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관료제 인사행정체제의 이해 : 공직임용 제도 및 구조의 형성과 발전

한국관료제 인사행정체제의 이해 : 공직임용 제도 및 구조의 형성과 발전 (Loan 4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주경일 김미나
Title Statement
한국관료제 인사행정체제의 이해 : 공직임용 제도 및 구조의 형성과 발전 / 주경일 , 김미나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경세원 ,   2006.  
Physical Medium
357 p. : 삽도, 서식 ; 23 cm.
ISBN
898341071X
General Note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41-351), 색인수록
000 00743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251786
005 20100807054856
007 ta
008 060510s2006 ggkak b 001a kor
020 ▼a 898341071X ▼g 933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a 352.60953 ▼a 352.630953 ▼2 DDCK
090 ▼a 352.60953 ▼b 2006
100 1 ▼a 주경일 ▼0 AUTH(211009)142426
245 1 0 ▼a 한국관료제 인사행정체제의 이해 : ▼b 공직임용 제도 및 구조의 형성과 발전 / ▼d 주경일 , ▼e 김미나 공저.
260 ▼a 파주 : ▼b 경세원 , ▼c 2006.
300 ▼a 357 p. : ▼b 삽도, 서식 ; ▼c 23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p. 341-351), 색인수록
536 ▼a 본서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700 1 ▼a 김미나 ▼0 AUTH(211009)52650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60953 2006 Accession No. 1113620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60953 2006 Accession No. 1113620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60953 2006 Accession No. 1512297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60953 2006 Accession No. 1512297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60953 2006 Accession No. 11136204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60953 2006 Accession No. 1113620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60953 2006 Accession No. 1512297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2.60953 2006 Accession No. 1512297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주경일(지은이)

