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78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251442 | |
005 | 20100807054600 | |
007 | ta | |
008 | 060509s2006 ggkaj b 001a kor | |
020 | ▼a 895220493X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a 953.059 ▼2 DDCK | |
090 | ▼a 953.059 ▼b 2006c | |
100 | 1 | ▼a 김재엽 , ▼d 1979- ▼0 AUTH(211009)30607 |
245 | 2 0 | ▼a (100년전)한국사 : ▼b 개항에서 한일합방까지 / ▼d 김재엽 지음. |
260 | ▼a 파주 : ▼b 살림 , ▼c 2006. | |
300 | ▼a 294 p. : ▼b 삽도, 연표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c | 등록번호 1113623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c | 등록번호 1113623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c | 등록번호 1512088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c | 등록번호 1512088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c | 등록번호 1113623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9 2006c | 등록번호 1113623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c | 등록번호 1512088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9 2006c | 등록번호 1512088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00여년 전 구한말의 역사를 국제역학관계를 중심으로 다시 자세하게 읽어본다.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워 잘 알고 있는 개항, 갑신정변, 동학혁명, 대한제국성립 등의 사건들에 열강들의 알력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당대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한다.
지은이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로서 구한말 역사를 주목하기를 제안한다. 외부 세력들이 한반도를 놓고 다투고 있는 불안정한 상황은 지금이나 그 때나 비슷하다는 것. 한일합방의 비극으로까지 이어진 당대의 상황을 제대로 분석하는 것은 곧 우리가 지금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길잡이가 된다고 지은이는 주장한다.
책의 내용은 우리가 피상적으로 알고 있는 사건들의 흐름에 확실한 인과관계와 전후사정을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예컨대 일본의 '폭력배'들이 궁에 들이닥쳐 명성황후를 시해한 을미사변은 그 이면에 황후를 제거하고자 했던 정부적 차원의 움직임이 있었고, 이는 고종이 몸소 처소를 옮겨야 했던 아관파천 사건을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
지은이는 유성룡이 임진왜란 후 <징비록>을 저술하여 후세에 교훈을 남긴 마음가짐으로 이 책을 썼다고 말한다. 그만큼 한민족 최대 시련기에 숨겨져 있는 긴박했던 국내외 상황, 나라 안팎의 사정이 왜 우리에게 또다른 타산지석으로 다가오는지를 열정 있게 설명해 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글을 시작하며 : 왜 하필 구한말인가? = 4 1 은둔의 왕국 잊혀진 역사, 대륙과 바다의 지배자 = 12 고려의 도전과 시련 = 19 중국을 섬기다 = 26 양대 전쟁과 조선의 수난 = 33 아시아에 상륙한 제국주의 = 39 흐름으로 읽는 역사 : 서양의 제국주의 침탈, 이렇게 자행되었다 = 46 대원군의 선택과 한계 = 50 흐름으로 읽는 역사 :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유출 문화재들 = 61 2 나라의 문이 열리다 폭풍 전야의 현해탄 = 66 포성 속에 이루어진 개항 = 74 흐름으로 읽는 역사 : 일본 고유의 동아시아질서관과 메이지 유신 = 82 봇물 터진 개화 물결 = 85 흐름으로 읽는 역사 : 한반도를 세계에 소개한 서양인들 = 94 고개 드는 반작용 = 98 3 외세의 알력 속에 길을 잃다 척화세력의 대반격 = 106 민씨 일가를 구한 청 황조 = 112 흐름으로 읽는 역사 : 서울 용산과 외국군 주둔 역사 = 118 개화당의 야망 = 121 3일천하, 그들만의 혁명 = 128 거세지는 열강의 줄다리기 = 139 흐름으로 읽는 역사 : 19세기 '영국 대 러시아'의 세계 경쟁 = 147 4 혼돈의 세기말 국제분쟁으로 번진 농민 봉기 = 152 개혁의 이름으로 = 161 헛물 켠 일본 = 172 흐름으로 읽는 역사 : 독일-유럽의 주연, 동아시아 조연 = 180 을미사변과 후폭풍 = 184 흐름으로 읽는 역사 : 을미사변과 '중전 민씨 재평가'에 대한 진실 = 194 5 마지막 기회를 놓친 대한제국 대한제국, 그 찬란했던 시작 = 200 좌절된 국민국가 = 204 마지막 쟁탈전 = 215 이 날을 목놓아 통곡하노라 = 230 최후의 몸부림 = 240 흐름으로 읽는 역사 : 안중근과 동아시아 평화사상 = 252 끝내 망국으로 = 256 흐름으로 읽는 역사 : 대한제국 황실, 그 후의 이야기 = 264 글을 맺으며 : 아직도 끝나지 않은 역사 = 270 참고문헌 = 281 구한말 주요 사건 연표 = 282 찾아보기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