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251418 | |
005 | 20170228151613 | |
007 | ta | |
008 | 060509s2006 ulka 001c kor | |
020 | ▼a 8987671488 ▼g 948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rus |
082 | 0 4 | ▼a 801.95 ▼2 22 |
085 | ▼a 801.95 ▼2 DDCK | |
090 | ▼a 801.95 ▼b 2006a | |
100 | 1 | ▼a Bakhtin, M. M. ▼q (Mikhail Mikhaĭlovich), ▼d 1895-1975 |
245 | 1 0 | ▼a 말의 미학 / ▼d 미하일 바흐친 지음 ; ▼e 김희숙 , ▼e 박종소 옮김 |
246 | 1 9 | ▼a Estetika slovesnogo tvorchestva |
260 | ▼a 서울 : ▼b 길, ▼c 2006 | |
300 | ▼a 597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코기토 총서. ▼p 세계사상의 고전 ; ▼v 006 |
500 | ▼a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의 연구 번역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1999년 동서양학술명저번역 지원사업'의 지원 아래 이루어졌음 | |
700 | 1 | ▼a 김희숙 ▼g 金喜淑, ▼e 역 ▼0 AUTH(211009)75757 |
700 | 1 | ▼a 박종소 ▼g 朴鐘昭, ▼e 역 ▼0 AUTH(211009)101830 |
900 | 1 0 | ▼a 바흐친, 미하일,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11362320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10-17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113623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211291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211291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512086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11362320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10-17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113623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211291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211291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95 2006a | Accession No. 1512086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세기 인문과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소비에트 사상가로 평가받는 미하일 바흐친의 주요 논문들을 모았다. 1919년 그가 처음 발표한 논문인 '예술과 책임'으로부터 시작하여 1974년 생애 마지막으로 발표한 논문 '인문학의 완결성'까지, 문학·철학을 기반으로 인식론·미학·윤리학·심리학 등 인문과학 전반을 넘나들며 형성된 바흐친의 사상체계를 집대성했다.
옮긴이들은 이 책에서 나타나는 바흐친의 관심을 두 가지 방향으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는 "살아 있는 주체들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나'와 '타자'의 범주 속으로 질서화되어 조직화될 수 있는가"의 문제이고, 둘째는 "어떻게 작가는 그들의 주인공들이 발화해내는 관계들에서 이른바 텍스트라는 일종의 가설적인 총체를 만들어내는가"의 문제이다.
메모와 같은 단편적인 성격의 글부터 저서의 개작을 위한 초고까지 주로 '미완결' 상태이면서도 바흐친 사상의 단초들을 고스란히 담은 글들이 담겨 있어, 말년까지도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형성된 바흐친 사상 특유의 '미완결의 완결성'을 보여준다.
바흐친을 주목받게 만든 저서 <도스토예프스키 창작의 제 문제>를 다시 출판하기 위해 작성했던 '도스토예프스키에 관한 저서의 개작 계획', 괴테와 교양소설의 문제를 다룬 원고 중 보존된 일부를 실은 '교양소설과 리얼리즘 역사 속에서의 의미', 작가와 주인공의 관계에 집중한 바흐친 초기의 대표적인 논문 '미적 활동에서의 작가와 주인공' 등이 눈이 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미하일 바흐찐(지은이)
1895년 러시아 모스끄바 남부의 오룔에서 태어났다. 빌리뉴스와 오데싸에서 어린시절을 보내고, 1916년 뻬뜨로그라드 대학 역사, 문학부에서 수학했다고 알려졌으나 공식적인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혁명 후에는 비뗍스끄에서 바흐친 써클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919년 최초의 글 '예술과 책임'을 발표했으며, 1929년 바흐친의 이름으로 첫 저서 <도스토예프스키 창작의 제 문제>가 출판되었다. 그해 종교 문제로 인해 소비에트 당국에 체포되었으며, 1930년 카자흐스탄으로 유배되었다. 1934년 유형이 종료되었으나 1938년 골수염 악화로 다리를 절단했다. 1945년 모르도바 교육대학 조교수가 되었으며, 1950년대 말 젋은 학자들에 의해 그의 저서가 재발견되어, 1960년대에 그의 주요 저작이 출판되면서 차츰 전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된다. 1963년 <도스토예프스키 시학의 제 문제>를 출판하였고, 이를 계기로 바흐친에 대한 문학사적 재평가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의 소설론, 카니발론, 대화론 등은 현재 어문학, 미학, 철학은 물론 문화학, 민속학 등 거의 모든 인문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1965년 방대한 분량의 <프랑수아 라블레의 창작과 중세와 르네상스의 민중문화>를 출판하였으며, 1975년 작고했다. 한편 1992년 바흐친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대화, 카니발, 흐로노토프>가 창간되어 이후 러시아 내에서 지속적인 바흐친 연구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박종소(옮긴이)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 어문학부에서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시: 미학적·도덕적 이상의 문제」(1995)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러시아 문학의 종말론적 신화 양상」(1–3편, 2004–7) 「러시아 속의 세계문학」(2014) 「도스토예프스키와 러시아 혁명」(2017) 등이 있다. 『한국 근대문학의 러시아문학 수용』(공저, 2016)를 썼고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미하일 바흐친의 『말의 미학』(공역, 2006),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악에 관한 세 편의 대화』(2009), 류드밀라 울리츠카야의 『우리 짜르의 사람들』(2014)이 있다.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러시아어로 옮겼으며(공역, 2020) 「칸딘스키와 러시아 거장展」(2007–8, 예술의전당) 개최에 참여하였다.
김희숙(옮긴이)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헨 대학교 슬라브어문학과 학부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보리스 필냐크의 장식체 소설 연구』가 있고, 옮긴 책으로 『죄와 벌』 『러시아의 밤』 『스페이드 여왕』 『줄』 『마야코프스키의 삶과 예술』 및 공역으로 『고대 러시아 문학의 시학』 『러시아 기호학의 이해』 『말의 미학』 『러시아 현대 소설 선집 1』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해제 = 9 엮은이의 말 = 20 예술과 책임 = 25 미적 활동에서의 작가와 주인공 = 27 저서 「도스토예프스키 창작의 제 문제」에서 = 277 교양소설과 리얼리즘 역사 속에서의 그 의미 = 287 담화 장르의 문제 = 349 언어학, 어문학 그리고 다른 인문학에서 텍스트의 문제 = 401 도스토예프스키에 관한 저서의 개작 계획 = 439 「신세계」 편집진의 물음에 대한 답변 = 467 1970~71년의 노트에서 = 477 인문학의 방법론을 위하여 = 511 러시아 문학사 강의에서. 뱌체슬라프 이바노프 = 529 엮은이의 주(註) = 547 바흐친 연보 = 569 찾아보기 =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