기변동의 정의와 특성 = 374
1.2 경제변수의 구성요소 = 376
1.3 순환변동의 측정 = 377
제2절 케인즈 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379
2.1 경기변동의 원인 = 379
2.2 경기변동의 파급과정 : IS-LM과 AD-AS를 통한 분석 = 380
제3절 새케인즈 학파(New Keynsian)의 경기변동이론 = 385
3.1 새케인즈 학파의 경직성(price rigidity) 모형 = 385
3.2 가격 경직성과 경기변동 = 393
제4절 균형경기변동이론 = 395
4.1 균형경기변동의 개념 = 395
4.2 화폐적 균형경기변동이론 = 395
4.3 실물적 경기변동이론(Real Business Cycle) = 401
[한걸음더] 1. 추세와 충격의 지속성 = 406
[한걸음더] 2. 승수-가속도 모형 = 410
[한걸음더] 3. 효율임금 가설과 솔로우 조건 = 412
제14장 경제성장론 = 416
제1절 신고전학파 성장모형 = 416
1.1 솔로우 기본방정식과 정체상태 균형 = 416
1.2 성장률 = 422
1.3 경제 성장의 결정요인(source of growth) = 423
[한걸음더] 1. 성장회계(growth accounting) = 427
제2절 신성장 이론 = 429
2.1 점근현상과 신성장 이론의 등장 = 429
2.2 신성장 이론의 다양한 모형 = 431
제15장 새고전학파의 시장 균형 = 440
제1절 새고전학파 모형의 개요 = 440
제2절 생산물 시장의 균형 = 441
2.1 총수요 함수 = 441
2.2 총공급 함수 = 442
2.3 생산물 시장의 균형 = 449
제3절 대부자본 시장과 화폐시장 = 451
3.1 대부자본 시장과 이자율 = 451
3.2 화폐 시장과 물가 = 452
제4절 재정정책의 효과 = 455
4.1 정부지출의 경제적 효과 = 455
제5절 공급충격의 효과 = 463
5.1 일시적 공급충격의 경우 = 463
5.2 영구적 충격의 효과 = 465
부록 : 헤롯-도마 모형(Harrod-Domar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