<한국관료제 인사행정체제의 이해>

김미나(지은이)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연구교수, 공공행정학부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강사로 강의하고 있으며, 행정자치부 지방혁신인력개발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관료제의 인사행정체제의 이해>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미군정기 이후 한국 인사행정체제의 형성 및 발전
 제1장 들어가며 = 17
 제2장 미군정기와 제1공화국 = 21
  1. 계급에 바탕을 둔 공직구조 형성 = 21
   1) 정부수립과 정부관료제 정비 = 22
   2) 국가공무원법 제정 = 24
   3) 인사담당기구로서 고시위원회와 총무처 인사국 = 26
  2. 한국전쟁 당시의 정부관료제 = 29
  3.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인사행정체제의 현실 = 30
   1) 군 출신 인사와 일제시대 관료들의 부각 = 30
   2) 자유당의 정부관료제 장악 = 35
   3) 관료임용 및 인사운용의 폐쇄성 = 36
  4. 소결 = 39
 제3장 제2공화국 = 41
  1. 집권당 분열로 인한 정치적 혼란 = 41
  2. 관료제 인사제도의 쇄신 = 43
   1) 내각책임제와 정무차관제도의 문제점 = 43
   2) 법령의 정비 = 44
   3) 관료제 임용구조의 변화 = 47
  3. 소결 = 50
 제4장 박정희 군사정부의 관료제 임용과 공직구조 = 52
  1. 1960년대 초반의 사회적 배경 = 52
  2. 정부관료제 정비작업 = 54
   1) 공무원에 대한 대규모 숙정 = 54
   2) 직위분류법제 마련을 통한 공직구조의 변화 가능성 = 56
 제5장 제3, 4공화국의 관료제 전환 = 60
  1. 정부관료제의 내ㆍ외적 변화 = 60
   1) 정부관료제 내부의 분위기 전환 = 61
   2) 관료 충원상의 외형적 변화 = 64
   3) 유신체제의 조직 및 관료 정원 증가 = 65
  2. 소결 = 68
 제6장 제5공화국 = 70
  1. 제5공화국 출범의 의미 = 71
   1) 사회개혁적인 측면 = 72
   2) 행정개혁적인 측면 = 73
   3) 관료 충원 측면에서의 변화상 = 73
  2. 10ㆍ15 행정개혁 = 74
   1) 10ㆍ15 행정개혁의 상황적 맥락 = 75
   2) 10ㆍ15 행정개혁의 내용 = 78
   3) 10ㆍ15 행정개혁의 관료사적(史的) 의미 = 81
  3. 제5공화국에서의 관료임용 = 84
   1) 관료의 임용구조와 제도 = 85
   2) 충원되는 관료수의 변화 = 87
   3) 충원규모 축소의 의미 = 89
  4. 제5공화국의 관료임용실태와 인사운용 = 91
   1) 관료제의 폐쇄성 = 91
   2) 공직 진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 93
   3) 승진 및 교육훈련제도 = 95
  5. 소결 = 98
 제7장 제6공화국 = 101
  1. 제5공화국의 정치적 배경과 의미 = 102
   1) 제6공화국 출범의 의미 = 102
   2) 제6공화국 전반기와 후반기 = 104
  2. 행정개혁 = 106
  3. 관료 충원의 내용적 변화 = 108
   1) 충원내용의 변화 = 109
   2) 변화의 의미 = 110
  4. 제6공화국 기간의 인사운용상의 특징 = 112
  5. 소결 = 113
 제8장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부 = 115
  1. 문민정부의 출범 = 115
   1) 문민정부 출범의 의미 = 116
   2) 문민정부 출범 당시의 관료제: 미약한 관료통제 = 118
  2. 김영삼 정부의 행정개혁 = 121
   1) 문민정부 행정 개혁의 배경 = 121
   2) 정부관료제의 개혁 = 124
  3. 관료제 충원과정에 있어서의 변화: 작고 강한 정부 = 130
   1) 12ㆍ3 조직개편에 의한 공무원 정원의 감축 = 130
   2) 관료제 충원과정의 변화 = 133
  4. 김영삼 정부의 한계 = 142
   1) 공무원 숫자의 변화 = 142
   2) 관료집단의 개혁에 대한 저항 = 143
  5. 소결 = 144
 제9장 김대중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 = 145
  1. 행정개혁의 배경 = 146
   1) 정권교체 = 146
   2) IMF 관리체제 = 148
   3) 신자유주의 = 149
  2. 관료충원 과정의 변화 = 150
   1) 관료충원의 조직적 변화 = 151
   2) 관료충원의 내용변화 및 적극적 인사정책의 유지 = 162
  3. 새로운 공직임용제도의 출현(개방형임용제) = 176
   1) 도입배경 = 176
   2) 추진과정 = 178
   3) 현황 = 181
   4) 개방형임용제도의 의미 = 182
  4. 공무원 신규채용의 변화와 그 의미 = 188
  5. 참여정부의 고위공무원단제도 추진 = 191
  6. 소결
 제10장 논의의 결론에 대신하여 = 198
제2부 공무원 특별채용제도의 역사적 형성과 진화
 제1장 들어가며 = 205
 제2장 공무원 특별채용제도의 정의와 변화 = 209
  1. 공무원 특별채용제도의 정의 = 209
  2. 공무원 특별채용제도의 법적ㆍ시기별 변화 = 212
   1) 법적 근거의 변화 = 212
   2) 시기별 변화 = 213
   3) 공무원 특별채용을 위한 교육기관의 종류와 임용예정 직급 현황 = 214
 제3장 공무원 특별채용제도의 발아기: 미군정기(1945~1948) = 216
  1. 정부 관료제의 외부적 조건 = 216
  2. 정부 관료제의 내부적 조건 = 217
   1) 미국식 인사제도 도입과 인사행정처의 설치 = 217
   2) 국가공무원법 제정 = 220
  3. 특별채용제도의 운영 특징과 동인 = 221
 제4장 공무원 특별채용제도의 형성기: 제1, 2공화국 = 224
  1. 제1공화국(1948~1960) = 224
   1) 정부관료제의 외부적 조건 = 224
   2) 정부관료제의 내부적 조건 = 226
   3) 특별채용제도의 운영 특성과 동인 = 229
  2. 제2공화국(1960~1962) = 231
   1) 정부관료제의 외부적 조건 = 231
   2) 정부관료제의 내부적 조건 = 231
 제5장 공무원 특별채용제도의 안정화기: 군사혁명정부와 제3, 4공화국 = 234
  1. 5ㆍ16 군사쿠데타와 제3공화국(1962~1972) = 234
   1) 정부관료제의 외부적 조건 = 234
   2) 정부관료제의 내부적 조건 = 236
   3) 특별채용제도의 운영 특징과 동인 = 242
  2. 제4공화국(1972~1979) = 261
   1) 정부관료제의 외부적 조건 = 261
   2) 정부관료제의 내부적 조건 = 262
   3) 특별채용제도의 운영 특성과 동인 = 263
   4) 특별채용 관련 법령의 개정 = 272
 제6장 공무원 특별채용제도의 전환기: 제5, 6공화국 = 279
  1. 제5공화국(1980~1987) = 279
   1) 정부관료제의 외부적 조건 = 279
   2) 정부관료제의 내부적 조건 = 281
   3) 특별채용제도의 운영 특징과 동인 = 282
   4) 특별채용 관련 법령의 변화 = 293
  2. 6ㆍ29 민주항쟁과 제6공화국의 등장(1988~) = 297
   1) 노태우 행정부(1988~1992) = 297
   2) 문민정부 이후의 특별채용 요건 및 관련법령의 변화 = 305
   3) 개방형임용제의 도입 배경과 주요 내용 = 312
 제7장 공무원 특별채용 규모의 변화 및 현황 = 318
  1. 공무원 특별채용 규모의 변화: 1980년~2000년 = 318
  2. 공무원 특별채용에 관한 신문기사 검색: 1990년~2003년 = 321
 제8장 논의의 결론에 대신하여 = 326
부록 = 329
참고문헌 = 341
찾아보기 = 35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