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82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251351 | |
005 | 20100807054429 | |
007 | ta | |
008 | 060508s2005 ulka b 000a kor | |
020 | ▼a 8959311979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5.006 ▼2 22 |
090 | ▼a 375.006 ▼b 1998a ▼c RRC2005-10 | |
110 | ▼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 AUTH(211009)3587 | |
245 | 1 0 | ▼a 미술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60 |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c 2005. | |
300 | ▼a 193 p. : ▼b 삽도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C2005-10 |
500 | ▼a 부록수록 | |
500 | ▼a 연구책임자: 양윤정 | |
504 | ▼a 참고문헌: p. 136-154 | |
700 | 1 | ▼a 양윤정 , ▼e 연구책임 ▼0 AUTH(211009)57158 |
830 | 0 | ▼a 연구보고(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C2005-10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006 1998a RRC2005-10 | Accession No. 1113603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연구요약 Ⅰ. 서론 =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3 3. 연구 방법 = 4 Ⅱ. 미술과 교육과정 관련 선행 연구 분석 = 7 1. 21세기 미술 교육의 패러다임 = 7 가. 사회 문화의 변화와 미술 교육 = 7 나. 미술의 변화와 미술 교육 = 14 다. 미술 교육의 역할 변화 = 17 2. 국내외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 21 가.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화 = 21 나. 외국 미술과 교육과정의 동향 = 33 Ⅲ.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실태 및 요구 분석 = 41 1.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실태와 문제점 = 41 가. 미술과 교육과정 = 41 나. 고교 2, 3학년 선택 중심 교육과정 = 54 2.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개선 요구 조사 = 58 가. 미술과 교육과정 = 60 나. 고교 2, 3학년 선택 중심 교육과정 = 67 Ⅳ.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구성 = 71 1.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개선의 기본방향 = 71 가. 학교 미술 교육의 경쟁력있는 역할과 방향 제시 = 71 나. 학교 미술 교육에서 시각 문화 교육의 수용 = 75 다. 학교 밖 문화 예술 교육 정책과 연계 방안 모색 = 80 라. 현장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명료화 = 81 2.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영역별 개선 방안 = 85 가. 미술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 85 나. 고교 2,3학년 선택 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 = 123 Ⅴ. 요약 및 제언 = 133 1. 요약 = 133 2. 제언 = 135 참고문헌 = 136 Abstract = 155 부록 = 159 1. 국가 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의견 조사 설문지 = 161 2.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개선 연구 협의회 목록 = 187